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國內 섬유전문신문 패션기사의 內容分析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한국섬유신문을 중심으로
Abstract
패션은 고감각, 고부가가치를 가지고 있는 산업이라는 인식아래 최근 국내에서는 패션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여러 정책이 등장하고 있으며 국내산업에서 패션산업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매우 크다.
이같은 산업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전문언론매체의 역할도 큰 몫을 하는데,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섬유전문신문은 섬유산업의 중흥과 함께 시작돼 섬유산업의 완성인 패션산업의 발달에까지 이바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전문신문 가운데 가장 오랜 연륜을 지닌 한국섬유 신문의 패션기사를 분석해 봄으로써 섬유전문신문이 패션산업의 기여도를 가늠해 보고 언론매체로서의 역할도 측정해 보았다.
섬유전문신문의 패션기사 내용분석에 대한 연구 대상 한국섬유신문의 2001년 1월부터 12월까지 총 100부의 패션 기사 게재현황을 조사하였고 광고와의 상관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분석의 결과 주제별 기사는 캐주얼·스포츠웨어 기사가 28.70%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다음으로 여성복이 18.00%, 뒤를 이어 유통기사가 13.00%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러한 기사 게재 비율은 각 복종이 차지하고 있는 업체 수, 의류시장 규모와도 부합되어 섬유전문신문 패션기사가 패션업계의 산업적 기여도 측면에 있어서도 비교적 균등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섬유전문신문 패션기사의 유형별 기사 게재 현황의 내용분석 결과는 뉴스기사가 76.20%로 가장 큰 비율을 나타났고 다음으로 기획·연재 기사가 11.90%의 비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섬유전문신문 패션 기사가 새로운 소식을 전달하는데 치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섬유전문신문의 기사 게재 비율은 광고 게재 비율과도 관련성이 높아 그 비율은 50%를 넘었다. 이로써 전문신문의 기사는 일반신문 경제면 PR기사가 평균 42.10% 정도인 것을 보았을 때 광고기능의 비중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섬유전문신문 패션기사가 광고기능 수행에 가장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간 선정에 관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연구자에 의해 임의로 정한 1년 간을 통해 이루어져 보다 변별력 있는 결론을 얻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의 비교분석에 따른 문제이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한국섬유신문과 비교대상이 될만한 매체의 부재로 인해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셋째, 유목에 따른 단순 빈도를 측정함으로써 기사의 양적 현상의 진단은 가능했지만 내용의 질적인 면에 대한 객관적 측정이 따르지 못해 아쉬움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논조, 공정성과 같은 기사 내적인 요소들의 문제점을 깊이있게 탐구해야 할 것이다.|As fashion is regarded as a highly sensational and high value-added industry, the government has lately come up with a lot of policies to facilitate its growth,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shion is getting larger in our country.
One of the crucial factors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industry is technical media specializing in that field. The fiber newspapers emerged when the textile industry began to grow, and has since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fashion business, the core of the textil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shion articles on the Korea Textile News, which has the longest history among fiber papers, in an effort to determine its contribution to the fashion industry and its role as part of the press.
100 copies of the Korea Textile News issued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1 were examined to track fashion articles and its relationship with advertisement.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By theme, articles on casual clothes and sportswear made up for the largest theme group with 28.70%, followed by women's clothes articles with 18.00% and distribution ones with 13.00%.
These percentages were in line with the number of companies for each type of the businesses and the size of apparel market, and this fact indicated that the newspaper paid relatively equal attention to individual fashion-related businesses to step up the expansion of the fashion industry.
As a result of making content analysis of the fashion articles to find out what their dominant type was, news articles were most common with 76.20%, and the next most dominant one was special or serial articles with 11.90%. This implied that the Korea Textile News gave weight to latest news.
The ratio of the articles was highly associated with that of advertisements, since the latter represented more than 50%. This percentage was very higher, compared to that of ad articles on the economic section of non-specialized papers that accounted for approximately 42.10%, an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Korea Textile News fashion articles devoted the greatest spaces to advertisement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the study:
The first one was the term of study. As the one-year period of time was determined arbitrarily by this researcher, it's not easy to produce more discriminating results.
The second was the unavailability of comparative analysis. The lack of other media that might be comparable to the Korea Textile News resulted in curbing the scope of the study.
The third one was that it's regretful not to make more objec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to the fashion articles, and only their frequency was measured for a quantitative analysis.
Future research efforts need to delve into the inner features of articles, such as the tone of argument or impartiality.
Author(s)
朴世恩
Issued Date
2003
Type
Thesis
Keyword
섬유전문신문패선기사내용분석한국섬유신문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685
Affiliation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