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외식업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study)는 한식당 종사원을 대상으로 직무만족(job satisfaction)과 이직의도(turn over)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의 제 요인(factor)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만족 및 이직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고찰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가설(hypothesis)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위하여 218명의 한식당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여부, 교육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혼의 경우가 미혼의 경우보다 직무에 대해 더 만족하고 있었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학력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직무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식당 종사원의 개인적 특성변수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는 근무부서를 뺀 나머지 요인에 따른 이직의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미혼이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학력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오래 근무한 사람일수록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따른 전체적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직무만족 영향요인 중직무자체와 임금, 복리후생이 한식당 종사원의 전체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식당 종사원의 전반적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따른 이직 의도는 임금과 직무자체 요인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식당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직무만족도와 이직 의도는 부(-)의 관계를 지니고 있어 직무만족도가 낮은 종사원일수록 이직하려는 의사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조사 도구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법만 이용하였는데 이 방법은 실제 사람의 감정적 측면을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는 데는 부족한 면이 있고, 설문지의 내용과 응답자의 반응 태도에 따라, 조사결과가 좌우된다는 것을 완전하게 통제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직무만족과 이직 의도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신뢰도와 타당성이 높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광범위한 표본의 선정 및 충분한 자료가 준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서울특별시 소재의 일부 한식당 종사원에 편중되어 그 조직의 구성원 특성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한식당의 조직이 경영자와 종업원이라는 단순한 체계로 이루어져 단계별 직책에 관한 요인에 대한 결과가 없다.|This study purposes to underst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the employe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and analyze how the various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m.
To accomplish the purpose, I set up an hypothesis considering the exist studie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nd asked 218 employe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to fill a questionnaire to verify the hypothesis objectively.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e study in brief:
First, the job satisfaction differs meaningfully according to whether they are married or single and their education level. In particular, the married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the single, and the less they are educated the higher their job satisfaction was.
Second,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employees differs meaningfully according to the certain personal reasons except for the department. In particular, the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with the male than the female, the single than the married and the younger than the older employees. Moreover, the more they are educated and the shorter they are employed their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Third, the level of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job itself, pay and welfare influenced meaningfully on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Fourth, the job itself and pay factor among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influenced meaningfully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employe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Finally, it has result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nnec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they have their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the following limits:
First, the study only used the questionnaire approach by which measured the emotional aspect of respondents simply based on Likert 5 point, and was unable to control the instability of the result according to the question and the responding attitude of the respondents.
Second, the more reliable and adequate approach should be developed to analyze the further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e study was limited to some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and possibly reflected the regional character of the respondents strongly. Specifically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clusive of the analysis on the professional status factor because the most of the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are composed simply of employer and employees.
Author(s)
이상규
Issued Date
2006
Awarded Date
2006-08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21
Affiliation
한성대학교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Appears in Collections:
부동산도시개발·관리전공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