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성격분장의 유형별 이미지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V 드라마 <野人時代>등장인물을 중심으로
Abstract
어떤 의사결정을 할 때에는 무엇 때문에 결정을 하는가의 목적이 반드시 있다. 이를테면, 기업의 경우에는 장기적인 이윤(利潤), 놀이나 스포츠의 경우에는 상대보다 높은 점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의사결정자에게 있어서 가장 좋은 결정이란, 그 목적을 달성하거나 목적의 가치를 최대로 하게 하는 결정이다.
그 결정을 내리게 하는 여러가지 요인 중에는 다양한 자료나 분석들을 근거로 결정을 내리게 된다. 하지만 객관성의 자료가 무색하게 되는 유일한 것이 바로 사람을 선택, 결정하는 것이다. 이력서란 것으로 객관적인 자료를 내세우기도 하지만 "열길 물 속은 알아도 사람의 마음은 모른다."는 한국의 속담에서도 보듯 사람을 선택하는 것이 예나 지금이나 가장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관상학이 나온 것은 과거 통치자들이 인재를 등용할 때나 일반인들의 혼인, 거래등등에서 이력서 없이 사람을 판단하게 하는 데 기여했음이 분명하다. 관상학은 현실에 근거를 두고 통계학적 방법에 따르는 등 과학적인 방법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전해지는 다른 점술(占術)과는 근본적으로 그 유례를 달리한다.
그렇다면 인간의 다채로운 삶들을 극적인 갈등으로 표현한 드라마나 영화에서 보여주는 인간은 어떻게 표현되어 지며, 극본은 소설과 마찬가지로 고독한 묵독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극본은 어디까지나 극본에 그치는 것이지 결코 소설의 일종 일 수는 없다. 극본이 소설과 다른 점은 그것이 모두 행동에 의해서 제기 된다는 점에 있다. 드라마라는 말 자체가 원래는 그리스어로 '행동한다'는 뜻의 동사 드란(dran)에서 나왔듯이 처음에는 일반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뜻하였다. 대화는 행동적인 것으로 그 배후에는 항상 행위가 잠재해 있다. 따라서 극본은 쓰인 언어만으로 완전히 표현되는 것은 아니며, 그러한 뜻에서 극본은 미완성의 것이다. 그래서 완성을 구하기 위해서 극본은 자연히 연기자를 초대하게 된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것을 표현해야 하는 드라마에서 등장인물 각각의 캐릭터를 가슴에 적어 붙이고 다닐 수도 없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어차피 드라마가 극적인 감정으로 카타르시스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전제했을 때, 어떤 행위든지 관객으로 하여금 감정이입을 방해하는 요소를 배제하여 극히 자연스러운 행동만을 추구하게 된다. 그렇다면 가장 짧은 시간 안에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바로 통계학적인 방법에 따른 인상학에 기인하여 그 캐릭터를 표현하는 것이고,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얼굴이다. 이렇듯 인상학이 캐릭터의 효과적인 표현 방법으로서 분장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인상이라는 것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런 양면성을 통하여 전혀 다른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해 낼 수 있다. 사람의 인상이라는 것은 환경에 의하여 변할 수 있으며 시대적 흐름에 따라서 미적 가치기준이 틀려지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TV 드라마 작품의 등장인물 성격의 창조과정을 연구하고, 발전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인상학의 응용부분을 연구해 보았다. 드라마 속 성격분장의 유형별 이미지를 살펴보고, 인상학에 근거하지 않은 캐스팅으로 인한 극중 캐릭터의 변화가 작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서도 고찰을 해보았다.
TV 드라마, 영화등은 각 작품의 등장인물이 Type Casting이 아닌 짜맞추기식의 배역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성격분장도 계속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 좀 더 과학적이고 조직적인 방식으로 대비하고, 학문적으로 대응하여 보다 섬세하고 감상적인 한국적 분장의 기술개발은 연구사적으로 보아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요청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미리 대비하기 위해서는 성격 분장의 기본이 되는 인상학에 근거를 마련한 체계적인 자료의 구축이 필요하며, 그 구축된 지식으로 인한 분장 기술의 연구개발은 가장 시급한 문제라 할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으로 통한 다양한 분장 전문 인력 양성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When making a decision of any nature, there is always a purpose for which it is made. For instance, businesses have the purpose to make profits and games or sports vie for greater points. Likewise, the best decision for whomever that make it, is one that accomplishes the purpose intended or maximizes the value of the target intended.
Among the variables by which a decision is made include diverse information and materials. What obviates the objective nature of the information is selecting or deciding on a person. Resumes portend objective information, however, whatever they may represent, they do not represent what is inside that person. As can be seen in numerous Korean sayings, selecting a person is perhaps the most difficult task.
In this context, physiognomy is likely to have had contributed to appointing subordinates by the rulers in the past, marriages among the laymen, and business transactions, among others. Since it bases its logic upon the reality while utilizing statistical methods, physiognomy is scientific in that it differs fundamentally from other prognostication or fortune telling.
Then how is a human portrayed in a television drama or movies that deal significantly with the dramatic qualities or natures of life? Scripts are read in silence as in the case of the novels, but they never will be any more than the scripts. Scripts are different from the novels in that they originate by and in action. Originally, drama is from the Greek word ”dran,” which means ”to act.” As conversations involve something in motion, in their background is always an action. Hence, writing a script does not always fully deliver by or through language, in which respect scripts could only be less than complete. For completion, therefore, scripts require actors naturally.
In a drama where a lot has to be portrayed and delivered, it is a result so natural that each character could not hang what he or she ought to show on his or her chest. Assuming that a drama requires emotion and catharsis resulting from it, any action prevents elements that intervene with the interjection of emotional qualities. Such actions certainly prevent the audience from emerging themselves emotionally. That said, the most efficient way of portraying characters in the shortest time would be the physiognomy based upon statistical methods, the majority which tend to involve face. Thus, that the physiognomy has a great influence over how characters are portrayed is a natural consequence.
Human impressions have a dual quality through which an entirely different character could be created. They might change by the environment and artistic standards vary by the trends in each time period.
This study has undertaken investigations of how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are created via the window of the physiognomy and how they continue to develop. To maximize the effects, characters and their types in dramas were examined rather than the actual existing persons. Further, how the changes in the characters, not based upon the physiognomy, affect the work examined was studied. Since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our culture by large has undergone industrialization, and the television and movies alike are being digitalized. While that the characters in every work are assigned on a need basis rather than by 'type casting' as a resul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character-based makeup continue to undergo changes. In this light, a more scientific and organized preparation, while scholarly investigating to accomplish technology development in a Korean way for better sentimentality in detail, has been called for in view of the history of the research studies conducted.
To counter such anticipated issue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and build data based upon the physiognomy that provides a basis for character-based makeup, the use of the data by which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now is of the utmost need. Furthermore, to follow up with this initiative, institutional mechanisms enabling makeup specialists development via systemic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must be in place.
Author(s)
李美愛
Issued Date
2003
Type
Thesis
Keyword
성격분장유형별 이미지야인시대등장인물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858
Affiliation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