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美容 産業의 經營戰略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美容室 經營을 中心으로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국내 미용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내 미용실의 현재 경영성과 요인을 분석, 마케팅 전략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내 각 미용실들의 자신들의 마케팅 전략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정해야 할 것인가를 되돌아보게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미용실의 정의 및 특수성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 미용업계의 발전과정과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국내미용실의 경쟁자 분석과 내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국내미용실의 마케팅 전략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는데 국내미용실이 추진해야 할 마케팅 전략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품전략의 차원에서는 ① 국민적인 브랜드를 가진 미용실로서의 성장 ② 교육시스템의 차별화 전략 ③ 우수 미용재료의 OEM생산이 필요하며 무조건 매출확대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수준의 매출규모를 유지하면서 고객만족을 통한 이미지 홍보에 주력하며, 인재뱅크의 튼튼한 구축에 초점을 두며, 모든 경영을 시스템화하는데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가격전략의 차원에서는 국내미용실의 미용기술과 이미지를 차별화 시키고, 이런 업무를 수행하는 주체인 헤어디자이너의 능력을 차별화시키기 위해 ① 디자이너별 가격차별화 ② 미용요금의 매뉴얼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고객유치의 일환으로 공동마케팅을 통한 멤버십 회원에 국한된 할인정책으로 ③ 판매촉진 가격의 확대 전략을 추진해 볼 만하다.
유통전략의 차원에서는 입지개선에 관한 부분은 ① 입지선택의 다변화 ② 전문 미용실 형태의 매장 전개 ③ 브랜드 특성을 감안한 유통망 전개 등으로 적극적인 유통확보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광고전략의 차원에서는 전반적으로 광고량을 증가시키되 타겟층을 고려한 광고가 되어야 한다. 또한 고객신뢰도를 높이는 것에 광고의 목표를 두어야 한다. 또한 판촉전략의 차원에서는 단순한 미용요금 할인판매나 사은품 위주의 판촉활동 보다는 미용문화 행사의 성격을 가진 이벤트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객관련 정보를 테이터베이스화하여 대중 전체에 대한 판촉이 아닌 주 고객인 고정고객 개개인에 대한 차별화 된 판촉활동을 펼쳐야 하겠다. 아울러 새로이 등장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인 인터넷 등을 이용한 판촉활동을 신속히 추진하여 새로운 소비시장으로 등장하는 10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과 정확한 시장상황 분석 등을 바탕으로 미용업의 경영성과 요인을 분석하여 과학적이며 성공적인 미용업 경영을 이끌어낸다.|This thesis analysed current management status and elements of Korean beauty parlors throughout the case study of domestic beauty salons, identified marketing problems and presented improvement measur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that domestic beauty parlors realize the problems of their marketing strategies and what type of marketing strategy they should carry out.
This thesis touched upon the definition and unusual status of beauty parlors and how domestic beauty parlors have developed and where they are now. Then, it made competitor and internal analysis of domestic beauty parlors and identified problems of their market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n the product strategy level, domestic beauty parlors need to ①grow under the national brand ②carry out differentiated training systems ③and produce excellent hair make-up materials on the OEM basis. In addition, rather than pursuing revenue growth blindly, they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ir image via customer satisfaction, retaining talented human resources, and systemizing their management while maintaining certain level of revenues.
On the price strategy level, in order to differentiate skills, image and hair designers, who are the main player of the beauty parlor business, domestic beauty parlors need to ①differentiate prices depending on designers and ② develop manuals for prices. In addition, they can ③carry out expanded promotional price strategy only for the members of joint marketing to attract more customers.
On the distribution strategy level, in order to improve location of domestic beauty parlors, aggressive efforts should be made by ①diversifying location choices ②decorating the shop professionally and ③expanding distribution networks considering brand characteristics.
. On the advertisement strategy level, they should increase overall advertisement volume but advertisement should be well targeted. Also, the purpose of advertisement should be to enhance customers' trust. On the promotion strategy level, instead of discounting price or presenting free gifts, beauty parlors should hold cultural events. Also, using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they conduct customized promotion activities for individuals not for the general public. Moreover, they should conduct promotional activities on the Internet, a new communication medium, to attract teenagers as their customers.
Based on above mentioned marketing strategy and accurate market environment analysis, beauty parlors can ensure scientific, successful management of beauty business.
Author(s)
李大天
Issued Date
2003
Type
Thesis
Keyword
미술 산업경영전략미용실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795
Affiliation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