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時代 陵墓碑에 관한 硏究
- Alternative Title
- 京畿道 地方을 中心으로
- Abstract
- 朝鮮時代는 朱子性理學을 國是로 闡明하여 국가 운영의 理念으로 삼고, 支配層 계급인 士大夫들이 被支配層인 農·工·商을 다스리던 兩班官僚制 社會였다. 사대부들은 治葬禮에 있어 儒敎倫理의 根幹이 되는 孝廉을 바탕으로, 禮를 실천하는 의미에서 祖上들의 陵墓를 禮에 어긋나지 않게 일정한 형식에 맞춰 治葬하였다. 그 치장의 주요한 방법은 陵墓앞에 被葬者의 身分에 맞게 石物을 설치하는 것이었는데, 그중에서도 陵墓碑의 立石이 가장 祖上의 德을 밝히고 顯揚하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初期에는 주자성리학이 일부 先進的인 지식계층에 의해서만 理解되던 수준이어서 墓碑의 立碑도 이들에 의해 主導的으로 행해졌다. 그러나 成宗代에 士林이 中央政界에 등장하면서 주자성리학의 理念을 實現하려는 勞力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退溪 李況(1501-1570)과 栗谷 李珥(1536-1584)에 의해 주자성리학이 朝鮮性理學으로 深化發展되면서 고유 이념으로 토착화 되자 상황은 달라졌다. 이제 조선성리학은 사회의 모든면에 깊숙이 파고들어 영향력을 미치고 孝·顯宗代의 禮訟 論爭을 거치면서 深奧한 학문적 단계에 이르러서는 조선사회의 지도적 이념으로서 확고한 자리를 잡게되었던 것이다. 그러자 일부 선진적인 계층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던 묘비의 입석도, 지배층 전반에 걸쳐 일반화되기에 이르렀다.
墓碑는 朝鮮初부터 墓表, 墓碣, 神道碑로 나뉘어 身分과 地位에 맞게 건립하였으나 한가지 통일된 名稱이 있지 아니하고 여러 異稱이 사용되어 자주 混同되어왔다. 그래서 墓碑文의 撰者가 남긴 文集에서 選別한 墓碑文類의 名稱과 실재로 건립된 碑題를 비교 검토한 결과 墓表陰記, 墓碣銘幷序, 神道碑銘幷序가 各各의 가장 올바른 名稱임을 알 수 있었다.
墓表와 墓碣은 일반 士大夫는 물론이거나와 中·庶人層까지도 立石할 수 있었다. 그러나 顯宗代에 이르면 墓表나 墓碣에 官職을 허위로 기재하고 규모를 크게 하는 등 그 정도가 지나치자 朝廷에서 이를 조사하여 處罰하고 있다. 신도비는 實職과 관계없이 贈職이 從二品 이상이어야 세울수있었다. 이것은 각종 禮書에 나오는 司馬光의 品數別 廣記에 의거한 도덕적 의무였기 때문에, 어겨도 어떠한 법적 제재도 받지 않았다. 왕릉에도 健元陵이후 신도비를 건립하였으나 文宗代부터 王의 행적은 國史에 실려있다는 이유로 폐지되고 陵表로 대신하게 되었다.
조선 초 ·중기에는 여러 樣式이 사용되었으나 가장 널리 愛用된 樣式은 비좌리수였다. 18世紀 후반부터는 거의 碑座蓋石만이 사용되었는데 이 양식은 조선의 石碑를 대표하는 典型的인 것이었다. 리수는 雲龍紋이 가장 대표적이나 雲紋과 荷葉도 자주 사용되었고 간혹 朱雀이나 麒麟도 보였다. 龜趺는 王陵이나 大臣들의 神道碑에서 주로 利用되었는데 初期에는 사실적이다가 점점 장식화 되어 갔다. 碑座는 四面에 眼象, 花紋 등을 새겼고 上面에는 대부분 覆蓮을 둘렀다.
蓋石은 초기에 단순한 지붕형태을 띠다가 점차, 장식을 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肅宗과 英祖代에 이르러서는 明 十三陵의 영향을 받아 조각이 매우 사실적이고 화려하게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正祖代 이후에는 이같은 현상이 退步되고 기능성이 강조된 碑座와 단순명료한 蓋石이 主流를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묘표, 묘갈, 신도비에 모두 나타났다.
數量은 제시된 표에 의하면 신도비의 수량이 가장 많고 묘표와 묘갈이 그 다음이나 좀 더 자료를 보충하면 묘표의 수량이 가장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묘표의 造成이 경제적 부담이 가장 적었기 때문이다. 규모는 신도비, 묘갈, 묘표의 순이었다.
