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영화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분장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팀 버튼 영화를 중심으로
Abstract
영상예술의 완성은 바로, 내러티브의 중심을 이루고있는 배우의 캐릭터를 어떻게 잡느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캐릭터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 결정적인 권한은 물론 작가-감독에게 있다. 그러나 작가가 아무리 좋은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다고 하여도, 그것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스텝이 없다면 아무런 소용이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직접적으로 캐릭터를 시각화하는 분장스텝이야 말로 작가의 영상철학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영화의 다양한 장르가운데 환상성에 기초한 독창적인 캐릭터를 창출하고자 할 때는 분장디자이너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 이에, 독특한 비쥬얼을 영화에 적용하고있는 팀 버튼감독의 작품을 분석대상에 놓고, 그로테스크이론에 입각한 캐릭터의 시각화작업을 시도해 보았다.
그로테스크 캐릭터 분장을 첫째, 인간의 양면성을 기초로 한, 사실적인 이미지의 보조재 역할로의 분장. 둘째, 이질적인 요소의 결합을 통해 시각화되는 창조적 이미지. 여기에는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창조된 인물과, 상상 속에서 변형되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이미지 모두를 포함한다. 셋째, 신체의 은폐, 혹은 절단과 파손을 통해 시각화되어지는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의 창출. 넷째,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존재들이 가지고 있는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의 외적 형태로의 표현. 다섯째, 성을 매개로 지금까지 존재하고 인식되어졌던, 남녀 구분의 이분법을 넘어 젠더의 경계를 흐리고 넘나드는 캐릭터. 마지막으로, 키치적 특성을 캐릭터에 적용함으로써 조롱과 웃음을 유발하는 그로테스크한 인물의 분장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내러티브를 지닌 영상물의 실제 촬영에 있어 하나의 철학적 기초가 되어질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한 가능성의 현실화를 위해, 촬영 현장에서 활동하는 분장디자이너나, 교육현장에 종사하는 교육자 모두 공통적으로 분야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본다. 아직까지 아이디어나 기술에 있어 저급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우리의 현실을 감안할 때, 현재 학문에 노력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This research will show that Tim Burton's world-view arises out of an understanding of his characters, their surroundings, and the idea of a film. Tim burton has a specific, unique, consistent, and repeated message he attempts to reveal through his body of work, including not only the films he has directed, but also the other productions he has either written or produced.
The message contained in these texts is that even though the world views some individuals as misfits and outsiders, those who do not fit within the norms of society, these members of society are actually of worth. These misfits are misunderstood, and can actually be the heroes of society. Society, in Burton's films, is fighting against what it perceives as monsters, although society's perception is wro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auteur research will be used to discover his world view. This thesis looks individually at each Tim Burton text, using a rhetorical analysis that uses general concepts from the Burkean Pentad. The conclusion discusses how these individual texts fit into Tim Burton's overall auteur style, and how his world view is revealed.
Author(s)
朴善只
Issued Date
2003
Type
Thesis
Keyword
영화그로테스크분장팀버튼분장예술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17
Affiliation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