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중국의 서체와 필법을 활용한 캘리그래피의 표현방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Chinese calligraphy is a traditional Chinese art that goes beyond simple writing and has artistic and literary value. It is expressed as a fusion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fluenced by the philosophy of Taoism and Confucianism, and is considered a symbol of social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 tool for personal character cultivation and spiritual training. Chinese calligraphy, which is listed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culture that is studied and learned worldwide, and it not only contributes to global cultural exchanges, but is also continuously used in various fields today.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effectively express calligraphy in image transmission by utilizing traditional Chinese fonts and writing techniques.
To this en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lligraphy according to the times were examined, and the current expression methods of calligraphy were identified through case analysis of brand logos utilizing calligraphy.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various visual expressions can be created by combining the writing technique, which is a Chinese writing method using a brush, and five types of fonts: seal script, clerical script, cursive script, regular script, and running script. By utilizing this combination method, we created a calligraphy expression method template that can express the emotions or images that we want to express, and we wante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expression of letter images that can be utilized as various brand logos while creating a visual identity that encompasses traditional images and modern sensibilities beyond simple letter expressions and at the same time creating design differentiation.
As a research method, we investigated existing literature on the fonts and writing styles of Chinese calligraphy and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onts (Seal script, Clerical script, Cursive script, Regular script, Semi-cursive script), and through this, we identified the unique formative elements of each font and organized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fonts that can be applied to brand design. Next, we collected and analyzed cases of applying calligraphy to brands in various industries. Through this, we specifically evaluated how each font contributes to the brand image and identity. In addition, we created a number of cases that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Chinese fonts and writing styles and confirmed through actual calligraphy work what kind of visual image expression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method.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limited to Chinese calligraphy. For the case analysis, the scope was set to various industries that used calligraphy logos expressed using a brush, and in detail, various cases where calligraphy was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ife, food, technolog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fashion industry were analyz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riting style, the scope was set to the calligraphy of Qibi (to start writing a stroke of a Chinese character), Xingbi (to put pen to paper), and Shoubi (to conclude the writing of a stroke of a Chinese character by lifting up the inkbrush), and in particular, the scope was set in a way that highlighte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style, such as ‘Cangfeng(to hide the tip of the brush when writing a stroke)’ and ‘Loufeng(to expose the tip of the brush when writing a stroke)’ of Qibi, ‘Rising’ and ‘Press’, ‘Wheel’ and ‘Bent’, ‘Quick’ and ‘Slow’, ‘Square’ and ‘Circle’ of Xingbi, and ‘Rounding’ and ‘Biting’ of Shoubi.
The font scope of this study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five main fonts of Chinese calligraphy: Seal script, Clerical script, Cursive script, Regular script, Semi-cursive script.
