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 아동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Abstract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부모와 학령 전 3~5세 다문화가족 아동을 대상 으로 동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결혼이민자의 낮 은 한국어 능력은 자녀 양육과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이는 자녀의 언어발달 지체 및 부모의 양육 효능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는 동요를 활용하여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통해 이들의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동요는 짧은 구문과 단어의 반복으로 인해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한국어의 문장 구조 및 생활주제와 관련된 어휘, 초급 단계의 문법 학습에 효 과적이다. 또한 동요의 특성상 아동의 학습 흥미를 이끌 수 있고 결혼이민자 부모로 하여금 자녀가 교육기관에서 접하는 학습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집중하여 동요를 활용한 수업 구성 및 실제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결혼이민자의 양육 효능감 증진과 다문화가족 아동의 한국어 능력 향상,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교육자료로의 활용을 탐색하였다. 아동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 및 인지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동요와 관련된 놀이 활동을 제시하고 결혼이민자 부모와 다문화가족 아동의 상호작용을 통한 한국어 교육에 주목하였다. 교육 방안의 구체화를 위해 2장에서는 동요의 교육적 효과와 아동의 언어발달과 관련 이론, 부모-자녀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 아동을 대상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아 교육 방안의 내용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 『세종학당 결혼이민자 한국어』,『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즐거운/정확한 한국어』 분석을 통해 교재 구성 및 교재 속 상호작용 상황을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 상호작용, 자녀 양육에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다문화가족 아동 대상의 한국어 교재인『표준 한국어 초등학생 의사소통 한국어』『전세계 유아를 위한 신나는 한국어』『안녕! 한국어』를 분석하여 각 교재 속 동요 활용 모습을 살펴보고 동요 목록을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하여 활용 동요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교육 방안에서 활용할 동요 선정 및 수업 개요, 실제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동요를 활용하여 결혼이민자 부모와 다문화가족 아동의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는 동시적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Author(s)
- 현현준
- Issued Date
- 2025
- Awarded Date
- 2025-08
- Type
- Thesis
- Keyword
-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 아동; 동요; 상호작용; 놀이 활동; 양육 효능감; 학습 동기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58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