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MZ세대 근로자의 업무부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무형식학습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Abstract
- MZ세대는 국내 전체 인구 중 32%이고, 그 중 피보험자격 취득자가 49%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MZ세대는 국내의 사회 뿐만 아니라 경제의 주류로 부상하고 있다. MZ세대는 기성세대와 다르게 디지털발전과 함께 성장하였기 때문에 삶과 소비 방식이 이전 세대와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만성적으로 인력 부족을 겪는 중소기업은 MZ세대의 일자리 유입을 위해 그들의 특성과 요구, 조건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MZ세대는 중소기업 재직 중 자기성장 기회, 워라밸 보장, 선배나 동료 등 조직 간의 관계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MZ세대의 인력 유치를 위해 업무부하를 해소하고 자기성장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무형식학습과 같은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MZ세대 근로자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업무부하 하의 무형식학습과 조직몰입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따라서 독립변수를 업무부하, 종속변수를 이직의도, 매개변수를 무형식학습과 조직몰입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며, 통계청에서 정의한 1980~2005년생에 속한 MZ세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자료수집을 위하여 5점 Likert 척도의 2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250개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7을 이용하였으며, 회귀분석 및 PROCESS Macro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식학습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지만, 조직몰입을 증가시켜 이직의도를 간접적으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은 전략적으로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무형식 형태의 학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업무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무형식학습과 조직몰입이 이중 매개효과를 가져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구성원이 업무에 대한 시간적 압박이나 업무량의 부담을 느끼더라도 무형식학습을 통해 조직에 몰입하여 조직을 이탈하고자 하는 의지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은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일터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는 무형식학습 활동이 증가할 수 있도록 장려하여야 하며, 특히 조직에 잔류하고자 하는 의도를 높일 수 있는 정서적 조직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무형식학습을 전략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The MZ generation accounts for 32% of the total population in South Korea, with 49% of them registered as insured employees, representing nearly half of the working population. As such, the MZ generation is emerging as a central force not only in society but also in the economy. Unlike previous generations, the MZ generation has grown up alongside digital advancements, resulting in distinct lifestyles and consumption patterns. Consequentl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hich chronically suffer from labor shortages, must underst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needs, and expectations of the MZ generation and develop tailored strategies to attract them. MZ workers value opportunities for personal growth, work-life bal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s. Therefore, to ensure sustainable growth and attract MZ talent, SMEs must address excessive work overload and provide in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that support individu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der conditions of work overload on the turnover intentions of MZ generation employees working in SMEs. In this study, work overload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turnover inten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mediating variables. The study targeted MZ employees born between 1980 and 2005, currently working in SMEs, in accordance with Statistics Korea’s defini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3 items rated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a total of 250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 employing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ROCE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ormal learning did not directly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but indirectly reduced it by enha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organizations should seek strategic informal learning methods that foster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even under work overload,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i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effectively reducing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even when employees experience time pressure or workload burdens, their turnover intention may decrease through organizational immersion achieved via informal learning. Accordingly, SMEs should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that occur naturally in the workplace and utilize them strategically to strengthen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by reducing turnover intentions.
- Author(s)
- 김은송
- Issued Date
- 2025
- Awarded Date
- 2025-08
- Type
- Thesis
- Keyword
- 중소기업; MZ세대; 업무부하; 조직몰입; 이직의도; 무형식학습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13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