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現代 메이크업에 나타난 文身 類型 硏究

Metadata Downloads
Abstract
현대 사회는 다양한 문화 속에 서로 다른 의식과 생활양식이 공존하고 있고, 여러 매체를 통하여 급속도로 바뀌는 유행과 세계 각지의 소식이 대중에게 전해진다. 외국의 문화를 쉽게 받아들이면서 우리의 전통적인 관념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고 연예인이 청소년의 우상으로 떠오르면서 이들을 통하여 새로운 트랜드(Trend)가 쉽게 번져 나간다. 이러한 예의 하나가 몇 년 전부터 유행하고 있는 문신(Tattoo)이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문신은 특정 하위 집단에 한정된 것으로 교도소 수감자나 폭력배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문신이 가진 몇 가지 약점을 보완한 헤너(Henna)를 이용한 문신을 연예인이 하고 나오면서부터 문신에 대한 고정관념이 흔들리기 시작했고 신체노출을 개성표현의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문신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대에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신을 이용하며 미학적이고 자학적인 쾌감을 통해 불안과 두려움을 해소하려는 치료제로 문신을 사용하기도 한다. 문신으로 장식하려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자신의 존재에 충실하며 자신의 존재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화장이라 하는 것이 단순히 얼굴만이 아닌 신체 전체로 개념이 확대되면서 신체를 꾸미기 위한 여러 종류의 바디 아트(Body Art)가 행해지고 있는데 그중 가장 화려하고 동적인 수단으로 문신이 이용되고 있다. 문신은 인류 문명의 발달과 그 시작을 함께 하며 역사를 통해 발전되고 변모되면서 현대에 이르렀다. 현대 패션(Fashion)에 나타난 문신은 자신의 개성을 독특하게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술의 한 형태인 바디 아트(Body Art)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문신에 대한 의식의 변화가 생기고 문신이 확산되고 있는 현시점이 문신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관점의 변화가 필요한 때라 생각하여 문신의 형태를 연구하여 보고자 한다. 현대의 바디 아트(Body Art)는 기술 및 문화의 발전과 깊은 관련이 있다. 문신은 신체를 인위적으로 변화시키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새로운 인물을 창조해 주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신의 정의, 문신의 기원, 문신의 목적 등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언급하고 메이크업의 기원으로서 문신이 가지는 중요성과 그 의미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현대사회에서 볼 수 있는 문신을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현재 볼 수 있는 광고, 패션쇼(Fashion Show), 영화 및 특정 집단의 문신 형태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현대인이 선호하는 문신의 형태 및 색상을 연구하고자 한다. 나아가 문신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피부에 시술되는 의료의 측면에서 볼 때 문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바디 아트(Body Art)라는 개념으로 문신을 재조명하였을 때 문신이 나아갈 발전적인 방향과 바람직한 문신의 미래상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modern society is the place where a variety of cultures coexist, where different life-styles are blended with one another, and where rapidly-changing fashions and the information of the world are delivered to the public through various mass media. Our traditiona ideas have had a lot of shifts by accepting foreign cultures so easily, and new trends have spread swiftly as the entertainers appear as the idols of teenagers. A tattoo can be one of such examples, which began to be in vogue a few years ago. The tattoo was an symbol for prisoners or gangsters, restricted in certain inferior groups.
However, the fixed idea that a tattoo cannot be removed began to be agitated as some entertainers had the tattoos which used the removable Henna, and the demand for tattoos has been increased around young women who intend to use the physical exposure as a way of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ies as miniskirts become the fashion trend of 2003. And as the meaning of a make-up shifts from faces to whole bodies, various body arts are being observed and among the arts tattoos are used most which are gaudy and dynamic.
From ancient times, a tattoo was a symbol for a chief officiating priest or the most powerful person, an amulet for primitive inhabitants to drive out fear, a token to symbolize for the solidarity between certain groups, for a certain promise, or for a certain belief, and a way to distinguish a certain person from another. In our time, tattoos serve as a way of expressing our individualities or as a kind of therapy to get rid of anxiety and fear through a self-tormenting feeling of pleasure. One of the reasons why people have tattoos is that they want to find the existence of the human who is alienated.
In the modern fashion, the tattoo is a way to express one’s individuality uniquely, it is included in the idea of the body art as one type of art, not but one of deviational and surrounding cultures. It is time to require the shift of the views of tattoos as they are used widely, s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apes of tattoos from those which can be seen in fashion-shows, movies, advertisements to those which the general public prefer.
It can be said that tattoos began its histor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culture, and that as time goes on they have been changed continuously. Modern body arts are related with highly developed techniques and complex, cultural developments. Tattoos present the possibility that can change bodies artificially, and create a person with a new air. This study is to make reference to the definition, the origin, and the purpose of tattoos, and to deal with the significance of tattoos as the origin of the make-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hapes of tattoos, examine each characteristic, analyze the tattoos which can be seen the modern make-up and those which can be seen advertisements, fashion-shows, movies and certain groups, and to examine what shapes and colors of tattoos the moderns prefer.
Author(s)
홍지현 .
Issued Date
2003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162
Affiliation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Degree
Master
Publisher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