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사이클(Upcycle) 패션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
- Alternative Title
- -한국 대학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 Abstract
- 국 문 초 록
업사이클(Upcycle) 패션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
-한국 대학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패션디자인기획학과
패션디자인전공
홍 영 민
오늘날 세계는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다. 반면 대량생산화로 인한 폐기물 증가, 기상이변과 방사능 유출로 등으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져 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는 인간의 생존권 문제와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임을 사람들이 점착 인식하고,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면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녹색 성장과 친환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20세기 후반에 고도로 발달한 과학문명과 경제발전은 의생활 소비양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의복의 소재가 다양해지고 대중매체에 의한 빠른 정보 전달로 인하여 유행에 따라 급속도로 의류 수명이 짧아지게 되었다. 환경부 자료에 의하면 하루에 버려지는 의류 폐기물의 양은 2008년 161.6톤, 2009년 171.6톤, 2010년 186톤, 2011년 197.7톤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버려지는 의류 폐기물이 증가하면서 의류 재활용을 통한 가치 재발견을 추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났고 그 결과 업사이클 패션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가 생겨났다. 소비자들은 단순히 입고 소비하는 것이 아닌 환경보호에도 앞장설 수 있는 트렌드의 등장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즉 환경오염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소비자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이 변화되고 있으며, 이에 맞춰 패션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환경문제 의식정도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변수에 따른 소비자의 환경문제 의식정도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제로 판매되고 있는 업사이클 패션상품에 가상의 스토리를 부여하여 스토리의 여부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성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 업사이클 패션 브랜드 및 상품조사와 함께 국내·외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그린마케팅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증적 조사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은 대학생 인구의 통계청 자료에 근거하여 할당추출법으로 서울·수도권·지방의 2년제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0개 대학의 500명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5개 전공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총 500명에게 배부하였고 462부가 수거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 응답한 2부를 제외한 총 460부가 최종 통계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주성분분석, 요인분석, T-test, 일원량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소비자들의 환경문제의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환경 의식적 행동의 중요성 또한 높은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실제 친환경 소비실천행동을 측정한 결과 환경 문제 의식보다는 낮게 나타났지만 비교적 적극적으로 친환경 소비실천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소비자의 환경 친화적인 패션상품 구매 행태를 측정한 결과 환경 친화적인 패션상품 구매행태가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환경과 관련된 의식은 높지만 그 의식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데에는 많은 부족함이 따른다. 즉, 소비자의 환경문제 의식 수준은 높은 반면 실제 환경 친화적 행동이나 제품구매에 대한 실천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문제의식과 환경 친화적인 패션제품에 대한 성별, 전공, 한 달 소비 지출액, 착용스타일, 소유의류 활용률에 따른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 환경문제, 환경 친화적인 패션제품 의식정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실제 친환경 소비실천행동과 환경 친화적인 패션제품 구매행태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분석결과 예술대학/체육대학의 경오 모든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반면, 인문과학대학은 모든 요인에서 낮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보아 예술대학과 체육대학의 경우 학과의 특성상 환경에 대한 의식이 높으며, 이러한 의식이 패션상품의 구매 행동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 소비 지출액에 따른 분석결과 실제 친환경 소비실천 행동과 환경 친화적인 패션제품 구매행태에서 20만원 미만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50만원 이상이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다. 시중의 환경 친화적인 패션상품의 가격이 비싼 것에 비해 용돈이 적을수록 환경 친화적인 패션상품에 대한 구매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용돈과 환경 친화적 패션상품 구매율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착용스타일에 따른 분석결과 아웃도어를 착용하는 경우가 환경 친화적인 패션제품 구매행태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보아 아웃도어를 자주 착용하는 경우 야외활동이 많아 자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많으므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환경 친화적 패션상품 구매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유의류 착용률에 따른 분석결과 환경문제 의식정도, 실제 친환경 소비실천행동에서 0~20%를 착용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보아 소유의류 착용률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들의 업사이클 패션제품의 스토리 여부에 따른 상품 구매행동을 비교한 결과 제시한 세 상품에서 모두 스토리를 부여하였을 경우 구매를 하겠다는 응답이 더 높았다. 또한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를 살펴본 결과 스토리의 여부가 상품에 대한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국내·외 업사이클 패션 브랜드 및 상품조사 결과 산업폐기물, 재고의류, 폐 의류 및 가죽 등을 이용하여 의류, 가방, 패션소품 등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국내·외 패스트패션 브랜드의 그린마케팅 활동을 조사한 결과 유기농 소재의 사용, 판매제품 회수 후 재활용, 모피반대 소매업체 연합 프로그램 참여, 육류 생산을 위해 사육된 동물의 가죽만 사용, 사회적 후원, 다양한 프로젝트 진행 등 활발한 그린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이 실제 환경 친화적 행동과 환경 친화적 패션상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고, 실제로 판매되고 있는 업사이클 패션상품에 가상의 스토리를 부여하여 스토리의 여부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성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국내·외 업사이클 패션 브랜드 및 상품조사와 함께 국내·외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업사이클 현황을 알아보았다.
소비자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정도는 높은 수준이지만 그 의식이 환경 친화적 패션상품 구매행동까지 연결되는데 까지는 아직 부족함이 따르므로 소비자의 구매율을 이끌어 오르기 위한 패션기업의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업사이클 패션상품 판매 시 스토리가 있을 경우 가격의 민감도를 낮춰주는 등의 많은 부가가치를 부여하므로, 스토리를 부여하여 판매할 경우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의류의 경우 소비자들이 재고의류나 중고제품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인식을 변화시켜주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업사이클, 업사이클 패션, 환경의식, 환경 친화적 소비자, 패스트패션
- Author(s)
- 홍영민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02
- Type
- Thesis
- Keyword
- 업사이클; 업사이클패션; 환경의식; 환경친화적소비자; 패스트패션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02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