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 美容師 免許制度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Abstract
- 본 연구는 미용사면허제도가 국가적인 차원의 인적자인개발 문제라는 인식하에 현행 한국 미용사면허제도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로 미용사면허권자를 보건복지부장관으로 개정해야 한다. 현행법은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가 미용사면허를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시·도지사의 권한이 미용사업무와의 밀접성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는 제도이다. 따라서 미용사에 관한 제도와 미용업의 영업을 관장하는 보건복지부장관을 면허권자로 하여야 한다.
둘째로 면허체계를 정비해서 면허시험을 거쳐 면허를 취득하게 하는 일원화방안을 채택해야 한다. 현행법에서의 면허요건은 일정한 학업과정을 이수한 자들과 미용사국가기술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들에게 면허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중 국가기술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국가기술자격증을 교부받은 자에게 다시 면허를 부여해야 하는 이중적인 체계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불합리를 정비하여 일원화하는 방법으로 제시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국가기술자격의 취득을 면허요건에서 삭제하고 미용사면허제도로 일원화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라 하겠다.
셋째로 무시험 면허부여 제도를 폐지하여야 한다. 현행법은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에서 미용에 관한 학과를 졸업하거나 고등기술학교에서 1년 이상 미용에 관한 과정을 이수한 자들에게 무시험으로 면허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서로 다른 수준의 학업성과를 동등하게 취급하는 부당한 결과가 된다는 점, 그리고 다른 면허제도와의 형평성에서 현저한 불공정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폐지되어야 마땅하다.
넷째로 미용사면허시험은 미용사 업무를 관장하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시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험관리업무는 의료인등의 면허제도와 마찬가지로 비영리법인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 위탁하여 시행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섯째로 미용사면허시험 응시요건을 일정한 수준의 교육을 이수한 자로 하여야 한다. 현행법중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시험의 경우 국가기술자격 법의 규정에 의거 응시요건을 따로 정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선진제국의 미용사면허 시험제도는 한결같이 일정한 기간의 미용교육과정을 이수한 자에게만 응시의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미용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되는 일정한 교육을 이수한 자들만이 미용사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여섯째로 피부미용사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 현행법은 미용사 면허를 취득한 자만이 피부미용 업무에 종사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이는 피부미용업무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합리적이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 업계의 실상을 살펴볼 때 반드시 피부미용사를 독립하여 제도화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로 독립된 미용사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미용사제도와 미용업의 영업에 관한 법이 공중위생관리법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크게 모순이 아닐 수 없다. 미용사면허제도와 미용업의 특수성에 부합하는 독립된 미용사법을 조속히 입법하여야 한다.
1961년 '이용사및미용사법'으로 미용사면허제도를 입법화한 이래 40여년간 미용사면허제도는 다소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모순되는 제도를 근본적으로 바로잡는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한국의 미용 수준이 선진제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미용사면허의 공신력은 높이고 그 제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만으로 위에 제시한 개선안들이 입법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problems with the current cosmetologist licensing system in Korea under the perception that the system is crucial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n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study's results, I suggest comprehensive ways to improve the system as follows:
First, a person who issues cosmetologist licenses should be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The current system, which stipulates that mayors or governors of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or provinces issue the licenses, is hardly considered legitimate in that their competence has little relevance to cosmetologist's job. Therefore, the issuer should be revised to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is responsible for institutions related to cosmetologists and hairdressing business.
Secondly, the system should be changed to a unified system under which all would-be cosmetologists obtain licenses through a licensing exam. The existing system, which prescribes that those who completed a specified course of study or acquired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s are entitled to licenses, raises a problem of a double standard since it requires those who obtained the certificates to apply for the license. Of many ways proposed to fix this problem, it will be most reasonable to eliminate the national certificate from the requirements for license, unifying the system as a cosmetologist license system.
Thirdly, the ”acquisition of license without an exam” provision should be abolished. Under the current system, those who completed a hairdressing-related course of study at high schools (high school graduates) or higher technical schools (those who finished the one-year or longer curriculum) are entitled to a license without an exam. This system should be abolished because it treats different levels of academic performance equally and is quite unfair in terms of equity with other licensing systems.
Fourth, the cosmetologist license exams should be administered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deals with hairdressing affairs. However, if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with administering the exams, it is worth considering ways of entrusting the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of Korea with doing it.
Fifth, application qualifications for cosmetologist license exams should be limited to those who complet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he current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requires no particular application qualifications as prescribed i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Yet, cosmetologist licensing systems in advanced countries qualify only those who finished a certain period of course of study on hairdressing to apply for the cosmetologist license exams. That is because hairdressing needs requires specialized techniques. Thus, we should limit application qualification for the exam to only those who finish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Sixthly, we should introduce a esthetician license system. Under the current system, only licensed cosmetologists can engage in skin-care business. It is irrational in light of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Moreover, give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kin-care business community, esthetician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s an independent occupation.
Lastly, separate legislation concerning cosmetologists should be enacted. It is unreasonable that the law regarding cosmetologists and the hairdressing business is included in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A separate law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system and the particularity of the business should be enacted as soon as possible.
Since 1961 when the Barbering and Cosmetology Act was enacted, the licensing system has not changed a lot with the exception of several amendments, failing to radically rectify irrational provision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Korea’s hairdressing is now as advanced as that of developed countries, the above mentioned proposal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policy as ways to enhance public confidence in the cosmetologist licens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icensing system.
- Author(s)
- 徐喜媛 .
- Issued Date
- 2003
- Type
- Thesis
- Keyword
- 미용사면허제도; 미용사 면허종목;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119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