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色調化粧品 流行色의 變化와 消費者 購買行態의 相關性硏究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난 1990년대 국내시장에서 판매되어진 색조화장품 유행색 변화 양상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살펴보며, 2000년대 색조 화장품의 유행색에 대해서 미리 예측해 본다.
또한 유행색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색조화장품 유형인 립스틱의 선호색상 구매행태에 대하여 조사분석하고 색조화장품의 구매 행태에 대해서 색조화장 라이프 스타일과의 연관성을 비교분석 한다.
1. 색조화장품 유행색의 변화양상
'90년대 색조화장품과 유행색의 흐름은 패션과 함께 계절별의 흐름에 따라 비교적 같은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색조화장품의 봄·여름은 페일 톤, 라이트 톤을 하이라이트로 표현되었고, 디프톤, 다크톤으로 강조색으로 사용하였다. 색상으로는 흐린 주황(5YR 8.5/5), 노랑(10Y 8.5/12), 흐린 분홍(5RY 8.5/2), 맞은 분홍(10RP 7.5/5), 빨강(5R 4.0/l3) 등 이라 할 수 있다. 가을·겨울에는 회색조 그룹과 다크톤, 화이트와 블랙, 하이라이트로는 파스텔 톤의 다양한 색상과 가을에는 브라운계열, 겨울에는 검정색과 흰색 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유행색의 봄·여름은 밝고 신선함을 느끼는 비비톤에서 다크톤, 부드러운 파스텔까지 다양한 색상과 가을·겨울은 그레이에서 다크톤, 페일톤, 내추럴 칼라로 진행했음을 알 수 있었다.
'90년대 초반에서 중반까지는 국내 주요회사들의 유행색이 다소 획일적으로 서로 유사하게 제시되었으나, 후반으로 갈수록 각 회사별 개성있는 특징적인 색상들을 선보였다. 같은 계절 상품이라도 유행을 해석하여 제시하는 방법들이 각기 다양해져 같은 계절내에서도 서로 다른 색상들이 회사별로 구분되어 제시되는 양상으로 변화하여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고 볼 수 있다.
2. 메이크업 유행경향 예측
2000년대에도 메이크업과 패션은 진행방향이 유사하게 진행되므로 패션경향에 준하여 메이크업 유행경향을 예측한다. 유행할 색상들을 살펴보면 순수하고 투명한 느낌이 드는 카멜색의 색상그룹들을 기본으로 풍요로우면서 깊이있고 화려함이 느껴지는 색상은 빨강이며, 빨강의 다양한 톤의 색상들과 이와 근접한 주변 색상그룹으로 주황, 핑트, 자주색이 선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순수한 느낌의 카벨색은 투명하지만 세련되게 메이크업되는 얼은 화장경향과 함께 화려한 색상들의 부활로 보다 감각적으로 반응하는 여성스러움을 한층 살리는 색상이 보여지는 메이크업도 크게 각광받을 것으로 예측되어 진다.
