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산업위생분야 종사자의 전문가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위생분야 종사자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어떠한 윤리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그러한 윤리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을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산업위생 종사자들의 직업윤리 강화를 위한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2년 3월 15일에 개최된 한국산업위생학회 학술대회에서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은 설문조사에 응한 총 136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위생 분야 종사자는 일반인보다 훨씬 더 도덕적이고 윤리적이어야 한다(37.5%)거나 적어도 일반인보다는 더 도덕적이고 윤리적이어야 한다(54.4%)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 응답자 92% 이상이 일반인보다 더 윤리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업위생 종사자의 상당수가 업무상 윤리문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14%는 거의 매일, 37.5%는 일주일에 한두 번 이상 업무상 윤리문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업무상 윤리적인 문제를 직면하는 경우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거의 매일(4.4%), 일주일에 한두 번(23.5%)]. 윤리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강도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매우 높음(3.7%), 높음(33.1%), 보통(35.3%), 낮음(17.6%)].
셋째, 산업위생 종사자의 약 절반은 가끔씩 측정해야 할 근로자나 장소에 대해 측정을 하지 못하도록 요구받은 경험이 있으며, 측정대상 물질 또는 요인이지만 사업장에서 측정하지 말 것을 요구받는 경우도 42%이상이 가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결과가 높게 나와서 재측정을 해줄 것을 직접적으로 요구받는 경우도 자주(5.1%) 또는 종종(19.9%) 발생하며, 측정결과에 대해 수치의 수정을 요구받는 상황도 가끔(21.3%), 또는 종종(14.7%) 발생하고 있었다. 심지어는 측정하지 않고 측정한 것처럼 해달라고 직접적으로 요구받는 경우도 자주(1.5%)있거나 종종(6.6%) 또는 가끔(18%)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산업위생 직업윤리 강화방안으로 윤리교육을 도입하면 그 효과에 대하여 ‘아주 클 것’ 16.9%(23명), ‘클 것’ 44.9% (61명), ‘보통’ 20.6%(28명), ‘낮을 것’ 8.8%(12명), ‘아주 낮을 것’ 7.4%(10명) 등이라고 응답하여 교육의 효과에 클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전문가 윤리강령의 제정 필요성에 대해서는 80.8%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그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윤리강령의 효과에 대해서도 상당히 도움(29.4%)이 되거나 약간 도움이 될 것(45.6%)이라고 보고 있었다.
다섯째, 산업위생 직업윤리 강화방안으로 윤리헌정(Cannon), 윤리강령(Code), 법적 제재방안의 3가지에 대헤서는 법적인 규정을 도입하는 방안(44.9%)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체 윤리규약인 윤리강령을 제정하는 방안(37.5%) 그리고 윤리헌장을 제정하는 방안(16.2%)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thor(s)
박종진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02
Type
Thesis
Keyword
산업위생 직업윤리산업위생 전문가 직업윤리산업위생 윤리강령산업위생 윤리헌장산업위생사산업위생기사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843
Affiliation
한성대학교 대학원
Advisor
박두용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보건공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