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兒童의 學級 配定에 관한 硏究
- Abstract
- (이전원문누락)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쌍둥이 아동들의 학급배정 방식은 1학년 때를 제외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다른 학급에 배정되어 있는 방식인데 이는 점점 독립심이 증가하여 쌍둥이 형제 이외에 다른 친구들을 많이 사귀게 되고 쌍둥이 상호 간에 경쟁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상대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낮아져서 다른 학급에 배치되는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자 쌍둥이 아동보다 남자 쌍둥이 아동일 경우 다른 반에 배치되는 경향이 다소 높았다. 그러나, 쌍둥이의 성별과 학급 배치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다. 난성 또한 학급 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달리 일란성이라고 정서적 의존도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닌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쌍둥이 아동들과 부모들의 학급배정에 대한 만족도는 쌍둥이 아동들은 다른 학급에 배정되었을 때 만족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고학년이 되어서 다른 학급에 배정될 경우에 만족도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학급 혹은 다른 학급에 배정되었을 때 모두 고학년 아동의 무응답자 수가 많은 것은 불만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쌍둥이 짝에 대한 미안함과 솔직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부담이 갈등을 일으켜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배정된 학급에 만족한 정도는 저학년의 경우에 같은 반이든 다른 반이든 모두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고학년의 경우에 같은 반 보다 다른 반에 배정되었을 때에 만족감을 더 많이 나타냈다.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가까웠다. 쌍둥이 아동이나 학부모의 희망에 따라 반 배정을 받았을 경우에는 같은 반에 배정 받았든지 다른 반에 배정 받았든지 모두 만족하게 생각했다. 희망에 따라 반 배정을 받았을 경우에도 다른 반에 배정 받은 경우에 만족도가 다소 높았다.
학급 배정을 할 때에 부모의 희망을 따른 경우가 48%로 학급 배정에 가장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명했음을 알 수 있다 교사(학교)의 의견은 16%에 불과하여 학교나 교사들은 쌍둥이의 반 배정에서 학부모와 아동에게 많이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쌍둥이 아동의 학급 배정에서 부모와 쌍둥이 아동, 교사의 희망이 함께 고려된 경우(12%)를 감안하면 쌍둥이의 학급 배정에 있어서 학부모가 가장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쌍둥이 아동들의 학급배정과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에서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는 쌍둥이들이 학급 배정에서 같은 학급이든 다른 학급이든 느끼는 행복감은 크게 차이가 없었다. 쌍둥이 아동들이 같은 학급에 배정되었든 다른 학급에 배정되었든 쌍둥이 형제간에 협동심이 잘 발휘된 것으로 나타나 반 배정에 따른 협동심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다른 반에 배치되었더라도 쌍둥이들은 서로 협동하는 경향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쌍둥이 아동들이 같은 학급일 경우에 경쟁심을 더 많이 일으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도달하지는 않았다. 또 쌍둥이 아동들이 서로 같은 학급에 배정되었을 때 의존심이 약간 높게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도 역시 통계적 유의 수준에 도달하지는 않았다.
쌍둥이 아동들의 학년, 난성, 성별에 따라서는 교우관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급 배정에 따라서는 교우관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다른 학급에 배치되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쌍둥이 형제 외에 다른 친구들을 더 많이 사귀는 것으로 나타났다.
쌍둥이 아동들이 같은 학급에 배정되었을 경우나 다른 학급에 배정되었을 경우에 교사로부터 비교된다고 느낀 경우는 학급 배정과 상관없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쌍둥이 아동들이 서로 같은 학급에 배정되었을 경우에 부모로부터 비교된다고 느끼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서로 다른 학급에 배정되었을 경우에 친구들부터 비교된다고 느끼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비교되는 것에 대한 반응은 학급 배정과 상관없이 쌍둥이 아동들의 79%가 타인들로부터 비교대상이 되는 것이 싫다고 응답하였다.|The main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survey the current classroom assignment of the twin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investigate whether parents a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classroom assignment of their twin children,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win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whether the twins are assigned in the same classroom or not. Three hundred and eighty-four twin children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s questions on whether they are in the same classroom or not, their competition and cooperation, whether they are compared to each other by their peers, parents and teachers or not, etc. One hundred and sixty-one parents of the twins completed a zygosity questionnaire and telephone interview with regard to satisfaction regarding school policies, whether they support or reject separate classrooms for twins and related issues. Data analyses yielded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hether the twins are in the same classroom or not and twins zygosity or sex. However, grad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lassroom assignment.
That is, with grade, twins tended to be in the separate classrooms. Second, both parents and their twin children tended to be satisfied with their twin children current classroom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in the same classroom or not.
Finally, twins in the separate classroom had a better peer network and tended to be less compared by their parents.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in the school policy were discussed.
- Author(s)
- 孫榮桂 .
- Issued Date
- 2003
- Type
- Thesis
- Keyword
- 쌍둥이; 학급배정 방식; 교우관계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887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