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네일 아티스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사회 전체에 걸쳐 문화와 여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용 분야도 헤어, 피부미용, 메이크업은 물론, 아로마요법, 경락요법, 발 관리, 네일 케어 및 네일 아트 등으로 다양화, 세분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미용계에서도 네일(nail) 분야는 괄목한 만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중화되고 있다. 흔히 매니큐어, 페디큐어라 칭하던 예전의 단순한 손 관리, 발 관리의 개념에서 한 단계 벗어나 '네일 케어(nail care)', '네일 아트(nail art)'라는 독자적인 위치를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대형백화점과 압구정동, 논현동 일대의 네일 샵에 근무하는 네일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직무만족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알아보고 그들의 직무만족도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문헌 및 연구를 참고하여 직무만족의 개념 및 지표 그리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 네일 아티스트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설문에 응한 서울 시내 네일 샵에 근무하는 네일 아티스트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별로는 21∼29세가 87.6%, 30∼39세가 12.4%이고 결혼상태는 미혼이 95%, 기혼이 5%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고졸이 49.6%, 전문대졸이 38.8%, 대졸이 11.6%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장 근무년수는 1∼2년이 33.1%, 2∼4년이 30.6%, 1년 미만이 23.1%, 4∼6년이 13.2%로 나타났다. 1일 근무시간은 11시간이 50.4%, 10시간이 32.3%, 9시간이 9.9%, 8시간 이하가 4.1%, 12시간 이상이 3.3%로 나타났고 급여는 61∼90만원이 37.2%, 91∼120만원이 31.4%, 121∼150만원이 14.8%, 60만원 이하가 9.1%, 150만원 이상이 7.4%로 나타났다. 직위별로는 직원이 67%, 실장이 19.8%, 점장이 7.4%로 나타났고 네일업 선택동기로는 전문직으로의 가능성이 45.8%, 적성에 맞아서가 43.4%, 독자적 개업가능성은 10.8%로 나타났다. 네일 기술 습득방법으로는 네일 학원 수료가 69.4%, 학교 26.5%, 해외유학이 4.1%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직무만족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38점으로 '보통'이라는 설문항목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적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년수가 가장 긴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근무시간은 짧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보다는 학원에서 네일 기술을 습득한 집단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일업 선택동기별로는 '독자적 개업가능성 때문에', '전문직으로서의 가능성 때문에', '적성에 맞아서' 순으로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직무만족도를 구성하고 있는 6개의 만족도의 평균값을 조사한 결과 직업에 관한 만족도(3.91), 화목에 관한 만족도(4.04), 고객서비스에 관한 만족도(4.01)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에 관한 만족도(2.94), 자기개발에 관한 만족도(2.56), 작업환경에 관한 만족도(3.11)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 중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5개 항목(연령, 근무년수, 1일 근무시간, 네일 기술 습득방법, 네일업 선택동기)에 대하여 직무만족도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이 낮고 근무년수가 적은 집단, 1일 근무시간이 적은 집단, 독자적 개업가능성 때문에 네일업을 선택한 집단, 학원에서 네일 기술을 습득한 집단이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직무만족도를 구성하고 있는 6가지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화목에 관한 만족도를 제외한 만족도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성립하였으며, 특히 근무환경에 관한 만족도는 화목에 관한 만족도를 제외한 다른 만족도와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직무만족도를 구성하고 있는 6가지의 만족도 중, 직업에 관한 만족도는 직업 자체에 대한 자부심과 만족도를 나타내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직무만족도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5가지의 만족도가 직업에 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근무환경에 관한 만족도와 고객서비스에 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에 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도 미용실이나 웨딩 샵 또는 피부관리실에서 단순히 손과 손톱 등을 정리하는 시대는 지났다. 네일 아트도 여성들에게 하나의 패션 유행으로 대중화되어 선진 국가에서처럼 수준 높은 디자인, 세련된 색상, 다양한 손톱모양을 선택하여 개인의 개성을 살리는 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성장기를 맞이한 우리나라의 네일 산업이 올바로 정착하고 네일 아티스트의 위상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인식이 네일 아트를 메이크업이나 패션처럼 미용의 한 분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네일 아티스트들 스스로는 최신유행에 관한 정보습득과 세미나 참석 등을 통한 네일 기술 연구에 노력해야 하며, 네일 협회에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네일 아티스트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부 차원에서도 선진국과 같이 국가공인 자격증제도를 도입하는 등 제도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Now days demand for beauty and health activity is drastically increasing with implementation of a five-day workweek with overall improvement of cultural and leisure infrastructure in Korea. Today, beauty industry has diversif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make-up, aroma therapy, foot care, and nail care and art.
Korean nail industry has impro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became one of most popular beauty activity for the fashion seekers in Korea. It was rather simple that people used to think just manicure is all of hand and foot care but now days more sophisticated nail care and nail art took very important role in beauty industry.
My study was focused on job satisfaction of nail artists in Apgujung and Nonhyun area and I have tried to provide appropriate solution for improving their job satisfaction. To enhance my study, I have researched various articles and related documents on concept of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index and factors affect to job satisfaction rate. I also conducted a survey to nail artists in above area and provided the analysis results as following.
My survey showed that the job satisfaction rate for the sampl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industry average. The younger age group and lesser job experienced group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rate. Generally, the survey group showed the high satisfaction rate on the job itself and customer services but satisfaction rate for working environment and self development program was relatively low.
According to the result, I sensed that the improvements on following working environment are needed such as intensity of illumination, ventilation, physical position, lack of sleep, and exposure to chemicals. For hygienic reason, appropriate preventive solutions and control plans for bacteria, virus, germs and mold are needed. They are potential source of AIDS and various infectious dieses. I have studied that the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index affects overall job satisfaction. Adoption of reservation system will be a good solution for improving customer services. The simple hand and nail care service at wedding shop and beauty saloon is already an old fashioned trend. Korean nail art is most forward among nations in this field with polished design and color.
Korean nail industry is facing growth phase. We have to position this field as a major industry level similar to fashion and make-up industry. To accomplish the mission, continuous study on updated information and attending at seminars are necessary. Also,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for the nail arists must be provided by the association to improving skills and expertise of individual. The adoption of government qualification system is also necessary to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nail art industry.
Author(s)
이정희
Issued Date
2002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727
Affiliation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