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 청취 문항 분석
- Abstract
- 최근 영어는 지속적으로 빠르게 발전하는 국제화 사회에서 세계 공용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생활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영어가 의사소통의 중심 도구로 자리잡으면서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어교육 중에서도 청취에 대해 살펴보고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역 청취문항을 분석한 결과를 통한 바람직한 청취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청취(listening)는 듣기(hearing)와는 달리 복잡하고 광범위한 과정이며, 청취는 언어의 4가지 능력(listening, speaking, writing, reading)중 우선 시 된다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청취가 성인의 의사소통 활동의 45%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능력에 끼치는 전이효과도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청취 활동은 발화속도,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점, 어휘나 문법에 관한 지식, 배경지식의 활용, 감정적인 요인 등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차경환, 2000).
청취 과정은 상향식(bottom-up processing), 하향식(top-down processing), 상호 보완식(interactive processing) 과정의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상향식 과정은 소리, 단어, 문법적 관계, 어휘적 의미 등의 언어 외적 자료(external sources)에 의해 언어 정보가 처리되는 것이다. 하향식 과정은 청자의 배경지식과 전체적인 기대와 같은 언어 내적 자료(internal sources)에 의해 언어 정보가 처리되는 것을 말한다. 상호 보완식 과정은 언어 외적 자료를 사용하는 상향식 과정과 언어 내적 자료를 사용하는 하향식 과정을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은 Peterson(1991)이 언급한 정보처리 이론적 관점에서 잘 이해된다. 정보처리모델은 소리가 감각기관을 통해 단기기억장치(STS: Short Term Storage)로 들어가서 구문적 요소(syntactic constituents)로 분석되어, 의미적 단위(semantic unit)로 전환되고, 장기기억장치(LTS: Long Term Storage)의 다른 의미적 단위와 연계가 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청취 과정을 통해 들은 내용을 가지고 청자는 청취 기능을 파악하고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청취 과업은 Underwood(1998)과 차경환(1995)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적용 가능한 것을 살펴보면 그림과 일치하는 것 찾기, 특정 정보 찾기, 그림 상황에 맞는 대화 추론, 특정정보 주제추론, 화자의 직업 및 관계 유추, 화자의 심리상태 추론, 지시에 근거한 추론, 적절한 응답 및 전후 관계 연결하기의 8가지로 정리된다. 또한 청취 기능은 의사소통 기능을 통한 Celce-Murcia(1991)과 Finocchiaro(1983)의 기능범주를 참고하여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적용 가능한 것을 살펴보면 정보의 교환, 설득 및 요청, 장래의 일, 개인간의 교제, 감정의 표현, 문제의 제기와 해결과 같은 6가지로 나눠진다.
위에서 살펴본 청취 과정, 과업, 기능에 따라 1997년부터 2002년까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 청취문항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청취 과정을 년도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상향식 과정은 점차 문항 수가 감소하였으며, 하향식과정은 약간 증가하였고, 상호 보완식 과정은 점차 증가하다가 다소 감소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전체 문항 수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상호 보완식 과정의 문항 수가 가장 많았으며, 하향식과 상호 보완식 과정은 뚜렷한 구분이 어려우므로 이 두 과정을 같이 본다면 그 문항 수에 있어 상향식에 비해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청취 과업별 분석을 보면 전체 청취 문항 중 적절한 응답 및 전후 관계 연결하기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정정보 찾기와 지시에 근거한 추리가 각각 그 다음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청취 기능별 분석에서는 정보의 교환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개인간의 교제와 문제해결이 각각 그 다음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역 청취문항이 청취 내용으로부터 특정 정보를 파악하여 찾아내는 부분적인 청취 이해 능력과,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같은 종합적인 청취 이해능력을 평가하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인간의 교제와 같은 기능이 많이 나온다는 것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역 청취 문항이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청취 문항의 분석 결과를 통해 청자의 청취력 향상을 위해 각 청취 과정별로 알맞은 지도 방향을 Underwood(1998)의 청취 전, 중, 후 활동에 따라 제시하였다.|These days, English plays a very important part in Korean lives as the uni- versal language of the world. Koreans further become interested in English education. This thesis deals with the listening theory and the analysis of English listening items on the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s(KSAT) utilized for the admissions of students into Korean universities. This thesis also suggests desirable listening revisions based on the results analysis.
Listening is a very complicated process which differs from simply hearing, It is suggested that listening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four skills of language learning. The reason is that listening activity consists of 45% of adults'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it has great transition effect on other language skills.
The listening activity is influenced by five primary factors such as delivery rate, difference between written and spoken language, vocabulary or grammatical knowledge, use of background knowledge and affective factors(Cha, Kyung -hwan, 2000).
Listening processing is divided into bottom-up processing, top-down precessing, and interactive processing. Bottom-up processing is evoked by external sources such as sounds, words, grammatical relationship or lexical meaning. Top-down processing is evoked by internal sources such as prior knowledge and global expectation's prediction. Interactive processing combines bottom-up processing with top-down processing.
According to Peterson(1991), listening comprehension can best be understood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ccording to the model, raw speech first enters the sensory stores, when it enters the mind as acoustic data and is taken into short-term memory(STM). It must be analyzed into syntactic constituents, converted into semantic units(propositions), and related to other propositions in the long-term memory(LTM) store. The listeners become to understand listening functions and employ listening tasks through listening contents. According to Cha, Kyung-hwan(1995) and Underwood(1998), listening tasks are as follows: selecting the correct picture based on what is heard, finding details, inferring the dialogs appropriate to the picture situations, inferring the detailed information, inferring speakers'job or relationship, inferring speakers'a mental state, inferring based on instruction, and filling the appropriate responses or the missing information. Celce-Murcia(1991) and Finocchiaro(1983) describe listening functions as follows : information exchanges or suasion or asking, future scenarios, interpersonal exchange, feelings and solving problems.
This thesis analyzes English listening items of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s(KSAT) from 1997 to 2002 in terms of listening precessing, listening task and listening fun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bottom-up processing decreases gradually and top-down processing increases slightly. Interactive processing increases gradually and then decreases slightly.
The most frequently used listening tasks are filling the appropriate responses or the missing information, finding details and inferring based on instructions. The largest percent of the tasks is filling the appropriate responses or the missing information followed by finding details and inferring based on instruction,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ly used listening functions are information exchange, interpersonal exchange and solving problem. The largest percent of the functions is information exchange followed by interpersonal exchanges and solving problems, respectively.
The above shows that English listening items of KSAT measure students' both selective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such as finding detailed informations and glob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such as solving problems. Moreover, the ultimate goal of KSAT is to cultivat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conclusion, to improve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of listeners, this thesis suggests appropriate instructions through pre-listening, during-listening and after-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underwood(1998).
- Author(s)
- 尹琪姸 .
- Issued Date
- 2002
- Type
- Thesis
- Keyword
-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 English listening; listening comprehention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738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