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복무 스트레스가 안전사고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bstract
- Stress experienced during military service extends beyond temporary discomfort or personal distress; it constitutes a structural risk factor that directly impacts the safety of the entire organization. The military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a closed living structure, hierarchical culture, intensive repetitive missions, and limited autonomy, is inherently high-risk. Psychological tension among service members can manifest in behavioral deviations and, ultimately, lead to safety incident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nfluence of various stress factors on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mong active-duty military personnel.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military officers across different regions. Five major categories of stress were analyzed: occupational stress, interpersonal stress, environmental stress, institutional stres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The results indicate that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nomalies caused by stress—such as decreased concentration, increased impulsivity, and emotional instability—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violations of safety regulations, failed vigilance, and reduced emergency responsiveness.
Among the various types of stress, occupational stress due to overwork and unclear job demands, and interpersonal stress caused by communication failures and rigid hierarchical relationships, were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safety accidents. Furthermore, the prevailing organizational culture—where expressing psychological distress or seeking help is discouraged—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barrier to accident preven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expand the traditional safety management framework beyond physical risk factors to include psychological stress as an internalized hazard. In many actual cases, stress symptoms such as fatigue accumulation and interpersonal conflict were evident prior to accidents, yet organizations failed to detect or respond effectively. Therefore, the study emphasizes that such failures stem from systemic issues and limitations in organizational response mechanisms, rather than isolated individual shortcoming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a restructuring of the current military stress management system toward a preventive and effective model. Policy suggestions include strengthening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early detection capabilities, establishing self-assessment systems for stress, increasing the number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military, improving top-down communication, and enhancing leadership training. Securing “psychological safety” through confidential reporting systems and effective grievance channels is also strongly recommende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grounded in social safety studies, the research underscores that stress is not merely an individual risk factor but a core cause of group-level accidents. According to complex risk management theory, psychological stress, like physical hazards, affects organizational resilience and responsiveness. Thus, a comprehensive safety system must incorporate both mechanical safety measures and human-centered mental health support.
In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at stress in the military is not a personal issue but a critical organizational risk. The research findings and policy recommendations presented herein have implications not only for the military but also for other high-risk professions such as police and firefighting. These insights contribute valuable foundational knowledge for building stress-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s in the future.|군 복무 환경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는 단순한 개인적 고통이나 일시적 불편을 넘어서, 조직 전체의 안전성과 직결되는 구조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군 조직은 폐쇄적인 생활 여건, 상명하복의 위계적 문화, 고강도 반복 임무, 제한된 복지 및 자율권 등 다양한 스트레스 유발 요소가 공존하는 고위험 환경으로서, 구성원 개개인이 겪는 심리적 긴장은 단순한 정서적 반응을 넘어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는 안전사고의 근본 원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본 연구는 군 간부를 대상으로 복무 중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 실제 안전사고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군내 스트레스 관리체계를 예방 중심으로 재구조화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선별된 현역 군 간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직무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환경적 스트레스, 제도 및 규율 스트레스, 미래 불안 등 다섯 가지 스트레스 유형을 중심으로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군 복무자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는 집중력 저하, 충동성 증가, 감정 조절의 어려움 등 심리적·행동적 이상반응을 유발하며, 이는 곧 안전수칙 위반, 경계 실패, 사고 대응능력 저하 등으로 이어져 실질적인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복되는 경계근무와 훈련, 업무 과중으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와 상급자와의 소통 단절, 언어폭력, 부조리한 위계문화로 인한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사고 발생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장병들이 자신의 심리적 어려움을 표현하거나 공식적으로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운 조직 문화 역시 사고 예방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다.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물리적 요인 중심의 안전사고 분석 틀을 확장하여, 심리적 스트레스라는 내면화된 위험요인을 조직 차원에서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제로 다수의 사고 사례에서 사고자들은 사고 직전 피로 누적, 무기력감, 상급자와의 갈등 등 명확한 스트레스 지표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조직은 이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대응하지 못하였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로 치부될 것이 아니라, 조직 차원의 구조적 한계와 대응체계 미비에서 비롯된 문제로 해석되어야 한다.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행 군 스트레스 관리체계의 구성과 운영 실태를 검토하고, 예방적이고 실효적인 관리체계로의 전환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심리상담과 조기 진단 기능 강화, 스트레스 자가 평가 시스템의 정착, 군 정신건강 전문인력 확대 배치, 상하 소통 체계의 개선, 리더십 교육의 내실화 등이 포함된다. 특히 병사나 간부가 자신의 심리적 어려움을 외부로 표현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비밀보장 기반의 익명 신고 시스템이나 내부 고충 상담 채널의 실효성 확보가 요구된다.아울러 본 연구는 사회안전학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심리적 스트레스가 단순한 개인 위험이 아닌 ‘집단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스트레스는 인적오류(human error)를 유발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며, 사회안전학의 복합위험관리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위험은 물리적 위험 못지않게 조직의 회복탄력성과 대응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안전관리체계는 장비 점검, 절차 교육, 물리적 통제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으며, 인간 중심의 심리 안정 지원 시스템과 긴밀히 연계되어야 한다.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군 복무 스트레스가 단지 복무자의 개인 문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조직 전체의 안전성과 생존 가능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논문이 제시한 연구 결과와 정책 제안은 군뿐만 아니라 경찰, 소방 등 유사한 고위험 직종에도 적용 가능한 보편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으며, 향후 스트레스 기반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Author(s)
- 이창대
- Issued Date
- 2025
- Awarded Date
- 2025-08
- Type
- Thesis
- Keyword
- 군 복무 스트레스; 안전사고; 스트레스 유형; 심리적 위험요인; 군 조직; 안전관리체계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18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