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대학 창업보육센터의 사후 지원에 대한 졸업기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경기도 창업보육센터 졸업기업 중심으로
Abstract
2013년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부분이 “창조경제”이며 이에 포함되어 있는 한 가지 방안이 ‘벤처·창업 활성화’이다. 국가가 ‘창업’을 지원하는 가장 기본적인 정책은 기업가가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창업을 장려하고 창업기업이 성장할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창업보육모델’이다. 이 ‘창업보육모델’ 중 한 가지가 창업보육센터 지원 사업이다.
창업기업은 지역경제는 물론 더 나아가 국가경제를 이바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고용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이기도 하다. 하지만 국내 창업기업의 생존율은 5년 이후 29.6%로 미국이나 영국, 독일 등 선진국의 80%가 넘는 생존율에 비해 아주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보육센터의 졸업 기업이 졸업 이후 창업보육센터로부터 받는 지원이 졸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여 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창업보육센터가 지원해주는 서비스가 졸업기업들이 그들의 기업들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검증을 하였다.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는 기술적 부문, 경영적 부문, 행정적 부문 그리고 자금적 부문 등 입주기업에 맞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를 졸업기업에 맞게끔 연구모형을 설계하는 부분이 필요하였으며, 우선적으로 자금적인 부분은 제하고 각 부문의 하위 카테고리 또한 졸업기업에 맞게끔 설정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창업보유센터를 졸업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0.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보육센터의 졸업기업들에 대한 기술적 지원, 경영적 지원 그리고 행정적 지원은 졸업기업의 재무적 그리고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술적 지원에 대한 기타성과만이 유의확률 10% 이내로 유의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이 실질적인 기업 성과에는 미치지 않는다는 의미로서 사후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끔 하는 결과이다. 즉, 사후관리가 졸업기업의 생사여부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닌 그들이 졸업 이후 실제적으로 기업을 잘 운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통해 그들에게 부족한 부분을 창업보육센터의 사후 지원을 통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졸업기업의 역량을 높여줘야 된다는 것이다.
해외 선진국의 창업보육센터 모델을 분석하여 그들과 같은 높은 생존율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사후관리에 대한 구체적은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졸업기업을 도울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였을 때, 졸업기업은 지역경제의 발전은 물론 더 나아가 국가경제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며, 고용창출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국가의 중요한 요인으로 바뀌어 갈 것이다.
Author(s)
김성민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08
Type
Thesis
Keyword
창업기업졸업기업창업보육센터사후관리POST BI사후보육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739
Advisor
임욱빈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융합기술학과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