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20세기 전반기 한국 화장문화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개항에 따른 문호개방을 시작으로 밀려오는 외래문화의 영향으로 전개된 한국의 전통사회가 근대 사회로 변화하게 되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서 변화, 발전된 화장문화에 대한 연구는 바로 우리나라의 사회의식, 민족의식, 미의식의 표출이며 시대적 문화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은 20세기 전반기 한국 화장문화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화장문화의 변화가 사회·문화적 요인들의 반영에 의한 것임을 전제로 20세기 이전 한국 화장문화를 살펴보고, 20세기 전반기의 시대적 배경을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들로 크게 분류, 화장품 산업발달과 관련시켜 화장문화의 배경을 분석하고 이러한 상황이 화장문화에 끼친 구체적인 영향을 통해 그 변천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여기서 화장문화라 함은, 화장행위와 화장품 등을 포함하여 그에 관련된 지식과 정서, 사회 문화적 현상까지를 말한다.
화장이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된 이래 우리 민족이 일찍부터 매우 높은 미의식을 가지고 남녀 모두 아름다움을 가꾸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여왔다는 사실은 단군신화에서부터도 나타나 화장문화가 있었다는 흔적을 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아름다운 육체에 아름다운 정신이 깃든다는 영육일치사상과 하얗고 티없는 피부를 선호하는 백색피부호상사상이 깊이 뿌리 박혀 얼굴을 단정히 가꾸고 몸을 청결히 유지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이것을 단장(丹粧)이라고 했는데 우리나라 고유의 화장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꾸밈의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어휘로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개화기 이후부터 일본으로부터 화장이라는 낱말이 유입되어 상용어가 됨으로써 차츰 얼굴화장만을 가리키는 야용(冶容)류의 멋내기가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가운데 개항을 맞은 조선사회가 갑오개혁과 더불어 서양과의 문화적 접촉이 시작된 이래 수천 년을 지속하여 온 한국 화장문화는 변화의 양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특히 20세기 전반기 한국 화장문화는 무엇보다도 화장 행위의 주체인 여성에 관련된 교육의 확대와 그에 따른 여성의 사회적 진출, 시대적 가치인식의 변화 경제·산업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세기 전반기는 전통적으로 화장이 기생들의 전유물처럼 취급되어져 온 기존의 인식이 차츰 변하게 되는 시기로 점차 신여성, 가정주부들에게도 확대되었다.
20세기 전반기에 이르러 한국 화장품 산업은 커다란 변화를 겪는다. 20세기 전까지의 자가자급경제체제와 시장이 발달하지 못한 점, 화장품의 제조방법 등의 한계로 개항 이후 재래 화장품 산업이 쇠퇴되나 화장품 발전사에 결정적인 계기가 된 갑오개혁 이후 오늘의 우리 화장품 공업발전의 초석을 이룬 박가분을 비롯한 다른 국산화장품들이 제조되고, 1930년∼1940년대에 들어서 설립된 한국인 화장품회사들의 존재는 화장품의 산업화와 발전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허가절차나 시설기준, 품질검사 없이 가내수공업 규모로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당시의 화장품 판매는 점포판매가 늘고, 분매 방식의 판매가 생겨났고, 좌상, 방물장수와 매분구 등을 통해 유통되었다. 또한 화장품광고가 신문 잡지 지면을 장식하면서 화장문화가 일반인에게까지 보다 구체적으로 영향을 미쳐 화장문화를 촉진시키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20세기 이전 고려시대부터 기생의 분대화장과 여염집 부인의 옅은 화장으로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도덕관념과 내외사상의 영향으로 여염집 여성과 기생의 화장으로 이원화되었는데, 이 시대부터 차별화된 화장방식을 통해 여성의 사회적 지위나 입장이 드러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20세기 전반기 화장문화에도 이어져 신식화장품과 신식화장법이 도입되면서 이러한 화장문화가 신식화장과 전통화장의 이원화로 또 다른 국면을 맞이한다. 신식화장법이 유행하면서 분이 뽀얗게 발라지고 입술연지색이 짙어지고 향수와 비누의 향내가 강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신식화장법의 유행은 가속되지 않고 대중화에 한계에 직면했는데 그 원인은 주로 신여성과 직업여성들인 기생과 창녀, 영화배우 등에 의해서 먼저 유행되었기 때문이다. 일부 신여성들의 자유연애 예찬과 이에 대한 비난으로, 신식화장을 한 여성들은 바람둥이 또는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으로 지칭되기도 했다. 여염집 여성들은 그들과 구분되기 위해서 더욱 화장을 기피함으로써, 종래 기생 등의 화장과 여염집 여성의 화장구분이 더욱 심화된 결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한일합방 이후 민족적 각성을 가져와 개화풍이 곧 일본풍이라고 여겨 일본에 대한 반발이 신식화장의 유행을 저해시켰고 또한 대중매체의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박화장, 엷은 화장, 점잖은 화장을 연일 강조하고 모던걸이라고 불리던 신여성들의 유행 추종현상을 대부분 좋지 않게 보고 사회의 지탄의 대상으로 삼았기에 신식화장이 대중화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그 당시까지 단장의 의미를 지녔던 화장은 장식의 의미로 바뀌면서 얼굴, 피부손질, 옷차림, 장신구, 머리모양 등 토탈 패션으로서의 화장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osmetic culture of Korea before the 20th century on the premise that the change of cosmetic culture is based on the reflection of sociocultural factors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cosmetic culture of Korea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20th century, analyzed the background of cosmetic culture by classifying the period background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20th century with diverse sociocultural backgrounds greatly and relating it to cosmetic industry, and studied the change and feature through the concrete influence that this situation had on cosmetic culture.
