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헤어커트를 중심으로
- Abstract
-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노력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부단하게 이어져 온 인간의 본능적 행위라고 할 수 있으며, 의상·화장·헤어미용 등은 그와 같은 인간의 미적 본능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원초적 표현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미용에서 헤어디자인은 패션과 함께 한시대의 생활과 문화적 양식, 예술적 양식을 반영하는 문화적 산물이며, 특히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의상·화장·액세서리 등과의 조화를 고려하는 토털 패션 차원에서 고려되어지고 있다.
헤어스타일은 인체의 가장 가시적인 부분이므로, 헤어디자인의 변화에 따라 사람의 이미지가 개선되거나 본래의 이미지가 감소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얼굴형태의 특징에 따라 각각 다른 헤어디자인 기법을 적용하여 헤어미용의 실무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본 틀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은 개화기 이후 서양문물이 도입되면서 시작된 현대 헤어미용의 다양한 기법들이 해외의 신기술과 유행을 반영하면서 변화되어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였지만, 이러한 실무적 차원에서의 성장에 비하여 그 기술력을 이론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학문적 차원에서의 기반이 다소 약하다는 인식에 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헤어디자인이란 얼굴형에 따라 각각 다른 커트 기법이 적용됐을 때 디자인으로서의 진정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가설 아래, 헤어커트에서도 다른 조형분야와 같이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에 근거한 설득력 있는 조형기법의 토대 마련의 필요성에 의하여 시도된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른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얼굴형태의 특징이 다른 실제 모델에게 일반디자인 요소와 원리를 각각 다르게 적용한 디자인 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제작하여 이를 사진으로 제시하였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구를 위하여 바우하우스의 조형 원리를 헤어디자인 실무에 응용한 영국 비달사순의 헤어커트 기법, 그리고 복식디자인의 조형원리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이를 작품제작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 커트 디자인에서 얼굴의 형태적 조건에 빠른 선의 활용은 시술전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중요한 요소이었다.
둘째, 얼굴형태의 특성에 근거한 디자인 요소와 원리의 활용은 시술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시술자의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셋째, 헤어커트디자인에서 도식화는 다양한 디자인 전개는 물론,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형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피 시술자가 디자인에 대한 호오(好惡)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거두게 하였다.
넷째,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하여 제시된 얼굴전체의 이미지 제시는 시술후의 모습까지도 예견케 함으로써, 시술후 야기될 수도 있는 분쟁의 소지를 불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한계점은 패션을 비롯한 다른 조형분야처럼 헤어디자인, 특히 커트를 중점적으로 다룬 선행연구가 극히 부족하였다는 점과, 미에 대한 가치 척도가 개개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평가 또한 시술자와 피 시술자가 아닌 제 3자의 시각에서는 다를 수 있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제시된 작품의 객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미지 측정 조사가 후속연구로 이루어진다면 헤어커트 디자인 기법의 토대마련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 질 것으로 사료된다.|The instinct of pursuing beauty has been widely spread all over the world for a long time, and some of the primitive expressions to satisfy the instincts of pursuing beauty have been the style of dresses, cosmetics, and hair beauty, etc.
Among various beauty cultures, hair design has also been one of cultural products, which reflect the living cultural and art style of an age, and is now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total fashion, harmonizing it with dresses, cosmetics, and accessories, etc. Because hairstyle is the most visible part on a human body, changes in hairstyle can damage or improve one's own original impress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ly different hair design technique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face shapes, and to prepare a basic frame which can be applied to practical hair design businesses. This purpose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theoretical, systemic and academic background of hair design is unstable compared to the growth of practical hair design husinesscs, though there have been brilliant technical developments reflecting new foreign technologies and fashions after having introduced western cultures.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real value of hair designs are revealed only when a different cutting technique is applied for each face shape, this research was done to prepare persuasive modeling techniques based on design factors and principles such as in other modeling fields.
For successive research, several works and their pictures were made after differently applying general design factors and principles to real modes whose face featur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research,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hair cut techniques of Vidal Sassoon, which applied the modeling principle of Bauhaus to practical hair design businesses, and the modeling principle of dress style were examined and used in producing work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Firstly, practically using the lines of face shapes were effective for setting lay out before each operation. Secondly, practically using the design factors and principles based on the features of face shapes made each operation easy and increased the creativity of operators. Thirdly, the schematization of hair design made it possible to apply various designs and to change designs in a short frame. This increased communications between operators and clients by them expressing satisfaction about each design. Fourthly, the presentation of expected face images using illustration made it possible to predict the shape after each operation, and diminished possible conflicts after each operation.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as that there had been few prior researches in this field different from other modeling fields such as fashion etc., and the barometer of beauty can be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of a third party, operators or clients.
Therefore, if there is a subsequent research about measuring images which can provide objectivity to the presented works, it will be more easily done to prepare basis for hair cut design techniques.
- Author(s)
- 河京延
- Issued Date
- 2002
- Type
- Thesis
- Keyword
- 헤어디자인; 조형성; 분장예술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155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