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크업 색채와 이미지의 상황적 연출과 표현에 관한 연구
- Abstract
- 최근에는 다양한 대중매체의 발달과 고도의 산업화로 인해 개성화, 전문화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요소를 중요시 여기게 되었다. 또한 현대는 자기를 주장하는 시대로, 여성들의 급격한 사회 진출의 증가로 말미암아 토탈패션의 한 부분으로서 메이크업의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도 부각되고 있는 추세라고 본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 속에서 메이크업의 기본적인 요소인 색채는 그것의 유행성을 떠나서 색채가 갖는 특성만으로도 개성표현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색조화의 원리에 대한 응용은 기본적인 메이크업 지식으로서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시대의 흐름에 따른 유행적 특성에 맞추어 본 논문에서는 메이크업 색채와 이미지의 상황적 연출과 표현에 관한 연구를 통해 메이크업에서 사용되어지는 색채를 이해하고, 상황에 따른 색채를 제안하여 사용함으로서 다양한 미를 추구하고 나아가 개성미 연출을 위한 메이크업 디자인을 유추,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색채와 메이크업에 관련된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으며, 그 밖에 패션 및 메이크업을 다룬 잡지를 바탕으로 이미지 사진을 준비하였고, 칼라칩을 사용하여 계절별과 이미지별 색채를 제하였으며 수채화 물감을 사용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한 일러스트를 제시하 메이크업의 색채를 중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크업은 기초재인 피부와 얼굴의 구조 즉 여러 가지 형태, 크기, 위치를 가지고 있는 눈썹, 눈, 코, 입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는 곳에 화장품이라는 색채연출 재료를 사용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상황에 맞추어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기본적인 의미로서의 메이크업은 내재되어있는 무형의 자아를 표출하는 것이고, 의미가 부여되지 않은 메이크업은 결국 그 사람의 개성을 아름답게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본다.
둘째, 메이크업의 색채표현 기법은 인간 내면에 숨겨진 성격이나 감정, 지성적 감성 등을 외적으로 전달해주는 중요한 시각표현의 언어라고도 할 수 있다. 일상 생활에서는 물론 비즈니스적인 상황일 때에도 메이크업의 적절한 색채표현을 통한 메이크업은 전문가적인 인상과 신뢰도를 전달해 줄 수 있는 훌륭한 매체라고 판단된다. 메이크업에 더하여 상황에 어울리는 헤어 스타일이나 액세서리 등의 조화 있고 개성 있는 옷차림으로 연출한다면 자신의 개성적 이미지 전달에 있어 커다란 호소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메이크업에 색채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메이크업에 사용하는 표현 재료들의 종류와 사용법을 자세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연출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표현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색감이나 질감을 잘 응용하여 대상의 이미지와 목적에 맞게 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넷째, 메이크업에서의 색을 다루기 위해서는 색의 이론뿐 아니라 색감 개발을 위한 끊임없는 훈련이 필요하므로 메이크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색채를 연구하고 상황에 맞는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있어 시각언어의 한 부분인 메이크업의 색채를 제시하고 기준이 될 수 있는 메이크업 전문 색채의 표현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이와 관련된 보다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한다고 본다.|Recently, due to development of diverse mass media and industries, we have been living in an age of individuality and specialization, attaching greater importance to visual elements. Moreover, in this age people tend to present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working women increases rapidly, the make-up as part of the total fashion becomes more important.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situational presentations and expressions of make-up colors and images and thereupon, suggesting the make-up colors and designs depending on situations to pursue diverse beauties and render individualized aesthetics.
To this end, literature regarding colors and make-up was reviewed theoretically, while the magazines featuring the photos of fashion and make-up were examinet Then, colors were suggested by season and image by using the color chips, and illusts were designed to feature the make-up col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ke-up can be defined as expressions of self-images by using the color presentation materials or cosmetics on face, eyebrow, nose and mouth depending on their forms, sizes and locations.
Second, the techniques of make-up color expression may be important visual expression languages delivering inside character, emotion or intellect to others. In ordinary life and on business situations as well, the make-up or color expressions may be a good medium delivering a image of reliability or professionalism.
Third, in order to express the images using make-up colors, it is important to know well about types of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and render an image by using the color tones and textures.
Fourth, since it is required to learn about the color theories and develop a sense of color in order to handle the colors for make-up,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suggesting criteria for the visual languages or make-up colors in expressing the situational images.
- Author(s)
- 박연희
- Issued Date
- 2002
- Type
- Thesis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761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