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무용 작품 「흥의 노동,노동의 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몸으로 짓는 노래,노래로 짓는 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how these two elements can be applied to the creation of Korean dan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labor song,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oral cultures, and 'heung',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motional basis of Koreans. Labor song is a song that has been created voluntarily in the process of community labor in the past and has been orally transmitted, and it has performed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labor and strengthening the bond between community members beyond simple work sound. At the same time, 'heung' is the emotional energy of Korean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ource of self-sustaining vitality expressed in emotional communication and immersion in the group, and play and relaxation. As such, 'labor song' and 'heung' are deeply rooted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t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levels, respectively, and this study approached creation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volumelessnes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cept, function, and correlation between labor song and excitement, and based on this, composed a dance creation work, "Heung's Labor, Labor's Heung". This work attempted to describe dance that encompasses tradition and modernity by combining modern music composition, Korean traditional rhythm, and body movement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labor song. In particular, actual labor songs such as "Elongerong" and "Eolka Gump" were used, and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such as janggu, drum, and kkwaenggwari and the body movements of dancers were organically harmonized. The work is divided into chapters 1 "labor" and 2 "excitement," and each scene choreographically unravels the repetition and tiredness of labor and the feelings of community joy and immersion. Chapter 1 emphasizes the atmosphere of manual labor through traditional labor songs, rhythms, and actual rhythm performances, and Chapter 2 focuses on physical expressions that radiate leisure, play, and excitement after labor. The focus was on delivering the emotional message of the work along with visual elements such as lighting, stage setting, props, and costumes, in the process of stage painting. Overall, the lighting of the stage, which starts in dark lighting and gradually brightens, metaphorically expresses the flow of the day from dawn to sunset and home. In addition, the physical aspect of labor was emphasized through repetitive and mechanical movements, and humanity and community were illuminated through communication and play in it. This study practically shows that the elements of traditional labor song and excitement do not remain at the simple folk level, but can be the narrative and aesthetic basis for contemporary dance creation.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expand the identity and artistic expansion of Korean dance through moder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materials, and can be evaluated as a creative experiment that explores how emotions and energy transmission through the body can communicate with contemporary audiences. Furthermore, this study is a practical study that can comprehensively view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tradition and modernity, function and art, labor and excitement in the context of Korean dance creation, and will be meaningful data for future creation and theoretical discussions in related fields.|본 연구는 한국 전통의 구비 문화 중 하나인 노동요와, 한국인의 정서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 ‘흥’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 두 요소가 한국 무용 창 작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노동요는 과거 공동체 노동의 과정 속에서 자발적으로 생성되어 구전되어온 노래로, 단순한 작업 소 리를 넘어 노동의 효율을 높이고 공동체 구성원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기능 을 수행하였다. 동시에 ‘흥’은 한국인의 정서적 에너지로서, 집단 속에서의 감 정적 교감과 몰입, 그리고 놀이와 여유 속에서 발현되는 자생적 활력의 원천 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노동요’와 ‘흥’은 각각 기능적, 정서적 차원에서 한 국 전통문화 속 깊이 자리 잡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 둘의 상호 관계성과 무 용적 표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창작에 접근하였다.연구자는 이론적 고찰을 바 탕으로 노동요와 흥의 개념, 기능, 그리고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 으로 무용 창작 작품인 「흥의 노동, 노동의 흥」을 구성하였다. 해당 작품은 전통 노동요의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음악 구성, 한국 전통 장단, 그리고 신체 움직임을 결합하여, 전통성과 현대성을 아우르는 무용 어법을 시 도하였다. 특히 ‘에롱데롱’, ‘얼카덩어리’와 같은 실제 노동요를 활용하고, 장 구, 북, 꽹과리 등 한국 전통 악기의 활용과 무용수들의 신체 움직임이 유기 적으로 어우러지도록 구성하였다. 작품은 1장 ‘노동’, 2장 ‘흥’의 구성으로 나 뉘며, 각 장면은 노동의 반복성과 고단함, 그리고 그 안에서 피어나는 공동체 적 즐거움과 몰입의 감정을 안무적으로 풀어내었다. 1장에서는 전통 노동요와 리듬, 그리고 실제 장단 연주를 통해 육체 노동의 분위기를 강조하였고, 2장 에서는 노동 이후의 여유와 놀이, 그리고 흥이 발산되는 신체적 표현이 중심 이 되었다. 무대화 과정에서는 조명, 무대 세팅, 소품, 의상 등의 시각적 요소 들과 함께 작품의 정서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조명 속에서 시작해 점차 밝아지는 무대의 조명은, 새벽부터 노동을 시작해 해질녘 귀가에 이르는 하루의 흐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반 복적이고 기계적인 움직임을 통해 노동의 신체적 측면을 강조하고, 그 속에서 의 소통과 놀이를 통해 인간성과 공동체성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노동요와 흥이라는 요소가 단순한 민속적 차원에 머무르 지 않고, 현대 무용 창작의 서사적·미학적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실천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전통 소재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한국무용의 정체성과 예술 적 확장을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몸을 통한 감정과 에너지의 전달이 동시대 관객과 어떻게 소통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 창작적 실험으로 평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한국 무용 창작의 맥락에서 전통과 현대, 기능과 예술, 노동과 흥이라는 이분법적 구조를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실천적 연구로서, 향후 관련 분야의 창작 및 이론적 논의에 있어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Author(s)
이태웅
Issued Date
2025
Awarded Date
2025-08
Type
Thesis
Keyword
노동요한국무용창작무용전통과 현대의 융합공동체성신체표현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42
Affiliation
한성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무용학과
Advisor
김남용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무용학과 > 1. Journal Article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