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기업의 국제화 수준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bstract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internationalization on the firm value of K-beauty companies. To this end, financial data spanning the last ten years (2014–2023) were collected for K-beauty firm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Tobin’s Q was employed as a proxy for firm value, while the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was measured by the ratio of foreign sales—defined as the sum of net exports and overseas subsidiary revenues—to total sales (FST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corporating return on assets (ROA), firm size (LN(Asset)), and financial leverage as control variables.
Contrary to conventional expect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exer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This suggests that international expansion may not inherently contribute to value enhancement and can, in the short term, introduce financial burdens and strategic uncertainties. Factors such as initial investment costs, institutional and cultural barriers, and insufficient localization strategies may act as deterrents to value creation. In contrast, ROA emerged as the strongest positive determinant of firm value, reaffirming the critical role of financial performance in investor valuation. Financial leverage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mplying that prudent debt utilization can enhance capital efficiency and support value generation. Interestingly, firm size exhibit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indicating that within the K-beauty sector, agility, trend responsiveness, and innovation may afford smaller firms a competitive edge.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the benefits of internationalization may be limited or even detrimental in the short term unless accompanied by a carefully calibrated strategy.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research challenges the widely held assumption that international expansion is universally value-enhancing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industry-specific investigations. Practically, the study advocates for K-beauty firms to adopt profitability-centered strategic planning, risk assessment, and market prioritization when pursuing internationalization,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qualitative growth.| 본 연구는 K-뷰티 기업의 국제화 수준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OSPI 및 KOSDAQ 시장에 상장된 K-뷰티 기업들을 대상으로 최근 10개년(2014~2023년)의 재무 데 이터를 수집하고, Tobin’s Q를 기업가치의 대용치로 활용하였다. 국제화 수준은 순수출액과 해외법인 매출의 합을 총매출로 나눈 비율(FSTS)로 정의하였으며, ROA, 기업규모(LN(Asset)), 레버리지(Leverage)를 통제 변수로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뷰티 기업의 국제화 수준은 기업가치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화 확대가 단기적으로는 기업 가치 상승에 기여하기보다는, 재무적 부담과 전략적 불확실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해외 진출 초기의 투자 비용 증가, 제도적·문화적 장 벽, 현지화 전략의 미비 등은 기업가치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수익성(ROA)은 기업가치에 가장 강한 정(+)의 영향을 보여, 재무성과가 투자자 가치평가의 핵심 변수임을 나타낸다. 또한 레버리지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여 적절한 수준의 부채 활용이 자본 효율성 제 고와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기업규모는 오히려 기업가 치에 부(-)의 영향을 미쳐, K-뷰티 산업의 특성상 중소형 기업의 경쟁우 위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국제화의 효과가 단기적으로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음을 보 여주며, 국제화 전략 수립 시 단순 확장보다는 진출 국가의 특성, 현지화 수준, 운영 효율성 등 세밀한 전략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론적으 로는 국제화가 기업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산업 특성에 기반한 국제화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실무적 으로는 K-뷰티 기업들이 국제화 전략을 추진할 때 수익성 중심의 전략적 의사결정, 시장 선별, 리스크 관리 등을 통해 질적 성과를 도모해야 함을 제언한다.
- Author(s)
- 원재성
- Issued Date
- 2025
- Awarded Date
- 2025-08
- Type
- Thesis
- Keyword
- K 뷰티; 화장품; 기업가치; 국제화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39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