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틴(Preteen) 세대의 화장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Abstract
- 본 연구는 프리던 세대의 사회 심리적 특성, 외모에 관한 태도, 화장에 대한 태도, 화장품 구매행동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은 조사 연구 방법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질문지는 사회 심리적 특성 4문항, 외모에 대한 태도5문항, 화장에 대한 태도 8문항, 화장품 구매 행동 6문항, 인구통계적 변인 3문항 총 26문항이었다.
피험자는 서울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4, 5, 6 학년 여자 어린이 458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백분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F검증, Duncan의 사후 검증,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1. 프리틴 세대의 화장 관심도는 보통정도이고, 대개 호기심에 화장을 한다고 하였으며, 화장은 립그로스만 바르거나 파우더와 립글로스에 눈화장하는것으로 나타났다. 화장빈도는 1년에 1번 또는 1주일에 1~2번 하는 경우가 많았고, 학교행사 등 대외활동이 있을 때 화장을 하였다. 자신의 화장 능력에 대하여는 잘 못한다고 평가하였으며, 자신의 화장에 대하여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았으며, 또래 아이들이 화장을 하는 것에 대하여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았다.
2. 프리틴 세대의 화장품 구입장소는 전문 화장품가게와 백화점이 많았으며, 사용 화장품 브랜드는 미샤가 가장 많았다. 화장품 선택 이유는 품질, 색상이었고, 자신의 화장품에 대하여 약간 만족하였으며, 화장품 구매시 동행자는 부모넘과 친구가 많았다.
3. 학년에 따라 화장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적인 차이와 관계를 보인 것은 화장만족도와 화장품 선택 이유였다. 화장 만족도는 4, 5학년이 6학년보다 자신의 화장에 대하여 만족하는 정도가 높았으며, 화장품 선택 이유는 4학년이 다른 학년보다 색상이 많았으며, 5학년은 향이 많았고, 6학년은 가격이 많았다.
4. 6학년은 4학년보다 전문 화장품 가게에서 화장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다.|This study surveyed pre-teen generation's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make-up and behavior of purchase of cosmetics. For the survey, a method of questionnaire was us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questions for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5 for appearance, 8 for attitude toward make-up and 6 for cosmetic purchase behavior and 3 for demographic factors.
458 girl students among 4, 5 and 6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on a random basis.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F-test, Duncan's post test and crosstab analysis were also applied.
1. The level of interest of pre-teen generations was found normal. They said they put on make-up out of curiosity just enough to apply lip gross, powder or eye shadow. Frequency of make-up was once a year or once or twice a week especially in school occasions. They rated their skills to make up fairly low and were neither satisfied nor unsatisfied with their make-up skills. They showed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toward their peers putting up make-up.2. The most popular destinations for buying cosmetics were dedicated cosmetics shops and department stores. The most popular brand was Missha. They put quality and color as the two most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choosing cosmetics and were found a little bit satisfied with their selection. Parents and friends were the most popular company they keep when they go and buy cosmetics.
3. The only area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make-up was satisfaction with make-up and reasons to choose cosmetics. 6th grad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make-up than4th and 5th graders. 4th graders put colors as the prime reason in selecting cosmetics while 5th graders put scent and 6th put price.
4.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behavior and grades, the places to buy cosmetics only showed significance. 4th graders preferred department stores while 5th and 6th graders preferred dedicated cosmetics shops.
- Author(s)
- 이지연
- Issued Date
- 2006
- Awarded Date
- 2006-08
- Type
- Thesis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103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