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소규모 건설업의 위험성평가 실행력 제고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국내건설사 및 해외 운영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bstract
본 연구는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위험성평가 제도가 실제로 작동하지 못 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실행 중심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사비 50억 원 미만의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제도의 도입 이후에도 여전히 평가가 형식에 그치는 현상과 그 배경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관련 문헌 분석, 현장 실무자 및 전문가 인터뷰, 국내외 사례 비교 등을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율적인 안전관리 체계의 미비, 인 력 및 자원 부족, 그리고 제도에 대한 낮은 이해도가 실효성 저하의 주요 원 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 영국, 독일, 호주 등에서 운영 중인 제도를 검 토하여, 평가 절차 간소화, 맞춤형 교육 강화, 디지털 평가 도구 활용 등 다 양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소방 설비 및 시공 공정과 같이 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도 분석 범위에 포함하였다. 화재, 질식, 감전 등의 사고 사례를 검토하 여, 고위험 작업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방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연구 결과는 소규모 건설사업장에서 제도가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실 제 산업재해 예방 수단으로 작동하기 위한 조건을 제안하며, 정책 수립 및 제도 운영의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systems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in South Korea. Although the risk assessment system has been legally enforced since 2013 under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ts implementation often remains superficial, especially in worksites with limited resources and safety infrastructure.
Focusing on construction projects with budgets under KRW 5 billion, the study examines the challenges hindering effective risk assessments, including the lack of safety personnel, financial constraints, limited training, and the low applicability of existing guidelines. Through a qualitative methodology that includes document analysis, stakeholder interviews, and comparative case studies,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structural and operational barriers that reduce the system’s impact.
Additionally, the study includes high-risk processes such as fire protection work, which are frequently excluded from standard evaluations. Real-world incidents involving fire, electrocution, and asphyxiation were reviewed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specialized evaluation procedures for such tasks.
The findings are further contextualized by analyzing risk assessment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Australia. From this, the study suggests realistic and field-adaptable recommendations such as simplifying procedures, increasing government support, strengthen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developing digital tools. These measures are intended to transition risk assessments from a regulatory formality into a practical and proactive mechanism for accident prevention in small-scale construction environments.
Author(s)
이병훈
Issued Date
2025
Awarded Date
2025-08
Type
Thesis
Keyword
위험성평가소규모 건설현장소방공정실행력 강화산업재해 예방국제 비교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10
Affiliation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사회안전학과
Advisor
박기수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안전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