成果管理시스템 및 組織文化가 職務成果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 Abstract
- 사회가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 이동하면서, 경쟁은 심화되고 글로벌 경제 하에서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는 무한 경쟁의 상황 속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업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성과관리시스템을 도입 운영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운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성과관리시스템은 성과/평가 패러다임에 의하여 등급화와 서열화를 통한 등급의 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성과/평가 패러다임에 의한 성과관리시스템은 단기적인 성과에 해당하는 재무중심의 성과지표에 집중되어 미래의 재무적 성공의 토대가 되는 무형자산 특히, 인적자산에 대한 투자나 관리가 소홀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지속적인 성과 창출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대안 중의 하나인 성과관리시스템은 효과적인 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을 위해서 시행되어야 한다.
구성원들이 만족하는 성과에 의한 조직성과의 창출은 기업의 인적자산의 개발과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하여 무한 경쟁 속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성과/평가 패러다임에 의한 성과관리시스템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위한 성과관리시스템으로 대체되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성과관리시스템과 조직문화 그리고 직무성과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우리나라 기업이 적용하고 있는 성과관리시스템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성과관리시스템와 조직문화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둘째, 성과관리시스템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셋째,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관리시스템은 건설적 조직문화와 수동/방어적 조직문화에 대하여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과관리시스템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설적 조직문화는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건설적 조직문화는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긍정적인 방향으로 관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성과관리시스템은 구성원의 직무성과 향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성과관리시스템의 프로세스에 따라 유의적인 영향의 방향이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성과관리시스템이 성과/평가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운영되므로 구성원의 직무성과 향상에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성과관리시스템과 조직문화, 조직문화와 직무성과의 영향을 살펴보면 건설적 조직문화 만이 성과관리시스템과 직무성과 모두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관련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성과관리시스템은 성과/평가 패러다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관행은 파괴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기업의 혁신과 지속적인 성과창출에 장애물이 될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성과/평가 패러다임 중심의 성과관리시스템은 성취문화, 자아실현문화, 인본주의 문화, 친화적 문화를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 건설적 조직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성과관리시스템으로 변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구성원들이 만족하는 성과에 의한 조직성과의 창출이 기업의 경쟁우위와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조직성과를 위해서는 건설적 조직문화의 창출과 성과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성과관리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은 구성원 개개인 직무성과의 향상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으며,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목표달성과정과 과업달성노력, 창의성과 혁신 그리고 열린 의사소통과 구성원의 능동적 참여 등이 바탕인 건설적 조직문화의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Author(s)
- 박은석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02
- Type
- Thesis
- Keyword
- 성과관리시스템; 조직문화; 직무성과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859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