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무요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프리젠티즘(Presenteeism)의 매개효과와 직무착근도의 조절효과 검증
Abstract
헤어미용 산업은 예약제 중심의 밀착형 서비스 구조와 반복적 신체 노동 으로 인해 높은 직무요구와 이직률을 동반하는 산업이다. 특히 건강 문제나 피로에도 불구하고 업무를 지속하는 프리젠티즘은 장기적으로 이직의도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적 문제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 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프리젠티즘의 매개효 과와 직무착근도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미용업 종사자의 프리젠티즘 감소 및 직무착근도를 통한 조직 내 잔류를 유도하며, 직업적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실질적 인사 전략을 제시하며, 헤어미용 산업 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12월 15일부터 2025년 2월 20일까지 서울 및 수도권 에 근무 중인 헤어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총 525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고, 이중 516부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 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 및 조절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접효과 분석 결과, 직무요구는 프리젠티즘과 이직의도에 모두 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리젠티즘 역시 이직의도에 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프리젠티즘은 직무요구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부 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직무착근도는 직무요구와 프리젠티즘의 관계, 그리고 프리젠티즘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모두 조절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무요구 중 ‘업무압박이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1을 제외한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 다. 업무압박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이는 차이 분석 결과, 30대 및 월평균 소득 300만~500만 원 미만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종사자가 업무 압박을 크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 평균 8시간 이 상 근무자가 89.1%에 이른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단순한 업무량보다는 역할 의 불명확성과 갈등이 이직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문제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헤어미용업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현장 상황과 고객의 니 즈에 따라, 정해진 매뉴얼이나 교육받은 내용이 실제 서비스 과정에서 다르 게 적용되는 사례가 많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하는 역 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 적으로 도출한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역할 명확화와 유연 한 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둘째, 본 연구는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무요구가 프리젠티즘을 유발하고, 이는 다시 이직의도로 이어지는 구조적 경로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데에 의 의가 있다. 특히 헤어미용 산업은 예약제 기반의 고객 밀착형 서비스를 특 징으로 하며, 이러한 직무 환경에서 발생하는 프리젠티즘을 단순히 개인의 성실성 문제로 보기보다, 조직 차원의 구조적 문제로 인식하고 접근해야 함 을 제시한 데에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건강 문제 발생 시에도 시술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탄력 근무제 운영’, 결근 상황에서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 알림’,‘대체 시술자 안내’의 후속 조치와 같은 표준화 된 고객 응대 매뉴얼, 그리고 휴식 중인 종사자의 온라인 노출에 대한 커뮤 니케이션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함으로써, 프리젠티즘 관 리에 대한 조직의 전략적 역할을 확장한 데에도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직무착근도가 직무요구와 프리젠티즘, 그리고 프리젠티즘 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조절 변수로 작용함을 실증적으로 제 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헤어미용 종사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 단순 히 외적 요인을 제거하기보다, 직무에 대한 적합성과 희생에 대한 인식이 조직 내에서 보상으로 여겨질 때 종사자의 잔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종사자가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과 소속감을 체감할 수 있는 경력 개발 체계와 유연한 운영 모델 구축의 필요성을 뒷받 침하며, 헤어미용 산업의 이직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Author(s)
김수경
Issued Date
2025
Awarded Date
2025-08
Type
Thesis
Keyword
헤어미용 종사자직무요구프리젠티즘직무착근도이직의도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399
Affiliation
한성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디어디자인학과
Advisor
권오혁
Degree
Doctor
Publisher
한성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미디어디자인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