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컬러 디자인의 배색 계획
- Abstract
- 헤어디자인의 요소가운데 조형요소 중의 하나인 색채는 인간에게 있어서 생리적·심리적 영향을 준다. 인간이 사물을 보았을 때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강하게 반응하는 형태와 부피에 대한 인식의 문제로서, 감성적 요구가 반영된 색채는 디자인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새로움을 주기 위한 이미지 전략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모든 색상은 나름대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멋있는 색상이라 함은 그 색상이 표현하는 이미지가 상황에 잘 어울린다는 이야기로서, 특히 색상이 2가지 이상이 배색되면 그 이미지의 성격을 더욱 풍부하게 표현 할 수 있다. 색상을 이미지로 환원하여 생각해보면 이미지에 대한 칼라계획의 구체적인 방법이 좀 더 명확해 질 수 있다. 이미지는 주로 시각적인 상(像)을 말하는데 시각적 인상 중 가장 강한 것이 색이므로 이미지 표현에 있어 칼라 계획은 중요하다.
디자이너의 색채 배색 감각은 훈련에 의한 더욱 발전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편리하게 응용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헤어 컬러 디자인을 위해 색채 기획을 기본적인 색채학의 이론적인 틀에서 고찰하여, 소비자 경향과 유행 트랜드의 분석과 함께 컴퓨터에 의해 헤어컬러 디자인에 적용시키므로 써, 헤어컬러 디자인에 적합한 배색 디자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이론적 틀은 색을 표시하는 법과 배색의 기본, 그리고 색상이 가지는 감성과 연상에 의한 이미지를 살펴봄으로써 헤어컬러 디자인에 적합하게 구성하였다. 헤어컬러 색채 계획에 따른 배색 계획은 소비자 경향과 유행 트랜드를 분석하고, 이론적인 틀에서 고찰한 색채 이미지를 이해하고, 트랜드를 분석·정리하여 이미지로 편집하였다. 이를 통해 각 테마에 적합한 테마를 설정하고 칼라 스토리와 배색 계획을 설정하였다. 이를 포토샵 6.0에 의해 헤어컬러의 배색을 제시하였다. 작품의 구성은 컴퓨터에 의해 편집한 이미지 3점과 각 이미지 테마에 배색 전개를 8점으로 하여 전부 24점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컬러 디자인을 위한 색채계획은 색채심리, 색채환경, 색채전달 계획, 헤어 디자인 적용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색채심리는 단색·배색 이미지도 파악하였으며, 색채 환경은 소비자의 경향과 유행 트랜드 정보로 이루어졌다. 색채 전달 계획은 색채의 팔레트 설정과 배색 방법을 결정하여 헤어컬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둘째, 2001/2002의 유행 헤어 컬러 트랜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Refinement', 'Fervor', 'Antiquated'로 각각의 테마를 설정하였다.
셋째, 배색의 이미지를 이미지 척도에 의해 파악하여 각 테마에 적용하였다.
넷째, 각 테마의 배색을 2001/2002 헤어컬러 유행에 적용하기 위해 헤어스타일을 선정한 후 포토샵으로 헤어컬러 배색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헤어컬러디자인의 배색을 전개할 때 면적과 헤어스타일 고려하여 전개하였다.|The color, one of the modeling facts of hair design, affects people's biologic and psychologic aspect.
It is considered importantly to be a design fact that works the strongest. Color that reflects an emotional request heightens value added and it is also regarded more greatly as strategy to show a fresh feeling.
All color has its own image.
Good color means that the image of the color has a nice look around the circumstance.
Especially color which is mixed more than 2 color can express the character of the color more richily.
If we change color into an image, the definite method of the color plan can be more clear.
Image is mostly a visual figure and the strongest visual figure is color. Therefore, color plan is important for an image-expression. Color coordination sensation of designers redeveloped by training and could be applied by compu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lor planning for apparel hair color design and to present the apt coordination based on color chromatics.
In this study, the backgrounds of study are how to indicate color, coordinate and sensibility and association of colors. After looking around these basis, the study was organized investigating color coordination on clothing design The color planning was made up by color transmission scheme, and application of hair color design. Through this planning, this study present color coordination of Photoshop 6.0, 3 works of computer image edit and 8 pieces of color coordination for each of t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lor planning for apparel hair color design was constructed of color environment analysis, color psychology analysis, color transmission scheme and application of hair color design. Color environment consisted of forecast and consumer information and then color psychology was revealed by color and coordination images. Coordination method was determined by color transmission scheme step and finally the colors were combined with design elements in the application of hair color design step.
2. Forecast information for 2001/2002 was collected through fashion forecasted books. Each of themes was 'Refinement' , 'Fervor' and 'Antiquated'.
3. Color coordination were comprehended by image scale and also applied on each theme.
4. To apply the color coordination to the 2001/2002 women's hair color, pictures of hair style were selected and finally, they were presented through Photoshop 6.0
5. Color coordination of apparel design was presented by focusing on scale and hair style.
In this study, to apply color image on apparel hair color design, computer simulation which gave limitation of study range was used. Therefore, in the future study, surveying, analysing and valuation of the comsumer's reaction on the colors are needed and also the consumer's age and the preference color by their physique and seasons are needed to be studied before the planning color. In addition, I hope there will be the statistical and computerized systems for development of dying skill.
- Author(s)
- 송은
- Issued Date
- 2002
- Type
- Thesis
- Keyword
- 헤어컬러디자인; 배색; 분장예술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159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