In addition, a visual expression template based on the use of fonts and writing styles was created through actual calligraphy work to explore the emotional and image expression possibilities of these combinations. In the brushwork, the characteristics of ‘Qibi (‘Cangfeng(to hide the tip of the brush when writing a stroke)’ and ‘Loufeng(to expose the tip of the brush when writing a stroke)’)’, ‘Xingbi (‘Rising’ and ‘Press’, ‘Wheel’ and ‘Bent’, ‘Quick’ and ‘Slow’, ‘Square’ and ‘Circle’)’, and ‘Shoubi (‘Rounding’ and ‘Biting’)’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templat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in the various expressions of Chinese calligraphy fonts and brushwork. In particular, the effect is maximized when fonts (Seal script, Clerical script, Cursive script, Regular script, Semi-cursive script) and brushwork are utilized. In addition, the fusion of font characteristics and brushwork can add a new visual feeling to the design.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strength of the brushwork and the use of ‘Xingbi’ and ‘Shoubi’ enrich the emotional expression of information, and the fusion of traditional fonts and brushwork enables timeless designs.|중국 캘리그래피는 단순한 글쓰기를 넘어 예술과 문학적 가치를 지닌 중 국 전통예술이다. 그것은 도교와 유교의 철학의 영향을 받아 시, 서, 화의 융 합으로 표현되었으며, 개인의 인격 수양과 정신 수련의 도구로서 사회적 지위 와 학문적 성취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에 등재된 중국 캘리그래피는 전 세계적으로 연구되고 학습되는 중국 문화의 중 요한 부분이며 글로벌 문화 교류에도 기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오늘날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중국의 전통적인 서체와 필법을 활용하여 캘리그래피가 이미지 전달에 효과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캘리그래피의 역사적 배경과 시대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았 으며,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브랜드 로고의 사례분석을 통해 현재 캘리그래피 의 표현방법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붓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글자쓰 기 방법인 필법과 전서, 예서, 초서, 해서, 행서 등 다섯 가지의 서체를 조합하여 다양한 시각적 표현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 조합 방 법을 활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이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캘리그래 피 표현방법 템플릿을 제작함으로써 캘리그래피가 단순한 글자 표현을 넘어 서, 전통적인 이미지와 현대적 감각을 아우르는 시각적 정체성을 담아냄과 동 시에 디자인의 차별성을 만들어낼 수 있고, 다양한 브랜드 로고로써 활용될 수 있는 글자 이미지 표현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중국 캘리그래피의 서체와 필법에 관한 기존 문헌을 조사 하여 전통 서체(전서, 예서, 초서, 해서, 행서)의 특성을 리서치하였고, 이를 통해 각 서체가 가진 고유한 조형적 요소를 파악하였으며, 브랜드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서체의 시각적 특성을 정리했다. 그 다음, 다양한 산업에서 캘리 그래피를 브랜드에 적용한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서체가 브랜드의 이미지와 정체성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평가했 다. 또한 중국의 서체와 필법을 조합하여 표현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만들어 조합 방법에 따라 어떠한 시각이미지 표현이 가능한지 실제 캘리그래피 작업 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범위는 중국의 캘리그래피로 한정하였다. 그 사례분석을 위해서는 붓을 사용하여 표현된 캘리그래피 로고를 사용한 여러 산업 분야로 그 범위를 설 정했는데, 세부적으로는 생활, 음식, 기술, 교육기관, 패션 산업 등 다양한 분 야 등에서 캘리그래피가 활용된 다양한 사례를 분석했다.
그리고, 필법의 경우, 캘리그래피의 기필(起筆), 행필(行筆), 수필(收筆) 을 범위로 하고, 특히 기필의 ‘장봉’과 ‘노봉’, 행필의 ‘제’와 ‘안’, ‘전’과 ‘절’, ‘질’과 ‘삽’, ‘방’과 ‘원’, 수필의 ‘둥글게 하기와 모나게 하기’ 등 필법의 세부 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방법으로 범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서체 범위는 중국 캘리그래피의 다섯 가지 주요 서체인 전서, 예서, 초서, 해서, 행서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캘리그래피 작업을 통해 서체와 필법의 활용을 기반으로 한 시 각적 표현 템플릿을 제작하여 이러한 조합의 감성적, 이미지적 표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필법에서 ‘기필(‘장봉’과 ‘노봉’)’, ‘행필(‘제’와 ‘안’, ‘전’과 ‘절’, ‘질’과 ‘삽’, ‘방’과 ‘원’)’, ‘수필(‘둥글게 하기’와 ‘모나게 하기’)’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 실험 결과, 템플릿의 적용은 중국 캘리그래피 서체와 필법의 다양한
표현에 있어서 다양성과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서체(전서, 예서, 초서, 해서, 행서)와 필법을 활용하면 효과 가 극대화된다. 또한 서체의 특성과 필법의 융합으로 디자인에 새로운 시각적 느낌을 더할 수 있다. 그리고 필법의 강약 조절과 ‘행필’,‘수필’의 활용은 정보 의 감성적 표현을 풍부하게 하며, 전통 서체와 필법의 융합은 시대를 초월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Author(s)
강기헌
Issued Date
2025
Awarded Date
2025-08
Type
Thesis
Keyword
캘리그래피중국 서체필법시각디자인전통과 현대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15
Affiliation
한성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디어디자인학과
Advisor
김지현
Degree
Doctor
Publisher
한성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미디어디자인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