능묘비의 입석이 가장 활발하던 때는 肅宗부터 正祖代까지인데, 이시기는 文化史的인 분류에 의하면 眞景時代에 해당된다. 진경시대는 文學과 藝術의 각 분야에서 조선의 固有色이 發現되면서 화려하게 꽃을 피웠던 문화의 황금기였다. 능묘비 역시 이러한 배경속에서 다른 때 보다 많은 입비가 이루어져, 본 논문에서 표로 제시한 조선시대 능묘비 총수량의 40.9%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에 가장 선호되던 양식은 碑座蓋石이었다.|The age of Cho-sun(朝鮮) made clear that Juja Sunglihak(朱子性理學) was a national policy and Cho-sun took it as a rulling ideology and Cho-sun was a society of a noble bureaucracy system that a high official(士大夫), rulling class, rulled the peasants, the arrisans and the merchants - the rulled, In funeral ceremony, a high official held a funeral and made an epitaph following filial (禮) based on the Book of Filial Duty(孝廉) which forms a keynote of Confucian ethics. The main method of doing filial duty in a funeral ceremony was to make an epitaph which go with the dead's social position. In doing so, Reung-Myo-Bi(陵墓碑) was thought as the best moument extoling his ancestor's vertue.
In the early stage, only high officials understood the Juja Sunglihak that they led an epitaph out. But in the reign of Sung-jong(成宗), it was changed as both Confucian scholars(士林), apperaring on the world of politics, made efforts that the ideology of Juja Sunglihak came true, and two schlars. Teoiguey(退溪) and Yulgok(栗谷) made Juja Sunglihak deeply developed Cho-sun sunglihak(朝鮮性理學)-pecular idology in Cho-sun now, Cho-sun sunglihak had a deep influence on Cho-sun society when it, passing the discussion on filiar duty(禮訟論爭) in Hyo· hyun-jong(孝·顯宗). Then an epitaph which only a few the advanced had made became general in every rulling class.
In the early Cho-sun, epitaphs were divided in their names to Myo-pyo(墓表), Myo-gal(墓碣) and Sin-do-bi(神道碑) and were made according to their position and status. but its name was confused because there were no uniformity in its name. So I compared the name of selected epitaph in epitapher's anthology with of real epitaph, and as a result, found that Myo-pyo-um-gi(墓表陰記), Myo-gal-myoung-byoung-su(墓碣銘幷序) and Shin-do-bi-myoung-byoung-su(墓碣銘幷序) were the most suitable names.
Not only high officials but also the populace could make an epitaph, but come to the reign of Hyun-jong(顯宗), the epitaph on Myo-pho and Myo-gal was so falsehood and excessive in its size that the government inspected it and punished it. Sin-do-bi(神道碑) was able to be built when one had to take more than Jong-ie-pum (從二品) after his death regardless of his real states. This was moral duty based on Sa-ma-goang's anthology(司馬光의 品數別 廣記) found on various kinds of books on filial duty. So they were not punished legally even if they violated this. About a royal tomb, after Gun-one-reung(建元陵), they built Sin-do-bi (神道碑), but from the reign of Mun-jong(文宗), sin-do-bi(神道碑) was substituted for Reung-pyo(陵表) by reason that king's achievement was kept on Guk-sa(國史).
In early and middle Jo-sun, many styles were used, but the most favorately used style was Bi-zya-li-su. From late 18th, style of Bi-zya-gae-suk(碑座蓋石) was only used and it was representative of style of Cho-sun epitaph. Un-yong-mun(雲龍紋) is representative of Li-su, but Lisu was often used in Un-mun(雲紋) and Ha-yup(荷葉). and Li-su was occasionally used in Ju-jak(朱雀) or Gi-rin(麒麟). Gui-bu(龜趺) were mainly used in a royal tomb or in Sin-do-bi(神道碑) of a minister. Early times, it was realistic but gradually got decorative. In Bi-zya(碑座), on four side's shapes of eyes and flowers were inscribed and on upperside, mainly Bok-ryun (覆蓮).
Gae-suk(蓋石) appeared a simple shape of roof in early times, but gradually changed decorative. Come to the reign of Jung-Jong(中宗) and Young-jo(英祖), it was influenced by Myoung-Sip-Sam-reung(明十三陵) and it appeared very realistic and gorgeous. But since the reign of Jung-jo(正祖), this trend was backword and a function was emphasized. Then simple and clear Gae-suk(蓋石) became a main current. All of changes appeared on Myo-pyo(墓表), Myo-gal(墓碣) and sin-do-bi(神道碑).
According to the suggested list, Sin-do-bi(神道碑) had the most quantity and Myo-pyo(墓表) Myo-gal(墓碣) in order. But the supplement of data might make Myo-pyo(墓表) the most quantity because the system of Myopyo(墓表) was the most economical.
In the size, Sin-do-bi(神道碑), Myo-gal(墓碣) and Myo-pyo(墓表) were in order.
- Author(s)
- 李敏植 .
- Issued Date
- 1997
- Type
- Thesis
- Keyword
- 역사; 묘비; 조선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95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