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학습공동체가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학습공동체와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
Abstract
Recent years have seen growing interest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through learning commun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The study explores four sub-factors of learning communities—shared vision, community environment, collaborative learning, and support for holistic development—and their influence on three sub-dimensions of teache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skills, self-understanding, and ecological development. A total of twelve hypotheses were tested.
This quantitative study targeted 30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cross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learning communitie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were recognized at a high level by participants.
Second,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sub-variabl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size, and teaching experienc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verall, teachers’ years of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ptions of self-understanding. This aligns with Katz's (1972) theory of teacher development, which suggests that teachers in the “consolidation–renewal” stage exhibit deeper educational reflection and self-awareness. Accordingly, fostering a culture that supports teachers with 5~10 years of experience is crucial to advancing their professional growth and role as key contributors to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ird, among the twelve hypotheses tested, the sub-variables shared vision, collaborative learning, and support for holistic development significantly impacted perceptions of professional growth. In contrast,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learning community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This indicates that emotional and collaborative dimensions, rather than structural aspects, play a pivotal role in enhancing professionalism. It also implies the need to activate discussion and learning topics that tap into teachers’ tacit knowledge.
In conclusion, operating learning communities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plays a vital cultural role in fostering teacher professionalism. It is essential to build a learning community culture that encourages early childhood teachers to voluntarily grow and accumulate knowledge and skills that, in turn, contribute to the health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uture studies are encouraged to explore the creation of such professional learning cultures more deeply.| 최근 교사의 전문성은 학습공동체를 통해 전문성 발달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학습공동체와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학습공동체의 하위변수는 비전 공유, 학습공동체 환경, 협력적 학습, 전인적 발달 지지이며, 교사 전문성의 하위변수는 지식과 기술의 발달, 자기 이해 발달, 생태적 발달이다. 즉, 학습공동체의 하위변수가 교사의 전문성 하위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고, 검증 대상의 연구가설은 총 12개이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로서 연구범위는 서울시 관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유아 교사이고, 참여한 대상은 304명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학습공동체와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평균 분석한 결과 높은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기관 유형, 기관 규모, 교사 경력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을 인식하는 하위변수 간의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나타난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사의 경력이 하위변인인 자기 이해 발달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Katz(1972)의 교사 발달 단계이론에서 제시한 ‘강화단계-갱신단계’ 시기의 교사들이 교육적 성찰 및 자기 인식이 심화된다는 이론과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교사 경력이 5~10년 시기에 있는 교사들이 영유아 교육 현장에서 직업적․교육적 전문성을 성장시키고 영유아들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인적 자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가 중요하다.
세 번째, 12개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학습공동체의 하위 변수인 비전 공유, 협력적 학습, 전인적 발달 지지는 교사의 전문성 발달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공동체의 환경은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유의미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물리적 환경은 교사의 전문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협력적이고 정서적인 변수인 비전 공유, 협력적 학습, 전인적 발달 지지가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암묵지가 될 수 있는 주제 또는 학습토론의 활성화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영유아 교육기관의 학습공동체 운영은 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아주 중요한 문화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유아 교사들이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스스로 성장하며 지식을 축적시켜 결국 학습된 지식 및 기술이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공동체 문화 조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향후 학습공동체와 교사의 전문성과 관련된 문화조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기대한다.
Author(s)
정혜연
Issued Date
2025
Awarded Date
2025-08
Type
Thesis
Keyword
학습공동체교사의 전문성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03
Affiliation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Advisor
김현주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유아교육전공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