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雜誌의 저널리즘的 特性에 관한 硏究
- Alternative Title
- <月刊 멋>의 內容分析을 中心으로
- Abstract
- 패션문화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매체인 패션잡지는 소비자들의 트렌드 분석과 실제 구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패션잡지는 패션에 관한 시기적절한 보도와 논평을 수행하며, 대중의 패션 신뢰도를 높이는 패션저널리즘의 대표적인 매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패션의 중심이 젊은 층에 맞추어지고 있는 추세로 인해 패션잡지에 대한 관심과 정보원으로서의 이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992년 10월 엘르 한국판이 창간된 이래 여러 패션잡지가 발간되면서, 패션잡지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광고나 소비자 구매 행동 등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며 패션 매체에 대한 저널리즘적 분석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렇게 볼 때 84년부터 93년까지 발행된 잡지 <월간 멋>은 국내 패션계의 대표적인 연구 모델이 될 수 있다. <월간 멋>은 국내 패션잡지의 선두주자로서 10년에 걸쳐 시대의 유행을 알려줌과 동시에 패션 산업과 패션 문화가 변화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월간 멋>에 대한 연구는 한국 패션 저널리즘 연구의 맥을 이어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패션 문화의 파악과 미래 패션 문화의 올바른 방향 제시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월간 멋>의 내용 분석 및 특성 연구를 시도했다. <월간 및 >의 내용 분석을 통해 80년대에서 90년대에 이르는 기간 동안 저널리즘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패션잡지의 제작 경향과 전문 잡지로서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월간 멋> 84년 5월호부터 93년 3월호까지 총 107권의 내용 분석을 했다. 전체 지면 중 기사와 광고 페이지를 나누어 기사와 광고의 증감과 시대별 추이를 분석했고, 기사를 패션기사와 패션외기사로 나누어 그 비중과 시대별 추이를 분석했다. 또 패션기사를 패션화보와 패션피처 기사로 나누고 각각 6개, 5개 유목으로 분류해 패션 저널리즘적인 측면에서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월간 멋> 전체에 대한 기사와 광고 비율은 각각 77%와 23%로 나타났다. 창간호에 광고가 19.5% 게재되었고, 마지막호는 광고 비중이 30.9%로 증가했으나 총 평균 23%로 다른 여성잡지의 광고 지면 및 비중과 비교하면 저조한 편이다. 국내 패션시장의 규모나 광고시장의 규모 확대와 비교하면 오히려 둔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월간 및> 기사를 패션기사와 패션외기사로 나누어 각각의 비중을 분석해 평균을 낸 결과 패션기사가 52.3%, 패션외기사가 47.7%를 차지했다. 이것으로 미루어볼 때 <월간 멋>은 전체 페이지의 과반수 이상이 패션에 관한 기사로 편집된 전문지 성격을 지닌 패션잡지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3) <월간 멋> 패션기사를 패션화보와 패션피처로 나누고 다시 유목별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패션화보와 패션피처의 비율은 각각 47.1%와 52.9%로 패션피처 기사가 더 많이 게재되었으며 패션피처 중에서는 보도와 해설, 논평, 인터뷰 기사가 매달 거의 빠짐없이 골고루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4) <월간 멋>의 패션기사를 분석하고 같은 시기 발행되던 라이선스 패션잡지와 비교한 결과 <월간 멋>에는 패션피처 기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 해설, 논평, 인터뷰 등의 패션피처 기사량이 많았던 <월간 멋>은 패션 문화 저변에 대한 집중적이고도 심도 있는 분석으로 대중의 의생활 문화에 바람직한 비전을 제시한 순수 국내 패션잡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패션잡지의 저널리즘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월간 및>의 문헌자료만 분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었다. 더구나 패션잡지에 대 한 연구가 초기 단계인 실정에서 문헌자료의 분량이나 내용 역시 풍부하지 못했다. 또한 이미 93년에 무기 휴간한 후 10년이 지난 2002년 현재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당시의 편집 체계나 방향 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정확한 자료나 사람이 없었다는 것도 큰 문제점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패션잡지에 대한 학계의 새로운 관심과 후속 연구를 촉진시켜 한국 패션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As a critical media leading in our fashion culture, fashion magazine has considerable effects on trend analysis and actual purchase of consumers. Fashion magazine provides us with timely reports and comments on fashion. It also represents a media of fashion journalism for enhancing the public reliability in fashion.
Whether domestic or foreign, fashion trends have focused on youth so that there have been more interest in fashion magazine along with more availability as an information source. Since a Korean version of was published in 1992, a variety of fashion magazines have come out and there have been a series of full-scale studies on existing fashion magazines.
However, those studies mainly focused on commercials or consumer's purchase behavior, while journalistic analysis and study have been insufficient for fashion media. By considering these points, a monthly magazine which was published from 1984 to 1993 can be addressed as a representative study model in domestic fashion world.
pioneered domestic fashion magazine. It showed the periodic trend throughout the first generation, while revealing changing fashion industry and culture.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on is prerequisite for consistent follow-up study on Korean fashion journalism.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analyze the contents of and examine it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first level for identifying domestic fashion culture and indicating its reasonable direct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production trends as fashion magazine and the characteristics as specialized magazine, focusing on the journalistic aspect during two decades ranging from 1980's to 1990'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otal 107 volumes published from May 1984 to March 1993 were analyzed. Total sheet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such as article and commercial so as to analyze the variation of their volume and the periodic trends. Again, total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fashion article and non-fashion article so as to analyze their weight and periodic trend.
In addition, fashion articles were also classified into fashion pictures(6 types) and feature article(5 types) so as to find out which characteristics those articles had in the level of fashion journalis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shown that the ratio of article and commercial in total contents of was 77% and 23% respectively. In the 1st issue, commercial amounted to 19.5% of total contents, while commercial increased to 30.9% of total contents in the last issue. Total average of commercial reached 26% throughout all issues. However, these values were relatively lower than commercial paper and its weight in another woman's magazine. And comparing with the expansion trends of domestic fashion market size or commercial market size, these results rather indicated slower trend.
(2) The articles of were categorized into fashion and non-fashion article. Then the weight of each article was analyzed and averaged. As a result, fashion article amounted to 52.3% of total articles, while non-fashion article to 47.7%.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was a fashion magazine featuring specialized magazine with majority of total pages consisting of fashion articles.
(3) Total fashion articles of were categorized into fashion picture and feature, which were again divided into certain types for follow-up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ashion picture and feature amounted to 47.1% and 52.9% respectively, i.e. the articles of fashion feature were more carried in each issue. It was also found that articles related to report, commentary, review and interview were always equally carried in each issue.
(4) As a result of analyzing fashion articles of and comparing them with those in other licensed fashion magazines, it was found that contained more fashion feature articles than other magazines. It is noted that was pure domestic fashion magazine that presented reasonable vision in public clothing culture along with intensive and deep analysis on the lowest stratum of fashion culture.
However, this study had a limitation that it focused only on literatures and other references about to clarify the journalistic characteristics of fashion magazine. Moreover, the study on fashion magazine remained in the elementary level so that sufficient volume or content of literatures could not be expected.
This study focused on a magazine in 2002, which have not been issued any more since 1993. Therefore,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re was no exact data or personnel to identify former edition system or direction definitely.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facilitate new interest or attention about fashion magazines from academic fields along with follow-up studies and take the initiative to study on domestic fashion magazine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 Author(s)
- 申東璇
- Issued Date
- 2002
- Type
- Thesis
- Keyword
- 패션 잡지; 저널리즘; 월간 멋; 패션저널리즘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092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