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소비자의 아파트 구매선택요인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소비자의 아파트 구매선택요인을 확인하고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아파트 선호 트랜드를 파악함으로써 아파트 사업자의 분양 및 기획 마케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소비자의 만족과 미래시장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한 자료의 조사대상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강서구 지역이며, 아파트에 거주하거나 거주할 의사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아파트 구매선택요인에 관한 실태조사를 하였다. 우선, 아파트 구매 시 고려되어지는 선택요인들을 속성에 따라 주변입지, 단지특성, 주택특성, 경제성, 브랜드와 같이 5개 상위계층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선호도 순위 등을 실증분석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아파트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상위계층요인의 순위를 살펴본 결과 경제성이 가장 우선순위로 조사되었으며, 단지특성, 주택특성, 주변입지, 브랜드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요인의 각 하위계층 요인에 대해 살펴본 결과 주변입지에서는 대중교통의 편리성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단지특성에서는 주차공간을, 주택특성에서는 환기 및 통풍시설을, 브랜드에서는 사후관리 부분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위계층 순위가 가장 높았던 경제성에서는 미래에 대한 투자가치를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택에 대한 투자재로서의 인식이 여전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주택을 재테크 수단으로 인식하고 단순히 거주하는 목적이 아니라 부의 축적수단으로 보는 소비자의 의식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들의 연령, 소득, 성별, 학력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거주특성과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가 높을수록 거주하는 주택규모가 증가하며 소득이 높을수록 아파트를 선택할 확률이 높고 거주하는 주택규모나 선호하는 평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주택규모가 커지고, 선호하는 주택의 평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상위계층요인의 우선순의 역시 경제성이 높게 나타나 소비자들은 미래에 대한 투자가치나 분양가격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건설업체들은 시장상황을 반영한 적절한 분양가격 책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소비자에게 소유에서 거주로의 인식전환이 가능하도록 신뢰할 수 있는 장기적인 주택정책의 비전 제시가 필요할 것이다.

| The study aims to present preliminary marketing data for sales and planning of apartment business by identifying recent choice factors of apartment purchase for consumers and analyzing critical factors in order to understand preference trend for apartments, and to suggest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br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deal with changes of future market based on the outcomes of analysis.
The spatial range of study for the analysis is Gangseo-gu area (the West side of Han River), Seoul, and the actual condition of choice factors for apartment purchase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for those who are living in apartments or those who are willing to live in apartments. Firstly, choice factors that are considered when purchasing an apartment was classified into 5 top factors according to properties as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economic feasibility, and brand. Also, the ranking of preference and others were analyzed around demographic factors.
When identifying top-class factors of those surveyed for purchasing apartment, the economic feasibility ranked no.1 follow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s, neighborhood, and brand in order. Moreover, when studying sub-factors of each of them, the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neighborhood; parking spac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 ventilation system for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s; and after-service for brand. Meanwhile, for the economic feasibility which took the first place from the top-class factors, it was identified that the pollees prioritize investment value for the future so tha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cognition of housing as investment goods is still prevalent. In other words, the results directly reflect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that they recognize housing not only for residence but also as investment techniques as well as the way of capital accumulation.
The study of residenti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around demographic properties including age, income level, gender, and education level of those surveyed reveal that older people tend to live in bigger houses. Also those who are in the higher income bracket tend to choose to live in apartments, and they prefer bigger size of houses and apartments at the same time. Moreover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level tend to live in bigger houses and their preferred size of housing tends to be increased. The priority among top-class choice factors considering demographic properties was the economic feasibility as well, so that consumers consider the future investment value and the price of sales very seriously.
Author(s)
피영주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06
Type
Thesis
Keyword
아파트아파트 구매구매선택선택요인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866
Affiliation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Advisor
안정근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부동산평가전공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