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성의 마스카라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 Abstract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의 화장행동과 마스카라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속눈썹 형태와 마스카라 타입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화장행동의 차이, 마스카라 이용실태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 방법으로 온라인 방식의 질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우리나라 17세∼61세 여성으로 3979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Window 9.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증, x² 검증, 일원변량 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 검증을 산출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여성의 화장행동의 실태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여성의 화장기술능력은 보통이고, 화장정도는 보통이나 연한 정도로 화장을 하였으며, 화장관심도는 조금 있었고, 주 3∼5회 정도 화장을 하였고, 화장소요시간은 20∼30분 정도였으며, 하루 중 1회 화장을 수정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여성의 마스카라 이용실태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여성의 90%이상 마스카라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눈매가 선명하게 보이기 위해 마스카라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았고, 마스카라 구매 시 기능과 효과를 중시하였으며, 10,000원∼20,000원 미만의 마스카라를 많이 사용하였다 주 2∼3회 마스카라 사용을 하였고, 3∼6개월 미만을 주기로 마스카라 구입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아이메이크업 중 마스카라 비중은 30∼50%미만으로 두는 여성이 가장 많았다. 마스카라 타입은 롱래쉬 마스카라와 볼륨업 마스카라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마스카라 브러시 모양은 총알형이 가장 많았다. 색상이 있는 마스카라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외제 마스카라를 사용한 경험이 많았고, 마스카라 사용 후 불만족한 사항은 '광고한 만큼 효과가 없어서'가 가장 많았으며, 마스카라 사용을 하지 않는 이유는 '눈 주위가 번져서'가 가장 많았다. 마스카라 사용 전 아이래쉬 컬러 사용이 많았고, 마스카라 사용 후 마스카라 전용 아이 리무버 사용은 과반수 정도가 사용하고 있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마스카라 브랜드 중 전체 1위는 랑콤이었고, 국내 1위는 아이씨에스였다.
셋째, 속눈썹형태와 마스카라 타입과의 관계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길고 숱이 많은 속눈썹'과 '길고 숱이 적은 속눈썹'은 볼륨업 마스카라, '짧고 숱이 많은 속눈썹'과 '짧고 숱이 적은 속눈썹'은 롱래시 마스카라를 사용하였다.
넷째, 학력, 직업, 연령, 소득, 결혼여부에 따른 화장행동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화장기술능력은 학력이 높을수록, 서비스직과 전문직, 소득이 높을수록 뛰어나고, 화장정도는 대학원졸업이상, 서비스직, 25세이상 연령, 소득이 높을수록 보통정도의 화장을 하며, 화장관심도는 서비스직, 소득이 높을수록 높았다.
다섯째, 학력, 직업, 연령, 소득, 결혼여부와 마스카라 이용실태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마스카라 가격 대는 학력, 직업, 연령, 소득, 결혼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고졸이하의 학력, 주부, 17∼24세 연령, 소득이 낮을수록, 기혼인 경우 10,000원∼20,000원 미만의 마스카라를 사용하였다.
마스카라 주 사용횟수는 학력, 직업, 연령, 소득, 결혼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 학력이 높을수록, 서비스직, 25∼29세 연령, 소득이 높을수록, 미혼인 경우 마스카라 사용 횟수가 많았다.
색상 마스카라 사용 경험은 학력, 직업, 연령, 소득, 결혼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 대졸이상의 학력과 자영업, 25세 이상의 연령, 소득이 높을수록, 기혼인 경우 색상 마스카라 사용경험이 많았다.
외제 마스카라 사용 경험은 학력, 직업, 연령, 소득, 결혼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직, 25∼29세 연령, 소득이 많을수록, 미혼인 경우 외제 마스카라 사용경험이 많았다.
아이 리무버 사용은 학력이 높을수록, 서비스직, 17∼24세 연령, 소득이 높을수록 아이 리무버 사용이 많았다.|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ake-up behaviour and the patterns of mascara usage, to understand relations between the shapes of eyelash and mascara types, and to scrutinize the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ur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patterns of mascara usage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study, one of the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were 3979 women aged 17-61 years. The data were analysed into frequency, percentage, F-test value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hi-square test, and t-test through SPSS Window 9.0 .
1. The patterns of make-up behaviour in Korean women are as follows.
Korean women think their make-up skill and make-up intensity are They make up 3-5 average, and they have a little make-up interest. times a week, spending 20-30 minutes every time, and correct their make-up once a day.
2. The patterns of mascara usage in Korean women are like these.
Over 90% of Korean women use mascara in a bid to make their eye They put the importance on mascara-effect, shape clear in most cases. when they purchase it.
Most of them use mascara 2-3 times a week, which they spend ₩10,000-20,000 on every 3-6 months. Many Korean women have ever used an imported mascara.
The Korean women consider the importance of mascara usage in the eye make-up under 30-50%.
In mascara types, long-lash mascara and volume-up mascara are popular.
In the shape of its brush, bullet-shaped one.
In the color of mascara, colorful one.
A lot of women use a eyelash curler.
A special eye make-up remover for mascara is used by about half of them.
The reason why some women don't use mascara is that it smudges around the eyeline.
The top mascara brand, currently used in the subjects, is Lancome, and the ICS is the frist one among the domestic brands.
3. There're relations between the shapes of eyelash and mascara types.
The long and thick-eyelashed women, or the long and thin-eyelashed ones show a decided preference for a volume-up effect mascara.
The short and thick-eyelashed ones or the short and thin-eyelashed ones, for a long-lash effect mascara.
4. There are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ur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job, age, income level, or marital status.
In make-up skill, highly educated women, ones in the service industry, professionals, or high income-leveled ones are good.
In make-up intensity, master-degreed women or more, ones in the service industry, 25years old ones and over, or hlgh income-leveled ones put on average makeup.
In make-up interest, the women in the service industry or high income-leveled ones have high interest.
5. Relations between the patterns of mascara usage and educational level, job, age, income level, or marital status are followed
The price of mascara has something to do with educational level, job, age, income level, or marital status : high school graduates and below, housewives, the women aged 17-24 years, low income-leveled ones, or married ones spend ₩10,000-20,000 on mascara.
Mascara usage frequency has relations with educational level, job, age, income level, or marital status, showing that highly educated women, ones in the service industry, 25-29 years old ones, high income-leveled ones, or unmarried ones use mascara more often.
Color mascara relates to educational level, job, age, income level, or marital status : bachelor-degreed women or more, sole proprietaries , ones aged 25 years and over, high income-leveled ones or married ones use color mascara more frequently.
The use of imported mascara is linked to educational level, job, age, income level, or marital status : highly educated women, professionals, ones aged 25-29 years, high income-leveled ones, or married ones purchase an imported mascara more often.
The special eye make-up remover for mascara is mainly used by highly educated women, ones in the service industry, ones aged 17-24 years, or high income-leveled ones.
- Author(s)
- 李康娥
- Issued Date
- 2003
- Type
- Thesis
- Keyword
- 여성; 마스카라; 우리나라; 이용 실태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34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