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스트리트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미적 소외 현상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미적소외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 소외와 미적 소외의 개념에 관해 살펴보았고, 아방가르드, 추(醜)의 미학, 해체주의를 통해 미적소외의 표현적 특성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특성이 헤어스타일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압구정, 홍대, 대학로에서 2004년 10월 9일에서 30일까지 오후 1시에서 오후 6시 사이에 거리에서 발견되는 헤어스타일을 촬영하여 미적 소외의 표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미적 소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의 스타일 내에 상반된 요소가 공존하는 '혼용'으로 경계의 초월, 이질적인시간적·공간적 요소, 대립적 요소의 공존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둘째, 규칙적인 조화에서 벗어난 상태 또는 비례의 무시로 기괴함, 괴상함 등에서 존재하며 의식적인 과도성의 결과인 '왜곡'이다.
셋째, 기존의 질서 또는 형식의 '파괴'가 있다.
넷째, 완전성에 대한 부정으로 '불완전'이 있다.
다섯째, '비정형'으로 정형화된 것을 부정하고 탈중심, 탈구성, 위치 전환의 형식 또는 일정한 규칙이나 룰의 지배를 받지 않는 무질서한 경향으로 나타난다.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미적 소외의 표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나간 시대의 유행을 오늘을 사는 사람들의 기호에 맞게 재 수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레트로 스타일에 나타난 시간의 혼용, 서구적인 문화의 영향으로 금발로 염색 또는 탈색을 한 헤어스타일 또는 에스닉풍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공간의 혼용, 또는 깃털처럼 가벼운 느낌의 헤어에 아주 무거운 뱅헤어를 혼용한 스타일 등에서 '혼용'의예를 찾을 수 있다.
둘째, 인체의 비례를 무시한 디자인 또는 디자인 내에서의 부분과 부분의 질서와 조화가 무시된 경우로, 보편적인 기준의 인체에서 볼 수 있는 비례를 무시하고 디자인의 크기를 과도하게 부풀린 빅 바운스(Big Bounce) 헤어 또는 헤어 스타일의 질서와 조화가 무시되고 특정 요소를 극도로 과장한 펑크스타일의 스파이키 헤어, 스킨헤드 등이 '왜곡'에 해당된다.
셋째, 헤어스타일의 소재는 모발이어야 하고 모발 이외의 소재는 고정 또는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기존의 고정 관념을 탈피하고 이질적인 소재가 헤어로써 사용이 된 경우나 전통적인 성의 개념 파괴로 여성의 남성화, 남성의 여성화 등이 '파괴'에 해당된다.
넷째, 우연과 임의성에 의한 자유로운 스타일은 정형화된 형을 탈피함으로써 불완전해보이는 스타일을 허용하고 개인의 주관적인 미를 표현한 주로 샤기한 느낌의 스트록 컷이나 디스커넥션에 의한 가벼운 커트가 기본이 되어 완스를 비롯한 기타 스타일링 제품을 이용해 계획되지 않은 뻗치고 헝클어져 보이는 스타일로 '불완전'의 미를 나타낸다.
다섯째, 디자인의 시각적 안정감이 중심을 벗어나 있는 경우나 비대칭적인 디자인으로한쪽으로 기울여서 포니테일을 한 스타일 또는 기존의 헤어스타일에서 생각할 수 있는모발이 고정되는 위치 또는 디자인의 포인트가 되는 위치 등이 전환되어 있는 경우가 '비정형'에 해당된다.
이상에서 나타나는 현대 헤어스타일의 다양한 특성들은 미적 기준이 다양화되어 유동적 미적 가치와 미적 기준을 받아들이는 미적 소외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혼용, 왜곡, 파괴, 불완전, 비정형의 미적 소외의 표현적 특성에 의해 현대의 젊은이들의 스트리트 헤어스타일을 분석할 수 있었다. 미적소외는 사회가 제시하는 미적 가치 기준을 불필요한 것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예술의 상대적 자율성을 부여하여 예술의 다양화와 미적 가치와 미적 기준에 대하여 열린 개념과 비주류, 소외되고 은폐되었던 것에 대한발견으로 새로움을 받아들이는 사고의 전환을 유발시켰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relates to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alienation found in the individuals' hair styles. For the purpose of it,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alienation and aesthetic alienation, and extract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alienation through avant-garde, "aesthetics of ugliness", and deconstruction. In order to identify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in the hairstyle, photographed people's hair styles seen in the main streets of Seoul, such as Apgujeong, Hongik University and Daehak-ro. Between 1p.m-6p.m. from October 9, 2004 to October 30, 2004, and analyz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alienation therefrom.
The aesthetic alienation's characteristics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y feature "mixing" that contradictory elements coexist within one style, representing transcendence of border, heterogeneous factors in time and space, coexistence of opposite factors, ambiguity, disorganization, transformation, discontinuity, and so on.
Second, they feature strageness or oddity, more specifically, deviation from regular harmony or disregard of proportion, that is "distortion" as a result of conscious excessiveness.
Third, there is "destruction" of existing order or formality.
Fourth, there is "incompleteness", which is negation against completeness.
Fifth, they feature "atypicality" disregarding what is formalized, decentralization, deconstruction, dislocation or disorderly tendency deviated from specified rul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alienation shown on the hairstyl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amples of "mixing" include the "mixing of time" that is found on the retro style, which means modifying old styles appropriate to the taste of the contemporaries, the "mixing of space" that is found on the hairstyle dyed or decolored blonde due to the influence of Western culture or on the ethnic hairstyle, and those hairstyles that mix the light hair like a feather and the very heavy bang-hairstyle.
Second, they feature those designs that ignore the proportion of human body or the order among parts within the design. Examples of "distortion" include Big Bounce hairs that inflate the size of design, ignoring the proportion seen in the human body according to the general criteria, punk-style's Spiky Hair that tremendously emphasizes specific elements, ignoring the orderliness or harmony in hairstyles, and the Skinhead hairstyle.
Third, examples of "destruction" include the case of using foreign materials as hair being deviated from the stereotype that the materials of hairstyle should be hair, and other materials besides hair should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fixation or ornament, and masculinization of women and feminization of men by the destruction of the existing gender concept.
Fourth, the free style of casualness and voluntariness deviates from standardized shapes, and accepts incompletely looking style. The style represents the beauty of "incompleteness", basing the slight cut by disconnection, featuring the shaggy stroke cut that expresses the unique beauty of an individual, using wax and styling products and making the hair dishevelled, stretching and disorderly.
Fifth, the atypicality includes the style that the visual security of design deviates from the center, the ponytail style that leans to one side, featuring asymmetry and such a case where the position at which hair is fixed or the point of the design exists is dislocate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hairstyles as seen above feature aesthetic alienation to accept flexible value or criterion of beauty according to various aesthetic standards. This study analyzed the street hairstyles of the contemporary youth based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alienation featuring mixing, distortion, destruction, incompleteness and atypicality. The aesthetic alienation deems the aesthetic values or criteria presented by the society as unnecessary, and acknowledges the relative autonomy of art.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cept leads the way of thinking to the acceptance of new things by encouraging the diversity of art, providing an open mind to the aesthetic values or criteria, and discovering non-mainline, and what has been alienated and concealed.
Author(s)
정유진
Issued Date
2005
Awarded Date
2005-08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883
Affiliation
한성대학교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