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小企業의 敎育訓練과 成果에 關한 硏究
- Abstract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이 종업원의 동기부여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중소기업에서 교육․훈련을 통해 인적자원의 역량을 향상시킴으로서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고, 그 결과로서 매출액 증가와 종업원의 급여 인상 등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가 서로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진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에 관한 일반적인 고찰과 함께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을 둘러싼 교육․훈련 현황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수립하고, 그에 따라 교육․훈련 비용 및 교육․훈련 시간 등과 같은 질적, 양적인 투자가 기업의 성과 측면에서는 매출액 증가로 나타날 것인지, 그리고 종업원 개인적 측면으로는 성과보상으로서 급여 인상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관한 연관성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소기업의 교육․훈련 비용 및 시간에 대한 투자가 기업의 매출액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둘째, 중소기업의 교육․훈련 비용 및 시간에 대한 투자가 종업원 개인의 성과에는 영향을 끼침으로서 소폭이나마 급여가 인상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국, 중소기업의 조직 특성상 아직은 효율적인 교육․훈련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도 여전히 인적자원의 역량 개발을 위한 개선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기업의 규모 및 업종의 특수성 등과 같은 상황요인을 고려한 교육․훈련 체계의 구축을 통해 관행적인 교육․훈련의 답습에서 탈피하여 효율적인 교육․훈련 체계를 통한 역량 강화와 성과 창출이 이루어지도록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적절한 성과측정과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적자원관리 체계를 수립하여 나아갈 때, 기업의 경쟁력 역시 향상된다고 할 수 있겠다.|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that improvement of the capabilities of small & medium businesses' human resource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productivity and, further,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les and payroll increase as a result, by analyzing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ir motivation and performanc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ckground by studying employee education and training in general, as well as the current education and training status of small & medium Korean businesses. In so doing, this study further aimed to verify whether thei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vestment, including the cost and time invested in education and training, result in sales growth, and to determine what effect performance compensation has on their payroll increase, on the part of the individual employees.
An empirical study designed to verify such hypothese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nvestment in terms of cost and time by small & medium businesses in education and training fail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ales growth.
Second, small & medium businesse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ees' performance as their payroll increased to a limited extent.
In conclusion, we were able to ascertain that there remain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 capabilities of small & medium businesses' human resources on the assumption that Korea's small & medium businesses have not yet secured an effective system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view of their characteristic nature.
In particular, they should abandon their habitual adherence to conven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by developing a new system of education and training that takes into account their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heir size and unique type of business lines. In so doing, small & medium businesses should be able to strengthen their employees' capabilities and improve their performance by implementing an efficien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urthermore, they should be able to upgrade their competitive advantage if they develop a system of managing their human resources so that adequate compensation can be provided based on duly measured performances.
- Author(s)
- 박정배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08
- Type
- Thesis
- Keyword
- 중소기업; 교육훈련; 성과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019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