幼兒 經濟倫理 敎育 實態에 관한 硏究
- Alternative Title
- 가톨릭 幼兒敎育機關 中心으로
- Abstract
-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주요 당사자인 원장 및 교사의 유아 경제윤리 교육을 실시하는 현황을 조사하여 경제윤리교육의 내용, 지도 방법, 교육적 효과 및 개선 방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서울, 대전, 마산에 소재한 카톨릭 유아교육기관의 원장과 교사 등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해 SPSSWIN의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경제윤리 교육 필요성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을 살펴 본 결과 원장이 다소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연령, 경력, 학력별 배경변인의 차이 없이 유아교육기관의 원장과 교사들의 대부분 97%이상이 유아의 경제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상당히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의 경제윤리교육이 왜 필요한가의 결과에서 1순위로 나타난 항목은 '나눔 과 베품이 57.2%, 다음으로 절약이 19.9%, 저축이 세 번째로 필요한 주제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행 제6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내용에 따른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각 배경변인별로 '조금 알고있다'(72.4%) '잘 알고있다'(4.7%) '모른다'(22.9%)로 현행 유아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현상과 환경에 대한 교수·학습지침서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한 원장과 교사의 새로운 관점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고 해석되었다.
한편 유아의 경제윤리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연령을 원장,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조사한 결과 만 3세∼만 5세까지 전체 81.6%를 차지하므로 유아교육 기관에 다니고 있는 3∼6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공감대를 형성하였으며, 원장과 교사간의 연령, 학력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경력별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유아의 경제윤리교육에 따른 운영방향 실태에 대한 원장,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조사한 겉과 '물건의 소중함을 알고 아껴 쓰는 습관을 기른다.(77.8%)'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재활용'(63.6%)을 유아의 경제윤리교육의 운영방향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운영방향의 실태조사의 결과에서 원장과 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주변현상에 관심을 갖고 나라 사랑하는 마음에 대한 연령, 경력별에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유아의 경제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결과에서는 유아는 체험적 경제윤리교육을 통해서 가장 잘 이루어진다는 의견에 일치를 이루었으며, 원장과 교사의 배경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위별로는 원장이, 연령별에서는 원장, 교사가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사회와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을 갖으며 나눔의 기회를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을 기른다' 46.4%의 반응으로 가장 높은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의견이었으며 경력, 학력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로 분석되었다.
유아의 경제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위한 교육활동방법으로 활용하는 것으로는 '이야기나누기(토의)'51.8%, '현장학습'14.4%, '체험적 활동 (바자회)'21.0%, 부모교육10.0%, 홍보자료3.3%로 비교적 이야기 나누기를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경제적 지식을 주입시키는 교육이 아니라 유아의 의사결정과 교육 활동과정으로 연결되는 전 생활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임을 강조한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집단 간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도 검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아의 경제 윤리교육 실천을 위한 개선방안 및 문제점에 관한 영역을 각 원장,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조사한 결과에서 유아의 경제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 45.5%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지도 계획과 부모교육의 강화 및 교사, 원장 연수 과정의 기회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별로는 개발보급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 경력, 학력별에서는 유의도 검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유아들의 경제윤리교육의 기초를 익힐 수 있도록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에서 연계교육 실기여부를 알아본 결과 '실시하고 일다 56.1%로 나타났고 교사들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연령, 경력, 학력별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도 검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아의 경제윤리교육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육이 가정으로 계속 이어질 때 가장 효과가 있으므로 각 유아교육기관은 가정과의 연계 교육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유아의 경제윤리교육을 현장에서 적용하는데 예상되는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경제윤리교육에 대한 정보부족' 3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제 윤리교육에 대한 관심' 30.6%와 '학부모 협조부탁' 21.8%으로 나타났다.
직위, 연령별로 교사들의 배경변인에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력, 학력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유아교육기관별로 다양하고 체계적인 경제교육에 대한 정보 및 관심과 학부모의 협조가 이루어질 때 효과적이라고 분석되었다.|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economic ethics education for infa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respondents thought most importantly of 'sharing and service' as the theme relating to the need for economic ethics education for infants. It was found that individuals should master a correct living habits from early childhood since it is an important behavior pattern in terms of economic ethics and value view to share what one has with others. The adults instructing infants provide an opportunity for sharing and showing an example for it was interpreted as showing a positive response in encouraging infants to become intelligent and generous persons.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human image pursued in the current 6th curriculum is the human being able to live together with those different from themselves, the human being able to feel hardships with others, and the human being able to share one's wealth with poor and miserable people. That is, it was found that it is pursuing whole-man education that enables infant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by inducing them to cultivate democratic citizen consciousness from early childhood.
And the basic guideline for revision of the 6th Curriculum presented the necessity for directors and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to have an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economic ethics education. It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shift in thinking from the 'curriculum the front-lin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on the kindergarten field give about economic ethics such as 'having an interest in the economic life linked to the 'social phenomenon and the environmental content' to the creative curriculum.
Secon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on the realities of the direction for operation of economic ethics education for infants showed that it placed an emphasis on knowing the valuableness of the articles and saving them. It was understood that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 to practice economic ethics education for infants consisted in the need for infant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through the opportunity to have an interest in societ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hare things with others. And it was found that practical use was made of talking with others, experiential activity and field study as the method of economic-ethics educational activity. This result revealed that economic ethics education for infants was understood a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reasonable and sound attitude towards economic life, of the whole-man developmental elements.
Thir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concerning the plan for improvement of the practice of economic ethics education for infants illustrated that it is most urgent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economic-ethics educational program for infants. Kindergartens primarily made practical use of such methods as providing infants with an opportunity to take turns using articles, and the method of making practical use of correspondence or written message or parental educational materials and practical cards as the method of instruction linked to the ho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fants should be trained with sustained policy and contents as part of living education in the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t home. The respondents sympathetically felt that the problem in applying economic ethics education for infants to the educational field included the lack of information on economic ethics education, active interest in he lack of interest in it and the will to practice it.
- Author(s)
- 宋淑子 .
- Issued Date
- 2003
- Type
- Thesis
- Keyword
- 유아경제윤리교육;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절약; 저축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43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