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모바일 전자상거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컴퓨터, 통신, 프로그램 및 정보기술로 집약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인터넷의 이용확산으로 새로운 가상공간을 창출하고, 세계의 정치경제와 우리사회의 곳곳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촉진하고 있다. 급속한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또 다른 가상공간인 모바일 전자상거래라는 새로운 거래를 창출하였다. 무선인터넷 및 문자정보 서비스를 시작으로 한 모바일 전자상거래는 기존의 유선 전자상거래와 더불어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 경제 환경의 혁명적 변화를 주도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모바일 전자상거래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모바일 전자상거래를 위하여, 모바일 환경에서의 지식정보 성공도와 모바일 전자상거래 측정모델을 통한 실증분석으로 모바일 전자상거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 전자상거래 성공요인에는 상호작용성에 기반한 경험적 척도(Flow)가 모바일 전자상거래 성공요인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EUCS의 5개 차원 중 내용성이 전반적인 모바일 전자상거래 성공요인 예측에 큰 효과를 나타냈으며, Flow의 두 차원인 통제 및 내재적 동기 역시 유의미한 예측력을 보였다. 그리고 모바일 전자상거래 성공요인 측정의 정확성 제고를 위해서는 상호작용성에 기반한 경험적 측면이 모바일 전자상거래 측정모델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도 암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모바일 전자상거래 성공요인의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척도개발을 위한 중요한 출발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정보관리자 및 전자상거래 실무자들에게 모바일 전자상거래 성공요인의 상호작용성에 기반을 둔 경험적 측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측정도구를 소개한다는 점에서 큰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가 제공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정보관리자 및 전자상거래 실무자들은 이용자들의 목적과 소프트웨어 및 기타 기술에 대한 반응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상호작용성에 관련된 모바일 전자상거래를 이해하고 이용자들의 해석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모바일 전자상거래 각각의 그룹들에게 어떤 차원을 이용한 차별화된 정보제공과 전반적인 모바일 전자상거래의 효과적인 전략을 세우기위한 귀중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As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ntegrating computers, telecommunications, software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advances rapidly, Internet is more and more wldely used, and thereby, new cyber communities are created and new paradigms are promoted everywhere including the world folitics and economy and our societies. Further, rapid advancement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reates a new commerce, say, the mobile e-commerce in the cyber world beyond temporal and spatial restrictions. The mobile e-commerce, which started by provid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the text information service, is rapidly being spread together with the existing e-commerce through the wire network, leading the revolutionary change in our economic environment.
However, any empirical study has not yet been conducted on the mobile e-commerce. So, in this study, factors for success in the mobile e-commerce have been derived through a positive analysis of a success level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a model for measuring the mobile e-commerce in the mobile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effective mobile e-commerc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is study, it is found out that any empirical Flow based on inter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actors for success in the mobile e-commerce, and further that the content competence among the 5 dimensions of EUC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orecasting general factors for success in the mobile e-commerce. "Control" and "Intrinsic Motive", two dimensions of the Flow, also showed a significant forecasting capability.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empirical aspect based on interac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model for measuring the mobile e-commerce in order to enhance the accuracy of measuring factors for success in the mobile e-commerce.
This result suggest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development of any reasonable and reliable scale to measure factors for success In the mobile e-commerce. It can be thought that this study is very useful since it introduces a new measuring tool by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on the empirlcal aspect based on interaction of factors for success in the mobile e-commer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ints:
There is a need that information managers and business men engaged in e-commerce should understand objectives of users and responses to software and other technologies moreclearly, further understand the mobile e-commerce and have more interest in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enabling users to enhance their analytic capability.
Through such analysis, differentiated information using a certain dimension and valuable feedback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strategy in the general mobile e-commerce will be able to be provided to respective groups engaged in the mobile e-commerce.
Author(s)
송영례
Issued Date
2002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768
Affiliation
한성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Appears in Collections:
안보전략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