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입술화장(化粧)문화에 관한 通時的 고찰
- Abstract
- 우리의 언어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모르는 것처럼 인간의 미의식의 원류는 인간이 존재하기 시작한 시기부터 행해졌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미지의 형성은 사회의 흐름이나 정서의 변동, 문화적 과정에 의해 이루어 진다고 볼 수 있다.
화장은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미적 가치를 갖지만, 학문적으로는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가치체계를 함께 고려함으로서 그에 반영된 정신적 기반과 미의식을 유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화장의 변천과정을 문화적인 관점으로 보면 그 시대상을 반영하는 가장 좋은 도구일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미인의 조건 중 삼홍(三紅)이라 하여 볼과 입술 및 손톱이 붉어야 했기 때문에 일찍부터 연지 바르는 풍습이 있었다.
화장을 화류계의 여자나 하며 야한 화장은 정숙한 여자가 할 짓이 못 된다는 전통적인 관념에 지배당했던 옛 여인네들도 입술연지만은 애용했다고 한다. 그것은 입술색이 푸른 여자는 음녀라는 이유에서 였다. 본래 연지는 볼이나 이마에 칠한 것이지 현재의 립스틱처럼 입술에 칠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입술이 창백하면 시집을 못 간다는 관념 때문에 옛 처녀들은 은밀히 연지를 구해 입술에 칠하는 습속이 퍼지게 되었다. 특히 연지의 붉은색은 잡귀가 꺼린다고 하여 소녀들의 이마와 입술, 뺨에 널리 이용되기도 했다.
멋을 의식하기 시작할 때 소녀들에게 가장 처음으로 사용하는 화장품이 립스틱이다. 나이가 들면 화운데이션이나 아이섀도우를 주로 쓰던 여성이 더 늙게되어 마지막까지도 사용하는 화장품 역시 립스틱이다. 그러므로 립스틱은 여성에게 있어서 가장 최초로 그리고 가장 최후까지 사용되는 대표적인 화장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화장문화 중에서도 가장 역사가 깊고 널리 사용되는 입술화장에 국한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그리고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입술화장의 역사와 변천과정을 고찰하고 나아가 적절한 입술 화장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입술화장문화의 변화를 시대별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입술화장의 정확한 이해와 다양화된 입술화장품을 정리하고 올바른 입술화장법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입술화장의 통시적 고찰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입술화장의 시작은 고대문헌과 유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였으며 이 시기에는 구체적인 입술화장의 방법은 알 수 없지만 붉은 연지를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 그 이후 각 시대별로 미인의 기준이 있어 그에 따른 입술화장의 형태와 색상에 변화가 있었다. 또한 여염집 여성들의 엷은 화장과 기생중심의 분대화장으로 보아 화장에 있어서 신분별로 이원화 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화기 이후 수입의 개방화로 많은 화장품과 화장법이 제시되었다. 근대에는 다양한 색상과 입술형태의 변화가 두드러졌으며 최근에는 특별한 색상과 입술형태가 중요시되기 보다는 자신의 본래 입술에서 단점은 수정하고 장점을 부각시키는 개개인의 개성에 맞게 화장하는 경향이 짙어 졌다.
현재에는 미(美)에 대한 관심이 급속하게 증대되고 화장품의 대량생산과 다양한 수입브랜드의 유입으로 입술화장에 관련된 제품들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제품의 형태도 다양하고 세분화되어 정확한 정보와 활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겠다. 앞으로 세분화된 입술화장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자기자신의 개성연출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It can be said that the original stream of aesthetic sense of human beings was performed from the time when they started to exist, as we don't know when our language started. It can be said that the formation of the image is made by the flow of society, or the change of emotion, and the cultural course.
Makeup has the aesthetic value to be seen visually, but it considers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value system of the period academically together.
So,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analogizes the mental base and aesthetic sense reflected to it Thus, to see the change course of makeup from cultural viewpoint, it may be the best tool to reflect the phases of the times.
In our country, cheek, lips, and nail should be red which is referred to as three red. So, there was the customs to apply rouge from early on.
It is said that old women who were ruled by the traditional idea that only the women at gay quarters make up and the women of virtue may not make up used lip rouge habitually. It was for the reason that the women whose lip color is blue are lewd women. Originally, rouge is what was applied to cheek or forehead, but it was not what was applied to lips like present lipstick. But, because of the idea that women may not marry, if their lips are pale, the manners and customs that old virgins sought rouge secretly and applied it to their lips came to spread.
Especially, the red of rouge was used widely for the forehead, lips, and cheek of virgins, as minor demons dislike it.
When they start to be conscious of dandyism, cosmetic that they use for the first time is lipstick. Cosmetic that women who used foundation or eyeshadow mainly use to the last with advancing years is lipstick also. Therefore, lipstick may be referred to the representative cosmetic to be used for the first time and to the last in women.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handled the lip makeup of which the history is longest and which is used widely preponderantly. And, this researcher tries to study the history and change course of lip makeup from ancient times to present and present the proper method of lip makeup.
This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nge of culture of lip makeup, arranged the exact understanding of lip makeup and the diversified lip cosmetic, and presented the right makeup method of lips.
To summarize the findings on the common study of Korean lip makeup is as follows:
The start of lip makeup was made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judging from ancient literatures and relics. And, we can see that red rouge was used in this period, though we may not know the concrete method of lip make-up. After that, as there was the standard of a beauty by each period, there was the change on the form and color of lip makeup to be based on it. In addition, judging from the thin makeup of middle-class home women and the makeup centering around kisaeng, it could be seen that makeup was dualized by social positions.
Because of the opening tendency of import after the flowering time, many cosmetics and makeup methods were presented. In modem times, the change of diverse colors and lip forms was conspicuous. And, recently, tendency to make-up suitably for the individuality of each individual which corrects the demerits of their own original lips and emboss merits than takes serious view of speical colors and lip forms became thick.
Now, interest about beauty is increasing rapidly, and the products related to lip makeup are appearing in heaps by the mass production of cosmetics and the inflow of diverse import brands. As the forms are products are diverse and subdivided,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exact information and application method. In the future, the activation of study on subdivided lip makeup will have to be applied to one's own individuality representation effectively .
- Author(s)
- 申世榮
- Issued Date
- 2003
- Type
- Thesis
- Keyword
- 한국; 입술화장; 문화; 분장예술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132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