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스타일의 變化와 패션 컬러 코디네이션의 相關性 分析 硏究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집단을 라이프 스타일과 패션 컬러 코디네이션에 따라 분석하여 소비자 특성을 살펴보고,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유행색의 선호도와 패션 컬러 코디네이션 트랜드를 분석함으로써 상대적인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좀 더 효율적인 상품기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첫째, 일반적인 라이프 스타일 특성에 따른 여대생, 주부집단을 유형화 시킨다. 둘째, 패션 컬러 코디네이션을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외 관련된 국내외의 문헌자료 및 패션 잡지를 바탕으로 사진을 제시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나누어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 별로 분석해본 결과, 나이가 들수록 유행민감형 계층에서 실용중시형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5세이상-40세미만의 경우 실용중시형, 유행무관심형, 유행민감형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0세이상-35세미만의 경우 유행민감형과 실용중시형의 수치가 같이 나온 것은 이 연령대의 대부분이 주부인 점을 감안했을 때 유행 만큼이나 의복의 질과 실용성을 중요시하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결혼여부에 따른 라이프 스타일은 여성들이 결혼을 전후해서 패션에 가지는 관심 정도를 말해주고 있다. 결혼 전은 자신의 개인적인 자유와 재량권 그리고 경제적 사정이 넉넉하므로 많은 여성들이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반면 결혼 이후에는 경제적인 부분에서 재량권의 제한, 육아 등 자신이외에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아지므로 실용 중시형이나 유행 무관심형으로 성향이 이전됨을 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력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해 본 결과, 전문대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이 가장 많은 수가 실용중시형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유행민감형, 유행무관심형의 유형을 나타났다.
넷째, 직업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해 본 결과, 유행민감형 순으로 해당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학생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회사원의 경우, 실용중시형이 높은 수치를 나타났으며, 유행민감형, 유행무관심형이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주부의 경우, 유행민감형과 유행무관심형이 보다 실용중시형으로 압도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인구 통계학적 자료에 근거해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유행색의 선호와 컬러 코디네이션의 경향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의(블라우스, 면T셔츠, 니트)의 경우, 1990년대 유행이 파스텔들임을 감안해 보면, 유행민감형에 속하는 계층의 수치가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모노톤, 파스텔톤에 강한 선호를 나타냈으나 유행민감형의 경우, 비비톤에 대해서도 극소수이지만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는 원색계열이기 때문에 일반인에게 소화가 쉽지 않은 색상이기 때문에 유행민감형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셋째, 상의 경우 실용중시용 모노톤을 가장선호하는 색으로 손꼽았다. 따라서 스커트의 경우 유행민감형, 모노톤을 가장 선호하는 색으로 손꼽았으며, 실용중시형, 유행무관심형, 순으로 나타난다.
넷째, 눈에 띄는 점은 세퍼레이션 컬러 코디네이션은 유행민감형에게 선호되지 않는 컬러 코디네이션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재킷과 바지의 경우도 하모니 컬러 코디네이션의 선호도가 가장 월등했으며, 재킷과 블라우스의 경우 그라데이션 컬러 코디네이션의 선호가 높았다
여섯째, 후드점퍼와 바지의 경우 여러 패션과는 달리 콘드라스트 컬러 코디네이션에 높은 선호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후드점퍼와 바지의 경우 다른 의복 코디네이션과 다른 컬러 코디네이션를 선호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연령별 선호색를 조사해 보면 상의·하의모두 연령에 관계 없이 모두 파스텔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령에 따른 컬러 코디네이션의 선호도를 조사해 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하모니 컬러 코디네이션, 그라데이션 코디네이션 선호하는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20세이상-40세미만의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 여성의 패션에 대한 관심도와 유행색을 살펴보았다. 유행색이 변화되면 색도 변하며 그것은 사람의 마음 상태에 따라 색에 대한 느낌이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유행하는 색은 사람들의 그 특정한 시간에 어떤 느낌을 갖느냐의 표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라이프 스타일은 그 시대의 감정에 따라서 어떠한 색이 유행하느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커다란 요소라고 볼 수 있으며, 경제적인 환경은 유행색의 명도와 관계가 있다고 할수 있다. 다양한 계층의 유행색의 경향과 컬러 코디네이션의 경향을 파악해 보겠다는 것이 본 연구의 취지였으나 응답자의 균등한 연령층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 제한점으로 남는다.
