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英才敎育 프로그램 選擇에 관한 父母의 情報探索 硏究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탐색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정보를 가지고 소비자 행동을 하며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 결과에 대해 연구·분석하여 부모들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을 선정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과 부모의 요구에 대해 알아보며 이에 부응하는 영재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재교육기관을 선택할 때의 행동특성은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가?
2. 선택한 영재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가?
3. 영재교육기관에 대한 지역별 인지도와 만족도는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가?
4. 영재교육기관 프로그램의 질적인 면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각 문항별로 빈도분석과 χ² (chi-square)검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교육 기관 선택과정에서 인지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이 집단들의 (1) 영재 교육 기관 선택시기 (2) 영재교육기관을 알게된 동기 (3) 영재교육기관을 선택한 중요한 이유를 빈도분석과 χ²(chi-square)검증법을 사용하여 그 행동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영재 교육기관에 대한 선택시기는 인지도가 높은 집단이나 낮은 집단 모두에서 '생후 18개월 - 40개월 사이'에(54.4%, 45.1%) 영재교육기관을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재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인지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χ²분석을 한 결과 영재교육기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자녀를 보내고 있는 영재교육기관을 알게된 동기 면에 있어, 인지도에 관계없이 빈도분석이나 χ²분석이나 '친지·주위사람을 통해'(45.5%, 50.7%)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χ²분석을 통하여 인지도가 높은 집단이나 낮은 집단이나 영재교육기관을 알게된 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3)현재 영재교육기관을 선택한 가장 중요한 이유로써 인지도에 관계없이 '교육프로그램 바람직'(59.1%, 57.7%)에서 가장 많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선택한 영재교육기관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택한 영재교육기관에 대해 만족하는 집단과 불만족 하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이 집단들의 (1)선택한 영재교육기관의 만족, 불만족의 이유 (2)선택한 영재교육 기관이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 그 해결방법을 빈도분석과 χ²(chi-square)검증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1)선택한 영재 교육 기관의 만족, 불만족에 대한 이유로는 영재교육기관을 선택한 후 만족집단의 경우 그 이유로 '교육내용과 프로그램이 다양해서'(47.8%), 불만족집단의 경우 그 불만족에 대한 이유로 '교사·아동의 비율'로 나타났다. χ²(chi-square)검증법에 의하면 영재교육기관을 선택에 대한 만족집단과 불만족집단간에는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가 있다고 본다.
(2)선택한 영재 교육 기관이 부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그 해결 방법으로 만족 집단은 '교사와의 상담을 통해 해결'(37.0%), 하겠다고 답한 반면 불만족 집단은 '그만 보내겠다'(39.1%)로 나타났다. χ²(chi-square)검증법에 의하면 만족집단과 불만족집단에 따른 영재교육기관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의 해결방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는 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교육기관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 인지도 집단에 따른 만족도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영재교육기관에 대한 영재교육프로그램 인지도는 자녀를 강동, 강남지역은 인지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비율이 높게 나오고 있으며,(강동 66.7%, 33.3%, 강남 60.0%, 40.0%) 강서 지역만이 반대의 경우(40.6%, 59.4%)로 나타나고 있다.
(2)영재교육기관의 지역에 따른 만족도는 지역에 관계없이 대부분 만족의 비율이 불만족의 비율보다 높게 나오고 있다.(강동 72.7%, 27.3%, 강남 80.0%, 20.0%, 강서 87.5%, 12.5%) 이는 영재교육기관에 대해 대부분의 부모들이 만족을 표시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것이라 할 수 있다.
(3)영재교육기관 인지도 집단에 따른 만족도에 있어서 인지도가 높은 집단은 만족에 88.6%, 불만족에 11.4%, 인지도가 낮은 집단은 만족에 74.6%, 불만족에 25.4%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인지도와 관계없이 영재교육기관에 대해 만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부모의 성별, 학력에 따른 영재교육기관의 질적인 면에 대한 인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교사의 자질 중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은 남자의 경우 '영재교육전문지식 및 학문적 지식'에 여자의 경우와 학력에 관계없이 '연구하고 노력하는 자세'로 교사의 자질에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기관장의 자질면에 있어서 남자의 경우 '운영능력 및 지도력'에 여자의 경우와 학력과 관계없이 '건강한 교육관'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영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정도를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영재 교육 기관에서의 바람직한 프로그램으로 남녀 학력에 무관하게 '전인적 통합교육'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②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교과내용의 중요도면에서도 부모의 대다수가 '사고력 신장'을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③교사에 대한 아동의 비율에서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의견은 대다수가 교사에 대한 아동의 수가 '3 - 4명'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④부모참여 정도에서 영재교육에 대한 교육기관의 책임성 부여와 관련해서
'제한적인 참여'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⑤영재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어떤 면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부모의 의견은 대다수 '창의력'에 높은 인식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⑥영재교육의 바람직한 교육방법으로는 학교교육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소그룹지도'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⑦과학의 중요성 및 적절한 교육방법에 대한 부모의 대다수가 과학의 중요성에 인식을 같이하고 있으며 교육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합한 교육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교육환경 및 보건위생에 관한 인식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물리적 환경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성별 학력과는 무관하게 자연학습의 공간 마련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도시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조사 대상자가 접하기 힘든 '자연학습의 기회'를 자녀들에게 제공되기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②영양 및 건강 면에서 부모의 대다수가 '아동 가까이 위생시설 마련'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kind of information which can affect the customers and to analyse the factors and the results that can give an influence on their behavior in the process of select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heir gifted children. So we'll know their problems of choosing the gifted educational programs and institutions, and search reasonal directions for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parents' behavioral characters appear when they choose a gifted educational institute?
2. How does satisfaction appear about the gifted educational institute?
3. How doe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ppear about the gifted educational institute's type?
4. How's the parents' acknowledgement about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al institute programs?
The data collected by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frequence analysis and χ²(chi-square) test methods for each category.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parents choos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between 18 months and 40 months after birth of their children and send the children through the relatives and the neighborhoo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choice is reasonable educational program.
(2) The parent's satisfaction for the institute depends on the variety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programs.
(3) The awareness level of parents in Kang-Nam and Kang-Dong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ifted children is high. And most parents are satisfied with the institutions regardless of the awareness level.
(4) The important requirements of teachers a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search activities. The desirable program should be directed for integrated education for a whole man that focuses on creativity and thinking power.
In addition, the parents prefer small group-oriented teaching, opportunity for natural loaming and sanitation furnishings for the children.
Author(s)
도정은
Issued Date
1998
Type
Thesis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915
Affiliation
한성대학교 국제통상정보대학원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Appears in Collections:
안보전략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