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무용 작품 「중심잡기」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무용 작품 「중심잡기」에 관한 연구
Abstract
본 연구는 유교 철학의 핵심 개념인 중용(中庸)을 현대무용 창작의 주제로 삼아, 이를 통해 현대인의 감정과 관계의 균형 회복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현대 사회는 정보 과잉, 과도한 경쟁, 감정의 극단적 표출 등이 일상화된 혼란의 시대이며, 개인은 끊임없는 자극 속에서 중심을 잃고 흔들리는 삶을 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중용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 창작공연 「중심잡기」를 통해 이러한 혼돈의 흐름에서 벗어나 조화로운 삶의 의미를 모색하는 예술적 시도를 담았다.
「중심잡기」는 인간관계에서의 과(過)와 불급(不及) 사이의 균형을 찾고자 하는 움직임의 탐구이다. 작품은 총 네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혼돈의 세계에서 출발해 점차 중용을 깨닫고 균형의 춤으로 나아가는 여정을 그린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사례분석, 안무 실험을 통해 철학적 개념을 신체 언어로 전환하는 과정을 예술적으로 탐색하였다. 『중용』,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등 고전 철학서 및 현대 사회학 이론을 바탕으로 중용의 철학적 함의를 해석하고, 이를 피나 바우쉬, 메르스 커닝햄, 오하드 나하린 등 현대무용 거장의 사례 분석을 통해 안무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무용수들과의 협업을 통해 즉흥적인 움직임과 감정 표현을 실험하고, 중용의 철학이 움직임 속에서 어떻게 드러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무용이 단순한 신체 표현을 넘어 철학적 개념과 삶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예술적 실천임을 보여준다. 중용이라는 고전 개념이 현대사회의 정서적 혼란과 과잉 속에서 여전히 유효하며, 예술을 통해 재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본 논문은 무용 창작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convey a message on the restoration of the balance of emotions and relationships of modern people by taking the core concept of Confucian philosophy, 庸, as the theme of contemporary dance creation. Modern society is an era of confusion in which excessive information, excessive competition, and extreme expression of emotions are common, and individuals are living a life of loss and shaking in constant stimulation. Therefore, this thesis contains an artistic attempt to escape from this flow of chaos and seek the meaning of a harmonious life through the creative performance 「Centralization」 based on Jung-yong's philosophy.
「Centralizing」 is an exploration of a movement to find a balance between 過 and non-payment in human relations. The work consists of a total of four scenes, and depicts a journey from a world of chaos to a dance of balance, gradually realizing moderation.
This study artistically explored the process of converting philosophical concepts into body languag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ase analysis, and choreography experiment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moderation were interpreted based on classical philosophical books and modern sociological theories such as "moderation" and Aristotle's "Nikomakos Ethics," and choreographed through case analysis of contemporary dance masters such as Pina Bausch, MERS Cunningham, and Ohad Naharin. In addi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dancers, we experimented with improvised movements and emotional expressions, and explored how the philosophy of moderation can be revealed in movements.
This study shows that dance is an artistic practice that can present philosophical concepts and directions of life beyond simple body expressions. This paper,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classical concept of moderation is still valid in the emotional confusion and excess of modern society and can be reinterpreted through art,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dance creation.
Author(s)
조한진
Issued Date
2025
Awarded Date
2025-08
Type
Thesis
Keyword
중용유교 철학균형감정 조절조화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23
Affiliation
한성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무용학과
Advisor
김남용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무용학과 > 1. Journal Article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