Since cosmetic started with the history of mankind, the concept of cosmetic in the tradition of our country was used with respectively different vocabularies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decoration.
And, the word, cosmetic was flowed in from Japan after the flowering time and it came to be a common use language, show started to be universalized gradually.
In addition, the cosmetic culture of Korea has changed, reflecting the culture ideology and aesthetic sense of the period, as it was created and changed in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relation of society.
The cosmetic culture of Korea which has continued for several thousand years since Chosun society which met the opening of aport started the cultural contact with the West with the Political Reform in 1984 started to show started to show the aspect of change.
Especially, the cosmetic culture of Korea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20th century has close relation with the expansion of eduction related to women who are the subject of cosmetic action, the social advancement of women which is based on it, the change of value recognition of period, and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industry.
And, it is the period when the existing recognition that cosmetic has been treated like the exclusive possession material of kisaeng traditionally in this background came to change gradually.
Thus, it was expanded to new women and housewives gradually also.
Since the beginning of the first period of the 20th century, the cosmetic industry of Korea experienced great change.
Convetional cosmetic industry declined after the opening of a port because of the fact that self-sufficient economy systemand market failed to develop before the 20th century and the limit of manufacturing method of cosmetic etc., but other homemade cosmetics including Japanese mint powder which formed the cornerstone of development of our cosmetic industry of today was manufactured after the Political Reform in 1984 which became the decisive momentum in the history of cosmetic development, and the existence of cosmetic company of Koreans which was founded since the beginning of 1930-1940 contributed toward the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cosmetic.
However, cosmetic was manufactured on the scale of home manual indsutry without present permission procedure or facilities standard, and quality inspection.
As for then cosmetic sales, store sales increased, the sales of distribution method appeared, and it was circulated through the storekeeper and the peddler of a fancy goods etc.
In addition, while cosmetic advertisement decorated newspaper, magazine and space, cosmetic culture had influence on generals.
Since Koryo period before the 20th century, stage cosmetic of kisaeng and the thin cosmetic of wives of middle class home were made.
And, in Chosun period, cosmetic became dual into the make-up of women at middle class home andd that of kisaeng.
Then, it is being shown that the social position or viewpoint of women could be revealed through differentiated cosmetic method from the period.
This phenomenon was linked to the cosmetic culture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20th century.
Thus, that the remnants have been left in the consciousness of people up to now became the negative element of development of cosmetic culture of Korea.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20th century, while the new style cosmetic and the new style of cosmetic method were introduced, cosmetic culture met another aspect by the dual tendency of new style cosmetic and traditional cosmetic.
While the new style of cosmetic method was in vogue, power was applied milk-white, the color of lipsticks became thick, and the fragrance of perfume and soap became thick.
However, this vogue of new style of cosmetic method was not accelerated and it faced the limit of popularization.
Then, the cause was because it was in vogue by new women, kisaeng and prostitute who are working women, and movie star etc.
By the praise of free love of partial new women and the criticism for it, women who made up with new style were designated as inconstant lovers or sexually disordered women.
That the women at middle class home evaded cosmetic so a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m brought the result that the cosmetic distinction was deepened.
And, as bringing the awakening of race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regarded civilization style just as Japanese stule, the repulsion for Japan impeded the vogue of new style of cosmetic.
In addition, the articles of mass media emphasized thin cosmetic and cosmetic which doesn't seem to be young day after day.
And, the phenomenon of vogue follow of new women which was referred to as angled texture was not regarded good for the most part and it was regarded as the subjet of reproach of society.
Thus, there was limit in the popularization of new style of cosmetic.
But, cosmetic which had the meaning of dressing until those days was transfigured into the cosmetic as the total fashions such as face, skin management, dress, dress and its ornaments, and hairstyle etc., while it changed into the meaning of decoration.
Author(s)
朱恩鏡
Issued Date
2003
Type
Thesis
Keyword
화장문화한국 화장문화분장예술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592
Affiliation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Appears in Collections:
뷰티예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