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환경요인이 창업의도 및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청년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 Abstract
- Amid recent instability in the labor market and economic recession,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among youth has been increasing. Youth entrepreneurship is gaining attention as a crucial alternative for economic revitalization and job creation, leading to expanded institutional and social support to promote youth startups. However,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psychological barriers affect young prospective entrepreneurs in transitioning to actual startup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t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preparatory behaviors among young prospective entrepreneurs. The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to identify the impact of positiv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facto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egativ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facto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ird, to determine whether entrepreneurial intention positively affects entrepreneurial preparatory behaviors.
To achieve these goals, a total of 400 surveys were distributed to youth between April 15 and May 10, 2025, and 351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first, positive entrepreneuri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role models positively influenced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social perception, a positive fact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negative factors such as job insecurity and social anxiety perception positively influence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fourth, entrepreneurial intention positively affected entrepreneurial preparatory behaviors. This study differentiates itself from previous research by categorizing entrepreneurial environment factors into positive and negative and focusing specifically on young prospective entrepreneurs, empirically demonstrating the pathways through which these factors influence the formation and execution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practical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youth-targeted entrepreneurship policies, the creation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and environment-based support measures.|최근 고용시장의 불안정성과 경기 침체로 청년들의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청년창업은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중요한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청년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사회적 지원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청년 예비창업자들이 실제 창업으로 이어지기까지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장벽이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년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환경이 창업의도 및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창업환경요인이 청년 예비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부정적인 창업환경요인이 청년 예비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셋째, 창업의도가 실질적으로 창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5년 4월 15일부터 5월 10일까지 청년들을 대상으로 총 400부의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351부의 설문을 실증 분석에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창업환경요인인 사회적지원, 성공적역할모델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창업환경요인인 사회적인식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창업환경요인인 직무불안정성, 사회불안인식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의도는 창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환경요인을 긍정적·부정적으로 구분하여 청년 예비창업자 집단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청년 창업의도 형성과 실행 단계에 이들이 구체적으로 작용하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향후 청년층 대상 창업 정책수립, 창업 생태계 조성 및 환경 기반 지원 정책 마련에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uthor(s)
- 김창민
- Issued Date
- 2025
- Awarded Date
- 2025-08
- Type
- Thesis
- Keyword
- 청년창업; 창업환경요인; 창업의도; 창업준비행동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12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