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아이 메이크업에 의한 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아이 메이크업의 디자인 요소인 형태와 색을 연구하고, 메이크업시 선호하는 이미지를 알아보고 이미지 연출을 위한 아이 메이크업 디자인을 제시하여 메이크업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관련 문헌 자료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이미지별 아이 메이크업 예측을 위해 제안 연상법을 통해 설문 조사하였고 그 결과 이미지별 아이 메이크업의 형태와 색을 일러스트로 제시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부산과 경남에 거주하는 20대 여성을 편의표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호하는 메이크업 이미지를 사전 조사한 결과 '여성적, 지적인, 귀여운, 세련된, 섹시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를 중심으로 이미지별 아이 메이크업의 형태와 색을 알아보았다. 여성적 이미지의 아이 메이크업은 기본형 눈썹에 핑크색 아이섀도, 지적인 이미지는 각진형 눈썹에 브라운색 아이섀도, 귀여운 이미지는 직선형 눈썹에 핑크색, 세련된 이미지는 기본형 눈썹에 회색, 섹시한 이미지에는 아치형 눈썹에 보라색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소 메이크업 시에도 대부분 아이 메이크업에 많이 신경 쓰고 있다고 답하였고, 그중에서 '아이섀도'에 가장 신경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즐겨 쓰는 아이섀도 색상은 '브라운'이고, 평소에 그리는 눈썹형은 '기본형'이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눈과 눈썹의 이미지는 선의 이미지와 색채의 이미지가 그대로 반영되어 아이 메이크업의 형태와 색으로 다양한 이미지 변화가 가능하여 아이 메이크업의 디자인 요소로 선과 색의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study form and color, factors of eye make-up design, find the preferred image in case of make-up, suggest eye make-up design for image presentation and use as it make-up material.
As research method, this paper theoretically considered through relative literature material and peformed questionnaire for predicting eye make-up through proposition imaginary. From the result of it, this paper suggested form and color of eye make-up by image through illustrate. As targets, female group of 20 age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and for analysis on dat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were used.
From the result of surveying preferred make-up images to extract image, they were 'feminine, intellectual, pretty, polished and sexy image'. The researcher surveyed form and color of eye make-up by image on the basis of those. Eye make-up of feminine image was basic-type eyebrow and pink eye shadow, intellectual image was angulated eyebrow and brown eye shadow, pretty image was linear eyebrow and pink eyebrow, polished image was basic-type eyebrow and gray eye shadow and sexy image was arch eyebrow and violet eye shadow.
All targets replied that most of them were paying much attention to 'eye make-up' in case of daily make-up too. Among them, they paid attention to eye shadow more than others. Their most favorite color was 'brown' and most favorite eyebrow type was 'basic type'
From the above result, it is can be known that line and color are important factor as factors of design because image of line and color directly reflected in case of images of eye and eyebrow so various image changes are possible through form and color of make-up.
Author(s)
李政垠
Issued Date
2003
Type
Thesis
Keyword
아이 메이크업이미지 연출분장예술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889
Affiliation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