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호텔 중간 관리자의 리더십이 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bstract
본 연구는 호텔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유형 즉,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규명하고 또한 리더십유형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호텔의 중간관리자로 하여금 다양한 관리방식의 개선과 변화를 통하여, 호텔 내 조직시민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기여뿐만 아니라 실무적 관점에서 호텔 발전에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모집단은 호텔 직원들로 한정하고 모집단을 추정하기 위한 표본은 2012년 10월 10일~10월 20일까지로 하였고, 표본추출 방법은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중의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의 진행방법은 사전에 설문조사에 대하여 교육을 받은 조사원을 통하여 설문 응답자가 설문지에 직접 기입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설문지는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21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이중에서 불성실한 응답과 중심화 경향이 높은 설문지를 제외한 31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조직형태별 가설 검증결과와 비교분석을 토대로 이론적 관점과 조직관리 관점으로 나누어 이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 관점의 시사점을 보면 첫째,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서로 다른 기제의 영향력을 갖는 조직문화와 리더십유형 즉,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동시에 고려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조직시민행동의 실질적 측면에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호텔종사원의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조직문화 형성과 리더십 발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조절변수로 호텔 종사원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조직시민행동이 직무나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의 결과, 나타나는 의식적인 반응행위라는 논리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해 주었다. 즉, 호텔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개개인에 대한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호텔의 인적서비스가 중요한 직무특성상 종사원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검증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호텔조직에 대한 효과적인 조직경영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호텔의 인사관리기법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호텔의 특성과 조직시민행동의 인과관계를 고려하여, 호텔조직의 변화방향과 전략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호텔기업경영에서 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 향상에 필요한 중간관리자의 행동을 파악하여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될 것이다.
첫째,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인인 조건적 보상은 이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또한 직무에 대한 능력과 의욕이 있는 종사원에게는 예외에 관한 관리도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카리스마 리더는 상사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고, 성취욕구와 자아존중감이 낮은 조직구성원에게 커다란 자극제가 된다. 또한 카리스마뿐만 아니라 변혁적 리더십의 다른 구성요인인 분발 고취,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도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인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서는 호텔기업의 중간관리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며, 특히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여 종사원들에게 감동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전달함으로서 종사원들이 조직시민행동의 양심성과 정당성 몰입하여 변화를 수용․대처할 수 있도록 격려하여야 하며, 그들 스스로도 기대 이상의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변해야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모두 자기보고식 측정에만 의존하였다. 자기보고식 자료에 의한 연구는 여러 가지 방법상의 오류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또한 인천지역 호텔을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체 호텔을 대표하지 못한다는 한계점과 조사 방법으로서 설문지법만을 사용하였으므로 응답자의 편견에 의한 오류가 설문지 조사가 가지는 단점으로 앞으로의 연구는 면접법, 참여 관찰법 등 보다 심층적인 조사방법을 병행하여 이런 단점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조사 시기에 따른 환경, 심리적 변화 등에 따라 조사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과 보다 심도 있는 의견과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 등이 본 연구의 한계성으로 지적된다. 아울러서 향후에는 호텔의 중간관리자에 대한 다차원척도를 기재로 모집단에 있어서 주방의 종사자 및 식음료 등 전문모집단을 위주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Author(s)
현재욱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02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514
Affiliation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Advisor
허진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호텔관광외식경영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