3. 실증분석결과
본 연구의 실증적분석의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연령은 20대가 61%, 30대가 39%를 차지하고 있으며, 결혼상태는 전체의 72%가 미혼이며, 학생과 직장인을 각각 50%를 차지하고 있다. 조사대상자들의 색조화장품 소유 및 구매에 대한 결과는 소유 종류로는 평균 4.7종의 색조화장품을 소유하고 있으며, 소유 갯수로는 13.7 개였으며, 1년 평균 색조화장품 구매 갯수는 2.4로 나타났다. 즉, 년간 색조화장품 구매갯수에 비해 립스틱 구매갯수의 빈도가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립스틱을 가장 쉽게 구입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구매시 소비자에게 가장 설득력 있는 방법은 TV나 라디오 광고 같은 홍보에 의해서 구매가 좌우되며 색상선택시에는 선호색과 유행색 위주로 구입하는 성향이 강하므로 립스틱이 유행색상을 단기적으로 파급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유형이라고 판단되어 더불어 색조화장품의 구매에 일반적인 소비자 성향을 소비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각 군별로 소유종류, 소유갯수, 1년간 평균 구매갯수, 1년간 평균 립스틱 구매갯수, 평균 색조화장품 구매비용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집단간 차이가 발생함을 보여주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의식 및 외향적 화장 추구형에 있어서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 색조화장품 구입경로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의식 및 외향적 화장추구형에 있어서 화장품 구입경로는 판매원을 통하거나, 백화점 또는 수퍼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색조화장품 구입정보에 있어서는 TV나 라디오 광고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색상선택에는 기본인식형 집단과 경제적 생활추구형에 있어서는 좋아하는 색을 선택하는 경우가 각각 60.5%. 4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연 및 개성적 화장추구형은 피부에 맞는색을 52.0%가 선택을, 의식 및 외향적 화장추구형 집단에 있어서는 구매시 유행색을 선택하는 경우가 52.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make-up cosmetic trends from the 1990's and to look ahead at the make-up cosmetic trends for the new millenium.
To also research the most sensitive make-up cosmetic group, lipstick preference hue purchase patterns, and a comparison of make-up cosmetic lifestyle patterns along with purchase patterns.
1. Make-up cosmetic trends
The 90's, as with all periods, showed a similarity between make-up cosmetics and color trends during certain seasons.
Make-up cosmetics for Spring and Summer were pale light for highlights, and deep & dark tones for accent. Color tones were light orange (5YR 8.5/5), yellow(10Y8.5/12), light pink (5RY8.5/2), bright pink (l0RP7.5/5), red (5R4.0/13) etc. Autumn·Winter make-up cosmetic tones were grays, dark tones, black and white, and pastel tones for highlight. Brown tones for Autumn. black and white for winter. Trend colors for Spring·Summer ranged from bright fresh vivid tones, dark tones, and pastel tones for highlight: brown tones for Autumn, black and white for Winter, trend colors for Spring·Summer ranged from bright fresh vivid tones, dark tones, and pastel tones to a variety of hues. Gray, dark tones, pale tones, and natural colors were chosen as trend colors.
2. Prediction for make-up trends.
The make-up trend for the new millenium will seemingly follow fashion trends, Our basis for predicting seasonal make-up trends will follow those of fashion. Looking at trend colors, carnal hues were used as a base to give a clear, pure impression, followed by a rich, deep, extravagant impression with red, and related hues such as oranges, pinks and purples are predicted trend setters.
Toward the latter part of the 90's trend colors differed among each manufacturer, creating a variety of different colors within a single season. This created a variety of product preference patterns in the process.
3. Analytic Results
Breaking down the applicant groups for this research project: By age, 61 % were in their twenties, 39% were in their thirties, 72% were not married, student and business people both were equally divided.
According to cosmetic products, the applicant group possessed on average, 4.7 brands, 13.7 kinds of cosmetic products, purchasing 3.6 products on a yearly average, with lipstick covering 2.4 of the total yearly average. Average cost for cosmetic products were 19,800 won.
Within each group, all test results were broken down into statistics divided by brands, amount, yearly purchases, yearly lipstick purchases, and average product cost. All test groups showed a unique difference in test results but concentrated results were focused on the active heavy-user group, and in lipstick as a trend-setter product. Each test group showed a difference in brand preference but greatly relied on trend colors and advertisements. However, a similarity was found in product purchase channels. Each test group, especially the heavy-user group, purchased their products from salespersons, department store clerks and neighborhood cosmetic shops.
Purchase information for each group was similar. Each test group answered TV&Radio advertisements as a source for cosmetic product information. Comparison of accepted cosmetic groups and economic cosmetic groups showed a percentage of 60.5% and 45.0% respectively. Natural and unique make-up cosmetic preference showed a 52.0%. The heavy-user group showed the highest, 52.9% in trend colors preferences.
Author(s)
김성일
Issued Date
2001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847
Affiliation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