본 논문은 라이프 스타일과의 상관관계와 우리나라 패션 관련 연구분야에 시금석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앞으로도 라이프 스타일과 관련시켜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학문적 차원에서 계속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Customers'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analyzing customer groups in terms of lifestyle and fashion color coordination, and the trend of fashion color coordination and the fashion color preference were analyzed in terms of customers' life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more effective product planning.
At first, Customers'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omen's university student and housewife groups. And then, the examples of fashion color coordination were examined by quoting photographs from local and abroad documents and fashion magazines.
The patterns of lifestyle were classified in terms of population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zed in terms of age, it was founded that, as women age, their preferences changed from fashion-sensitive-type to practicality-sensitive-type. The women at the ages of 35-40 especially showed their preferences in order of practicality-sensitive-, fashion-insensitive-, and fashion-sensitive-type. The women at the ages of 30-35 showed the same preferences of fashion-sensitive-type and practicality-sensitive-typ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most of the women at these ages are housewives, and accordingly they think practicality as much as fashion.
Second, marriage changed their concern bout fashion as well as their lifestyle. Before marriage, their preferences were rarely restricted for economical or social reasons, and accordingly they showed sensitivity to fash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ed that, after once they married, they started to think much of other family members and their preferences were restricted for economical reasons. Due to these facts, their preferences changed from fashion-sensitive-type to practicality-sensitive- or fashion-insensitive-type.
Third, Analyzed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it was founded that the women who at least graduated from a college showed the preferences in order of practicality-sensitive-, fashion-sensitive-, and fashion-insensitive-type.
Fourth, Analyzed in terms of occupation, it was founded that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fashion-sensitive-type. Office workers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s for practicality-sensitive--type, and preference for fashion-sensitive-type was similar to the preferences for fashion-insensitive-type. it was also founded that housewives showed far greater preference for fashion-insensitive-type than preferences for fashion-sensitive- and fashion-insensitive-type.
Based on the above statistical data, the trend of fashion color coordination and the fashion color preference were analyzed in terms of customers' lifesty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shionable color of upper garments (e.g. a blouse, a cotton T-shirt, and a knit) in 90's was pastel-tone color. It was accordingly a natural result that women of fashion-sensitive-type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s for this color.
Second, the most of the women who answered to the questions showed great preferences for mono-tone and pastel-tone color. But, some women of fashion-sensitive-type showed preference for vivid-tone color. It was thought that the women of fashion-insensitive-type showed the some preference for this color, since such a primary color doesn't suit other general women.
Third, the most fashionable color of upper garments was mono-tone color. And the women who most preferred mono-tone color skirts were in order of those of fashion-sensitive-type, practicality-sensitive--type, and fashion-insensitive-type.
Fourth, it was remarkable that the women of practicality-sensitive--type showed no preference for separation color coordination.
Fifth, in the case of a jacket and pants, harmony color coordination was most preferred. In the case of a jacket and a blouse, gradation color coordination was most preferred.
Sixth, unlike other fashion coordination, in the case of a hood jumper and pants, the most preferred coordination was contrast color coordination.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color coordination of a hood jumper and pants differed from those of other garments coordination.
Seventh, examining the preferences of color in terms of age, we could find that pastel-tone color of all kinds of examined garments was the most preferred regardless of age.
Eighth, examining the preferences of coordination in terms of age, we could find that the young women preferred harmony color coordination and gradation coordination.
The fashion color and preferences to fashion of the women at the ages of 20-40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t is said that fashion color changes, for how people feel in the times influences on the feeling about color.
Fashion color indicates how people of the times feel.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cide which color will be fashionable is lifestyle, and economical surroundings are related to the brightness of fashion col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fashion color of various kinds of people and of color coordination. It was, however, unsuccessful to obtain uniform distribution of age.
The Interrelations between Lifestyle Changes and Fashion Color Coordination were examin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fundamental investigation data in the field of fashion. More various and detail studies relating to lifestyle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 Author(s)
- 신윤희
- Issued Date
- 2001
- Type
- Thesis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749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