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이이장(李彛章) 초상화 임모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후기의 관료인 수남(水南) 이이장(李彛章) 초상화를 대상으로 하여 진행한 바 있는 실제 임모작업을 다룬 것이며 특별히 그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쓰여졌다.
일반적으로 근대 이전 시기 동양 초상화는 크게 다음 두 가지 점에서 다른 회화와 확연히 구별된다.
첫째, 그 시대 역시 초상화는 당연히 설존 인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무릇 인물을 그리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일찍이 갈파한 고개지(顧愷之)의 주장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특정 인물을 닮게 그려내는 초상화 작업은 결코 간단치 않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근대 이전의 화가들에게는 전신사조(傳神寫照)라는 개념이 중시 되었다. 여기서 전신이란 대상 속에 내재하는 정신세계의 특징을 포착해 내는 것을 말하며, 사조란 화가가 대상을 화폭에 그림으로 표현해내는 것을 말한다.
둘째, 제작의 동기가 봉안(奉安), 향사(享祝)와 같은 다분히 실용적인 면에 맞추어져 있었다. 따라서 화가가 초상화를 그려내는 작업 과정에서 일정한 전형성(典型性)을 견지하는 것도 중요했다. 예를 들어 어진(御眞)의 경우 위엄을 강조하기 위해 정면상이 바람직하다는 기준이 세워져 있었고, 공신상(功民像)의 경우 귀감이 될 수 있도록 엄숙함과 기개를 강조하는 관행이 존재했다. 물론 이러한 전형성의 요구가 전신사조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은 아니지만 초상화 작업에 임한 화가에게 있어 이 둘은 전혀 다른 차원의 과제였으리라는 점을 우리는 쉽게 짐작해 볼 수 있다.
18세기 진경(眞景)시대는 가장 사실적인 초상화가 발달한 시기였다. 초상화는 현실을 대상으로 하여 이를 생생하게 묘사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진경풍속과 일맥상통하는 바가 컸기 때문이다. 이 시기의 초상화는 이전 시기 초상화에 비해 묘사의 사실성이 강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간설정법과 투시법에 있어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수남 이이장의 초상화는 좌안(左顔) 칠분모( 七分貌)의 공수(拱手)자세를 한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으로서 조선후기에 유행한 전형양식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임모 제작은 준비과정, 임모제작과정으로 구성되는 기본준비과정 그리고 초본 제작과 설색제작으로 구성되는 본 제작과정을 마친 후, 마지막으로 표장으로 완성된다.
본고는 우선 이이장상의 표현양식의 특징에 때해 약술하고, 다음으로 이 초상화 원본에 대한 임모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세부적인 기법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전통진채화(傳統眞彩畵) 기법의 구체적 작업과정의 심화와 전통채색 기법의 발전 방향을모색하는데 다소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essay deals primarily with the artistic tradition of realistic replication through the portraits of the government official Sunam E-jang Lee from the Later Joseon Dynasty, and also in particular about the process of creation itself. In general, pre-modem oriental portraits can be diferentiated from other paintings differ in two definate ways.
First, portraits from that era naturally used real people as the subject. As Kaizhi Gu once remarked, "Generally speaking, drawing people is the hardest task," and one can feel this. to be true as creating a portrait of a specific person in their likeness is never simple. In regards to this, the artists of old paid importance to a concept known as "Jeonshinsajo". "Jeonshin"(傳神), written with the characters for 'transfer' and 'spirit', implies capturing the spirit within the subject, and "sajo"(寫照), written with the characters for 'inscribe' and 'illuminate', refers to the artist expressing the subject within the picture.
Second, the motives for producing a portrait were often connected with the very real acts of enshrining or laying in state. Therefore, it was also important for the artist to adhere to a regular form when creating a portrait. For example, when drawing a royal portrait the standard was to keep the front side correct in order to give an air of majesty, and for a portrait of a minister, a gravity and a spirit were emphasized in order for it to be a model to others. Naturally the demands for these models were not set up right at the front when dealing with this concept of 'Jeonshinsajo', but when looking at the process of making a portrait one can easily surmise that these two models were on an entirely different level to the artist.
Author(s)
유경숙
Issued Date
2006
Awarded Date
2006-08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60
Affiliation
한성대학교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Appears in Collections:
회화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