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M&S체계 소요기획 프로세스 정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 Alternative Title
- 차기 군 과학화훈련체계를 중심으로
- Abstract
-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changes in combat methods, are influencing the environment in which arms systems are procured. In order to successfully acquire new weapons systems, which are becoming more advanced and complex, systematic and scientifically guided planning is necessary. This planning -- which through a series of activities develops concepts and determines which arms systems are necessary -- is the starting point for arms system acquisition. By clearly presenting the operational concepts and requirements in the planning stage, we can minimize time, cost and effort during the actual acquisition.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and comprehensiveness of the planning, regulations have been recently amended to require the following: 1) conducting a preliminary study of concepts; 2) preparing reports on requirements; and 3) preparing an operational requirements document (OR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corps the main agents responsible for this planning lack the capacity to carry out these tasks. They lack the professional bureaucracy, staff, and experience in planning that would be required to implement these tasks. Furthermore, due to a deficit in clearly outlined procedures, such planning often relies on unofficial organizational practices.
In particular, since the national defense M&S system is widely used in the defense sector (including during training), new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Current research on how best to plan for the M&S system, which differs from general weapons systems, is insufficient. Conceptual models and simulation of requirements are crucial to modelling an actual combat situation, but our military has yet to present a study that investigates these issue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that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establishes detailed activities to be carried out by each military branch when planning for the national defense M&S system. The planning process for the defense M&S system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1) researching operational concepts; 2) developing requirements; and 3) developing conceptual models. These three stages are then disaggregated into 20 detailed activities. This methodology synthesizes existing literature, the professional experience of the authors, and the opinions of M&S experts.
Carrying out the planning work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requires an academic knowledge of system engineering and requirement engineering, particularly during the early stages of acquisition. Additionally, a standardized M&S system development process must be devised and implemented. Using this academic foundation, it is necessary to then identify specific activities that will allow for modeling the battlefield situa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M&S system. In particular, the users must properly implement these activities in the planning process if they are to successfully acquire the M&S system. Meanwhile, specialized methods and tools, as well as background factors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must be mobilized in order to carry out these processes efficiently.
The framework presented in this paper includes the processes, methods, tools, and environment required when planning for the M&S system.
We have introduced the Korean Synthetic Training Environment (STE) as the scientific training system that the Korean military should develop in the future. In order to verify its usefulness, we conducted planning activities based on this framework.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xperts from M&S development organizations and other research institutes. Through our investigation, we found that in order to maximize efficiency in planning, two things are required. Firstly, clear operational concepts and requirements of the system to be developed must be presented. Secondly, simulation requirements and conceptual model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S system must be developed.
The framework for planning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methodology for procuring arms, which heretofore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eveloped by the various military branches, despite their need for various weapons systems. Planning has previously only been vaguely defined, but by clarifying these activities and breaking them down into specific tasks, the actual planning workload can be evaluated. This will contribute to the comprehensiveness and accuracy of the initial preparation documents, the operational concepts, and the operational requirements. Additionally,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organizations, securing manpower, and securing budget for planning in each military branch.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into the future in order to refine the activities at each stage of planning. With this effort, the South Korean military's ability to plan for the M&S system will be strengthened and enhanced.| 과학 기술의 발전과 전투 수행 방식의 변화에 따라 무기체계 획득 환경이 변화되고 있다. 더욱 첨단화되고 복잡해지는 새로운 무기체계를 성공적으로 획득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소요기획 활동이 필요하다. 소요기획은 개념을 발전시키고, 소요를 제기하고 결정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무기체계 획득의 첫 출발점이다. 소요기획 단계에서 명확한 운용개념과 요구사항이 제시되어야 획득 단계에서 시간과 비용의 추가적인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최근 소요기획의 완전성과 충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①사전 개념연구 수행, ②소요제기서 작성 보완, ③소요군 주관으로 운용요구서(ORD) 작성 등 관련 규정이 개정되었다. 그러나 소요기획의 주체인 육ㆍ해ㆍ공군 및 해병대의 현실은 이러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이 미흡하다. 전문 조직과 인력, 소요기획의 경험이 부족하다. 또한, 소요기획 단계에서 수행할 과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나 절차의 정립이 미흡하여 조직의 관행에 의존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특히, 국방M&S 체계가 훈련 분야를 포함하여 국방영역에 폭넓게 활용되면서 신규 소요가 증가할 예정이다. 일반 무기체계와는 특성이 다른 M&S 체계에 대한 소요기획 방법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 전투상황을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모의 요구사항과 개념모델이 중요하나, 우리 군에서는 아직 그 수행 주체와 방법에 관한 합치된 연구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각 군이 국방M&S 체계의 소요기획 단계에서 수행할 세부 활동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립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국방M&S 체계의 소요기획 프로세스를 ①운용개념 정립, ②요구사항 개발, ③개념모델 개발의 3단계와 20개의 세부 활동으로 도출하였다. 이는 연구자의 직무 경험과 문헌 연구 및 M&S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였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소요기획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획득 초기 단계 활동을 강조하는 시스템엔지니어링과 요구공학의 학문적 배경이 요구된다. 또한, 표준화된 M&S 체계 개발 프로세스의 적용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배경을 기초로 M&S 체계의 특성인 전장 상황 모델링을 위한 세부적인 활동의 식별이 필요하였다. 특히, 사용자인 소요군이 소요기획 과정에서 이러한 활동에 참여해야만 성공적으로 M&S 체계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소요군에서 이러한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방법과 도구의 활용과 조직 내ㆍ외부의 환경적 요인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M&S 체계 소요기획 프레임워크」는 소요기획의 프로세스, 방법 및 도구, 환경을 포함하였다.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우리 군이 향후 개발해야 할 차기 과학화훈련 체계로 「한국형 합성훈련환경(STE)」을 상정하여 소요기획 활동을 수행해 보았다. 이와 병행하여 M&S 체계 개발업체와 연구기관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검증 결과 소요군에서 소요기획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①개발하고자 하는 체계의 명확한 운용개념과 요구사항이 제시되어야 하고, ②M&S 체계의 특성을 고려한 모의 요구사항과 개념모델을 개발해야 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요기획 프레임워크는 그동안 각 군에서 다양한 무기체계에 대한 소요를 제기하면서 체계적이지 못했던 업무 수행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막연하게 정의되었던 기존의 소요기획 업무를 세부적인 활동으로 구체화함으로써 실제 소요기획 업무량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초기 단계 작성 문서인 소요제기서, 운용개념기술서, 운용요구서의 충실성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각 군의 소요기획 관련 조직 설계 및 인력 확보, 소요기획 예산 확보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제시한 소요기획 각 단계의 활동을 세분화하여 구체화하는 연구가 계속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통해 우리 군의 M&S 체계 소요기획 역량이 한 단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 Author(s)
- 정차성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08
- Type
- Thesis
- Keyword
- 국방M&S체계; 소요기획; 운용개념; 요구사항; 개념모델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9693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