정치인의 이미지가 미디어상에 나타난 연구
- Abstract
- 정치인에게 있어서의 이미지는 생명과 같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정치인이 어떤 이미지를 갖고 있느냐에 따라서 선거에서 당락이 결정되는 것이며, 정치과정에서도 그 이미지는 그의 정치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됨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우리나라 정치인을 미디어에 나타난 이미지요인을 분석하며, 유권자가 바라는 정치인의 이미지 메이킹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정치 선진국인 미국의 사례를 깊이 고찰하였고, 우리나라 대통령선거에서의 미디어를 통한 이미지의 영향력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그로 인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치인의 이미지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후보자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미지를 인지적 요인과 감성적 요인으로 나누어 후보자에 선호도에 각각의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설명하였으며 정치인의 이미지는 어떻게 변화하고 그 변화되는 이미지의 형태와 내용을 규명하였다. 특히 후보자의 이미지는 감성적인 것으로, 후보자의 이슈는 인지적 요인으로 보았는데,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이 감성적, 혹은 인지적인가에 절대적인 기준이 존재할 수 없으며, 오직 상황에 따라 변화하였다.
또한 우리의 정치현실이 '정치인의 세력을 위한 정치'에서 '일반대중을 중시하는 스타일의 정치'로 변해가는 시점을 고려할 때 정치인이 대중적인 이미지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대중과 호흡하는 정치인으로서의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것이 선거에서의 성공요인으로 꼽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오늘날 선거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음에 비례하여 후보자의 이미지 형성요인의 변화가 커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대중매체에 나타나는 후보자 이미지는 외모적 인상, 말투, 태도, 제스처 등 후보자의 시청각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인품이나 능력 같은 내면적 요소 하나하나가 모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고전적인 차원에서 이미지 메이킹은 아직도 외모중심의 코디네이션과 깊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이 중 의상과 메이크업 그리고 헤어스타일은 인물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제16대 대선에서 보았던 것처럼, 21세기 선거는 '매스 미디어 선거전'으로 변하고 있다. 그리하여 매스 미디어, 특히 TV화면을 통해 대선 후보의 이미지가 어떻게 전달되느냐가 투표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른바 '방송용 이미지' 형성을 위한 대책마련은 선거전의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결론과 아울러 성공적인 정치인 이미지 메이킹을 통해 얻게 되는 효과가 무엇인지도 강구하였다.
첫째, 성공적인 이미지는 후보자와 유권자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좁혀주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성실한 사람', '믿을만한 사람'등의 이미지는 이를 받아들이는 개인이나 집단과의 동일감이나 공동체의식을 창출하여 준다.
셋째, 후보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자질 중에서 가장 훌륭하고 믿을 만한 자질을 활용해서 만들어진 제대로 된 이미지는 정치인을 이상적인 인물로 만들어 준다.
넷째, 외모적인 이미지 메이킹 요소, 즉 메이크업과 머리, 의복, 제스처 등을 통해 부수적으로 정치인 스스로에게 자신감을 가져다주며 유권자에 좋은 인상을 심어 준다.
다섯째, 긍정적으로 변화된 이미지 형성은 변화 이전에 닿을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까지 그 범위를 확대시켜 준다.
정치인의 이미지 개선은 선거에서 득표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에게도 정치를 친근하고 즐거운 존재로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image is what determines a politician’s future. In other words, the image that a politician has can determine whether the politician win a election or not and it is natural the image has great influence on the politician’s activities on the political arena.
Therefore, I intended to analyze image factors of Korean politicians on the media and to present how to create a politician’s image that voters want in this paper.
I studied examples of the U.S, an advanced nation in terms of politics, reviewed the influence of image on the media in the presidential elections, and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I studied what consists of a politician’s image and discovered the factors that are composed of images of political candidates. I divided these factors into cognitive ones and emotional ones, and explained what influence each factor has on voters’ preference of candidates. I also described how a politician’s image has changed and the patterns and contents of changing images. In particular, I considered a candidate’s image as an emotional factor and a candidate’s issue is a cognitive factor. However, there are no absolute criteria of whether a certain image factor is an emotional one or a cognitive one. This distinction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Korean political arena is changing from ”politics for politicians’ power” to ”politics that values the general public”,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politician to establish a publicly favorable image. Accordingly, I found that a image of a politician who is in line with the general public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uccess factors in the elections.
As the effect of communications are increasing in today’s elections, image factors of a candidate is also changing drastically. In this context, among various images of a candidate on the media, not only visual images such as external impressions, talking style, attitude, and gestures but also internal factors such as personality and ability are of great importance.
In the classical terms, image making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coordination focusing on appearance. Clothes, makeup, and hair style are becoming very important factors to form a person’s image.
As seen in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of Korea, elections in the 21st century are becoming mass media elections. The images of presidential candidates on the media, especially on the TV screen, have powerful impact on the results of elections. Therefore, strategies to form an image for broadcasting are becoming a significant part of election campaigns.
Together with the conclusions mentioned above, I also studied the effects that a politician can gain from successful image making.
First, successful image making can narrow the gab between a candidate and voters.
Second, images such as ”a person with integrity” and ”a person with reliability” can generate a sense of belonging and oneness from voters.
Third, an image that is created by utilizing the best and most reliable factors among a candidate’s various characters can portray a politician as an ideal person.
Fourth, Image making factors of appearance such as makeup, clothes and gestures can have additional benefits of boosting a politician’s confidence.
Fifth, a positively changed image enables a candidate to reach people who were out of reach before.
Improved image of a politician is very important not only because it can attract more votes but also it can make politics more friendly and interesting to the general public.
- Author(s)
- 崔美慶 .
- Issued Date
- 2003
- Type
- Thesis
- Keyword
- 정치인 이미지; 매스미디어; 이미지선거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91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