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영어 교과서 평가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bstract
- 관광산업은 세계화로 인해 가장 발전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선진국형 고부가 가치 산업이므로, 전문성을 요구하는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관광산업 인력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안책으로 관광관련고등학교에서는 학생의 적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조기에관광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진학을 절대시하는 사회적 풍토에서 관광영어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특성화고등학교와 관광관련실업고등학교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관광영어 수업에 사용되는 관광영어 교과서가 수요자인 학생들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하는 것이며, 현재 특성화고등학교가 설립 취지에 맞게 관광영어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관광영어 교과서가 수업방식에 적절한 교재인지를 알아봄으로써 내실있는 관광영어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헌적 연구방법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도출된 변수로 구성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방법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를 하였으며 SPSS 11.0을 이용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영어 평가요인 중 교과서 디자인 편집, 영어구사능력 향상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광특수화고등학교 학생들이 관광실업고등학교학생들보다 교과서 디자인 편집 요인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관광특수화고등학교 학생들이 관광관련실업고등학교 학생들보다 관광영어에 대해 더욱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진행방식(듣기, 회화)과 관광영어 평가 요인간의 차이점은 없었고, 수업진행방식(듣기, 회화)과 전반적인 만족도간의 차이점 또한 없었다.
본 연구가 관광영어 교과서 개정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수요자인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내용이 수록될 수 있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Tourism industry will be the most developed industry,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of advanced countries, in accordance with globalization. So it must be necessary to educate special workers who works at tourism industry. Tourism High Schools have made an aptitude and an ability of students teach tourism as a alternative way at an early stage. It is not enough to educate students at Tourism High School, because our society must want to enter Universitie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tudents' satisfaction, whose are consumers of education, about Tourism English Textbook's factors at Specialized High School of Tourism and Tourism High School.
To confirm the way to learn Tourism English, which check up the school of foundation aim of school, and to know about an appropriate material of the way to learn Tourism English, then to have any purpose which are to help the education of Tourism English.
To attain the study's purpose,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the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using a questionnaire by a method of documentary study and preceded stud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discrimination analysis and T-test analysis using SPSS VER. 11.0.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sign and editing of Tourism English Textbook and an ability to have a good command of English among factors, which are the evaluation' factors of Tourism English Textbook, affect the general effect of students' satisfaction. There is a difference about the design and editing of Tourism English Textbook between Specialized High School of Tourism and Tourism High School. The Specialized High School of Tourism' students have any satisfaction of Tourism English more than Tourism High Schools' students.
There are no differences of factors' Tourism English about the way to learn Tourism English such as listening and conversation lesson, and there are also no differences of the general effect of students' satisfaction about the way to learn Tourism English such as listening and conversation lesson.
If Tourism English Textbook is revised later, this study help students, as a consumer, to increase an utility of education and to make them be satisfied with Tourism English Textbook and lesson.
- Author(s)
- 강성구
- Issued Date
- 2006
- Awarded Date
- 2006-08
- Type
- Thesis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670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