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기반 상황학습을 고려한 한국어 교수․학습 설계 연구
- Abstract
-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외국어 교육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메타버스 기반의 상황학습 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수·학습 설계안을 개발하고 그 실행 효과와 개선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실제 참여와 맥락 기반 언어 사용을 강조하는 상황학습 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으며 수업 실행 이후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자기효능감 이론의 네 가지 요인인 성과 경험,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그리고 정서 상태를 중심으로 관찰 지표를 설정하였다. 메타버스는 학습자 간 몰입적 상호작용, 공간의 유연한 활용, 역할 수행 중심의 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황학습 이론이 강조하는 핵심 요소들을 실현할 수 있는 유의미한 교육 환경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교육적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순환 구조에 따라 설계–실행–분석–재설계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참여자는 온라인을 통해 모집된 중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15명이며 총 8주간 16차시 수업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수업은 학습 환경, 학습 활동, 학습 지원, 평가 방식의 네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상황학습의 이론적 원리를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학습자는 ZEP 플랫폼 내에서 아바타를 활용해 상호작용에 참여하고 역할 기반의 시나리오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활동은 피드백을 중심으로 설계된 순환적 학습 구조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실제적 과제 해결과 자기 주도적 성찰을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 기반 상황학습 수업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안정, 자기조절 능력, 과제에 대한 도전 태도 등의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관찰되었다. 학습자들은 메타버스를 실제 언어 사용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유의미한 환경으로 인식하였고 수업에 대한 몰입도, 표현의 자율성, 협력 태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실행 과정에서 도출된 과제 난이도 조절, 피드백 구조의 다양화, 감정 표현 기능의 보완 필요 등은 분석을 통해 설계 개선 방향에 반영되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실천 가능한 교수·학습 설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과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을 질적·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설계안의 효과성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자기효능감 요인이 상황학습 구조 안에서 어떻게 발현되며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과 학습 지속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교육에서 정의적 요인을 고려한 수업 설계 전략의 실행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교육, 상황학습 이론, 자기효능감, 실행연구, 교수·학습 설계, 정의적 요인
- Author(s)
- 신아랑
- Issued Date
- 2025
- Awarded Date
- 2025-08
- Type
- Thesis
- Keyword
-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교육; 상황학습 이론; 자기효능감; 실행연구; 교수·학습 설계; 정의적 요인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56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