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얼굴 이미지 構築과 色調化粧의 分析 硏究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모든 예술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름다움과 조화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여성이라면 누구나 아름다운 것을 동경하고 누구에게나 아름답게 보여 지기를 원한다. 특히 미용과 패션이 동시에 발달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여성은 일정한 조건의 아름다움보다는 모든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좋아한다.
얼굴에 이루어지는 메이컵(화장)은 자신을 표현하는 거울과도 같아 외형적인 미적 효과 외에 타인과의 의사전달, 예의 표현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기초적인 문제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 나라 경제가 급성장하고 사회가 변화하고 발전함에 따라 표현의 한 장르인 메이컵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얼굴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중요성이 새롭게 제기되어 더욱 창의적이고 심미적인 얼굴의 이미지를 추구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의 뷰티메이컵에 따른 얼굴의 전반적인 이미지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였으며 개성표현과 자신의 이미지 업을 위한 전반적인 이미지 구축을 색조화장과 관련시켜 연구하였다.
얼굴의 각 부분의 형태를 올바르게 파악하고 자신들이 원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만드는데 있어 얼굴의 조형성은 독립적 요소가 아닌 전체적인 조화의 한 부분으로 구분하였고 색조화장을 통한 얼굴의 이미지구축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여 그 중요성과 역할이 점증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다면 그 의미가 더욱 클 것으로 사료된다.
얼굴의 이미지 구축은 독립된 분야로써 좀 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연구에서는 얼굴의 이미지구축과 색조화장을 연관시켜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고찰하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밝힌다.
제2장에서는 기존 문헌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얼굴의 조형성에 따른 해부학적 미학적 분석과 함께 얼굴의 부위별 메이컵(화장) 표현에 대해 고찰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규명한다.
제3장에서는 얼굴의 이미지 구축에 따른 전반적인 색조화장법의 이미지의 연출법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얼굴 이미지에 따른 이상적인 색조화장법을 계절별 색상에 적용하여 알아보고 얼굴의 이미지에 따른 색상테스트를 제시한다.
얼굴 이미지 구축과 색조화장법을 객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 얼굴의 크기와 형태는 사람의 분위기, 인상을 결정지을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얼굴의 형태에 따라 메이컵(화장)의 색상이 다양해지고 색상이 다양화되면서 메이컵의 표현기법과 이미지에 따라 전체적인 느낌이 다르게 표현되어질 수 있는 얼굴의 조형성을 규명하였다.
둘째 : 얼굴의 이미지구축에 영향을 주고있는 피부색상과 얼굴의 조화, 메이컵 연출을 통한 색상의 조화에 따라 얼굴의 이미지를 가장 동적이며 시각적인 매력으로 끌어내어 고정되고 형식화된 미 보다 좀더 창의적이고 감각적인 표현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 얼굴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이미지를 바탕으로 자신의 사고방식이나 가치추구가 나타나며 인물의 성격이 메이컵에 나타나게 됨을 알 수 있고 외형적인 모습이 아름다워 보이면 내면을 아름답게 하는데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 얼굴의 이미지구축에 따른 색상을 계절별 파레트와 이미지 색상 테스트를 통하여 색조화장이 얼굴의 이미지 구축에 있어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따라서 시각적 효과가 크게 달라 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얼굴의 일반적인 특성과 그에 따는 색조화장을 이미지 구축과 연관지어 각자가 가지고 있는 개성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살려 사회생활을 하는 중 자신의 외모에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좀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임할 수 있도록 뒷받침 해 줄 것이다 이미지 구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충분히 조성되어 있지 못한 현 실정에서 중요한 요인이 되는 이미지 구축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들을 좀 더 구체화하였다.
앞으로도 조금 더 깊이 있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 생활을 하면서 얼굴이 주는 전체적인 이미지의 의미와 중요성은 더욱더 큰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The final purpose of every art is to make up harmony with beauty If one were a woman, one would long for the beautiful things and like to be beautifully shown to anyone. the color make-up which is done on face is like a mirror expressing itself. So it is given much weight as a basic problem in some respects, such as the expression of manners and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besides the effect of external beauty.
On this study, I try to emphasize the general image making of face according to the beauty make-up of women seeking beauty. I study the general image making of face for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and the improvement of image in connection with color Make-up. to analyze the forms of each part of face correctly and to establish the image which everyone wants, I classify the molding of face into not independent elements but parts of general harmony. And also,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image making of face with color make-up, on these days when its importance and role are getting increasing, and the value of expectation is getting higher, I have wanted to study it. As the image making of face is an independent area, we need to study it more specially and systematically. on this study, I proceed the study like followings, connecting color make-up with the image making on chapter one, I consider the purpose of study, and show the ways and sphere of study.
On chapter two,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literature, with the aesthetic and anatomic analysis according to the face molding, and with the consideration of make-up expression classified by parts of face, I find out the necessity of this study. On chapter three, I suggest image production through colors of color make-up and of skin according to the image making of face chapter four, laying stress on the study results like the above, I find out seasonally applicable ways of colors for the image making of face, and suggest color tests according to the face image.
With the objective review of the image making and color Make-Up, I have gotten the results like followings.
First, the size and the form of face play an important role enough to decide the impression & atmosphere of person. According to face forms, the colors of Make-Up vary. And with the variation of colors, I find out the molding of the face whose general feeling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 way of color Make-Up and the image.
Second, according to the harmonization of skin color and face affecting the image making of face, and the harmonization of colors by Make-Up production, I draw out dynamical and visual attraction from the face image. And I make it helpful to express beauty more creatively and sensually than the fixed and the formalized beauty.
Thir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 and the image which face has, one's thinking way and his pursuit of value appear on the Make-Up. If one looks beautiful in appearance, it can give the positive effect on making the inner world of person beautiful.
Fourth, I suggest the visual effect can be much changed according as how we apply colors to Make-Up through image tests and palettes a season, according to the image making of face.
So, this study can support for us to do things more positively and actively than before, as color Make-Up can give self-confidence on our appearance while we live as a member of society, by showing our character of personality, connecting Make-up with the image mak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 of face.
At this situation in which social perception on the image making hasn't been fully made, I embody general items on the image making, which become important elements. we need to proceed the study of it deeply, and I am sure, while we live socially,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general image which the face gives us are great.
Author(s)
노효경
Issued Date
2001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00
Affiliation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漢城大學校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